눈으로 만든 사람
최은미 지음 / 문학동네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음을 주는 일은 얼마만큼의 경계를 가져야 수월한 걸까. 나의 경계와 너의 경계가 달라 어긋나는 시선. 상처와 말할 수 없음. 문장마다 고통스러워 가슴이 아린데, 좋다. 아픈데 좋다고 말해도 되나. 그래도 되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만하면 괜찮은 남자는 없다 - 왜 평범해 보이는 남성도 여성 혐오에 빠지는가
박정훈 지음 / 한겨레출판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인 ‘이만하면 괜찮은 남자는 없다‘가 현실이라는 사실이 뼈저리게 슬프면서도, 그래도 희망은 있지 않을까 하는 마음을 갖게 하는 책. 남성 페미니스트를 응원한다. 더 깊은 사유를 바라며 별 하나 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버틀러의 책은 안 읽고 다른 책 구절 가져오기. 




"앞서 서술한 "생물학적 여성이란 논쟁적인 용어"라는 언설에 대해 '왜?'라는 의문을 가진 사람이 있었을 것이다. 이 논쟁은 제3물결 페미니즘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간다. 1990년, 기존 페미니즘에서 정설로 받아들여졌던 섹스(생물학적 성)와 젠더(사회적 성)의 이분법을 해체하고 "섹스는 언제나 이미 젠더였다"라는 파격적인 주장을 하는 이론가 주디스 버틀러가 등장하면서 여성학계에는 커다란 질적 변화가 일어났다. 그는 자신의 저서 『젠더 트러블』에서 섹스 역시 젠더만큼이나 문화적이고 정치적으로 구성되었다고 주장한다. 

버틀러의 주장은 섹스를 해체하는 것이지만 이것이 곧 생물학적 자연에 대한 소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것이 순수한 생물학적 실체가 맞느냐는 근본적인 질문을 제기하는 것이다. 시몬 드 보부아르의 "여성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다"라는 주장을 보자. 보부아르가 위와 같은 주장을 했던 1949년 당시, 지배적인 성 담론은 사회생물학이었다. 사회생물학은 남성의 성은 충동적이고 능동적인 반면, 여성의 성은 수동적이고 반응적이라고 여기며, 인간의 모든 사회적 행동의 기초를 생물학적 근거에서 찾으려 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 속에서 보부아르는 역으로 사회규범이 여성성을 구성하면서, 동시에 그것을 자연적인 실체인 것처럼 믿게 만드는 것이라고 비판한 것이다. 

버틀러는 한 발 더 나아가서, 겉보기에 자연적인 것처럼 보이는 성적 사실들이 정치적이고 사회문화적인 이해관계를 추구하면서 과학 담론인 양 이해되고 있었다면, 섹스가 불변의 특성을 지녔다는 것 역시 의심과 논쟁의 대상이 되어야 마땅하지 않느냐는 질문을 던졌다. 스스로 몸의 경험을 인식하는 것마저 사회적 관계를 반영하고 있다면, 그것은 이미 섹스가 아닌 젠더가 아닌가. 자궁을 적출하거나, 완경한 여성을 훼손된 여성이라 간주하던 가부장적 이성애주의와 "자궁이 없는 자, 말하지 말라"라는 넷 페미니스트들의 언설은 얼마나 상통하는가. 버틀러는 "생물학은 운명"이라는 공식을 논박할 의도로 제시된 섹스와 젠더의 구분이 오히려 그 주장에 공헌하게 되었다고 통렬하게 비판했다. 

이처럼 버틀러는 2세대 페미니즘이 그동안 다뤄오지 않았던 가부장적 이성애주의를 퀴어의 정치학으로 비판하면서 역대 페미니스트들의 논의를 도발적으로 해석한다. 또한 버틀러는 운동 주체로서 보편 여성이라는 일관되고 매끄러운 재현주체가 필요하다는 기존 페미니즘의 정체성 논의에도 반기를 든다. 버틀러에 의하면 주체가 정치학에 앞서 존재한다고 주장하는 바로 그 지점이 가장 정치적인 지점이다. 왜냐하면 정치학이 시작되기 전에 이미 존재하는 주체가 있다는 생각은, 배타적인 정치적 실천을 통해서 "주체가 구성되고 생산된다"는 사실을 보지 못하게 만들기 떄문이다. "여성"이라는 용어는 늘 가변적이고 모순적으로 성립되며, 누군가를 규정하는 완전한 의미가 될 수 없다. 따라서 여성이라는 대상을 재현하고자 할 때, "어떤 여성을 재현할 것인가?"라는 불안한 경합을 피할 수 없다. 그리고 이에 따르는 배타적인 실천은 결국 '동일성의 폭력'이라는 또 다른 폭력에 가담하면서 더 심한 파편화를 불러일으킨다." 


(이아름 「모두의 페미니즘을 위한 정치윤리학 : 당사자주의를 넘어서 우리'에 대하여」, <페미니즘 쉼표, 이분법 앞에서>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랜만에 <젠더트러블>을 펼쳤다. 오랜만에 펼치면 눈에 좀 더 잘 들어오지 않을까 살짝 기대했으나 기대는 여지없이.ㅎㅎㅎ 그냥 글자만 훑어나가는 걸로. 안 읽기는 그러니까. 읽기는 읽는다! ㅠㅠ 툭툭 튀어나오는 단어나 문장에 내 경험을 얹어 생각해 보는 걸로 만족. 설령 내가 생각하는 것이 글의 뜻과 딱딱 들어맞지 않는다고 해도. 


조금씩 아주 조금씩 <한국 남성을 분석한다>를 읽고 있다. 첫 장이 정희진의 글인데 여성주의이론이 함께 나와서 어 이거 만만치 않네 보던 중 '주디스 버틀러'!!! 또 나와!!! 가져왔다. 


"젠더에 대한 주디스 버틀러의 주장은 페미니즘 이론에 새로운 전환점을 가져왔다. 그는 젠더에 대한 그간의 모든 이분법적 딜레마에 탈출구를 제시했다. 정상과 비정상, 보편과 특수, 이성애와 동성애, 남성과 여성 등 수많은 이항 대립적 사유를 넘어선 그의 이론은 페미니즘뿐 아니라 현대 철학 전반에 분수령이 되었다. 버틀러는 젠더가 남성과 여성이라는 '구체적인 실재'로부터 발생한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남성(성)과 여성(성)은 존재가 아니라 반복적 수행을 거쳐 구성되는 사회적 규범(norm)이자 임의적 범주(category)라는 것이다. 

여성 혹은 남성이라는 정체성(identity)은 동일성이 아니라 동일시() 욕망이다. 남성성이 작동하는 원리는 남성이어서가 아니라 그 사회의 기존 담론에 따른 인용, 패러디, 재현, 행위(doing)의 문제라는 것이다. 쉽게 말해, 한국인이 한국 말을 잘 하는 것은 그가 한국인이어서가 아니라 매일 한국어를 사용하기(performing) 때문이다. 따라서 애초에 남성이든 여성이든 한국인이든 실체는 없다. 행위가 있을 뿐이다. 니체의 유명한 말, "행위 뒤에 행위자는 없다."를 버틀러만큼 적실하게 사용한 철학자는 없을 것이다. 행위는 행위자의 속성이 아니며 행위 자체로서 변형(해석)될 때 젠더의 해체도 가능하다. 버틀러의 주장은 '언어적 실천'이라는 패러다임을 확고하게 제시했다. 이론과 실천 운동의 뿌리 깊은 분리와 위계를 해소한 것이다." 

(<한국 남성을 분석한다> 중 「한국 남성의 식민성과 여성주의 이론」, 정희진, p.40~41)


이것만 읽고 버틀러 끝, 하면 좋겠다. 흐흐흐.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21-07-23 19: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희진 님 어쩜 이렇게 버틀러 잘 설명해주셨을까요? 쏙쏙 들어오네요. 정희진 쌤이 버틀러 해설서 써주시면 좋겠어요!! ㅠㅠ

난티나무 2021-07-24 00:10   좋아요 0 | URL
저도요!!!!! ^^;;;;;;;

단발머리 2021-07-23 23: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이 책 찾아봐야겠어요. 난티나무님 덕분에 이 책을 다시 발견했네요. 감사합니다!!!

난티나무 2021-07-24 00:11   좋아요 1 | URL
한참을 묵혀뒀다 꺼냈는데 음청 좋네요! 이 기획 책들 다 사모아야 겠다는!!!!!!

- 2021-07-28 16:14   좋아요 0 | URL
저 다 이미 사모아놓은 사람 쨘 !!! 그나저나 희진사마… 😭

난티나무 2021-07-28 19:17   좋아요 0 | URL
미투의 정치학 그저께 삼요.ㅎㅎ 한 권 남았어요.
 

책 구입 페이퍼를 쓰는 이유는 무엇인가? 언제 어떤 책을 왜 샀냐, 하는 문제에 관한 깊은 통찰...은 *뿔 되시겠다. 책을 사는 행위도 중독이 아닐까. 수집벽이 아닐까. 다 읽을 것도 아니면서 사는 건 도대체 무슨 심리인가. 어차피 세상의 모든 책 다 읽지도 못할 거, 외국어로 된 책 제대로 읽지도 못할 거, 한글도 100% 이해 못하는 거, 까이꺼, 꽂아두고 기분 좋으면 그걸로 됐다 싶다. 물욕이라 해도 한 가지쯤에는 있어도 괜찮은 거 아니냐며. 흐흐. 합리화 오진다. 


한낮, 피부를 태양빛에 바치며 중고가게 마실 다녀왔다. 한 달에 두어 번은 가줘야 하는데 말이다. 한참 또 못 갔다. 옆으로 이사가야 쓰것어. 가면 나 망하는 건가? 




















첫눈에 마거릿 애트우드가 보여서 '당연히' 집어들었다. 응? 나 <시녀 이야기> 읽었는데. 어쩔. 그래도 이번엔 소심하게 다섯 권만 가져왔어. 칭찬해. 























앨리스 먼로의 <Too Much Happiness>는 번역판이 없나? 못 찾겠다. 한글판 소설 두 권도 제대로 안 읽었고 불어판 두 권 있는 것도 못 읽었는데. 하아. 책장의 책들 제목만 봐도 그게 어디냐며. 
































엘리프 샤팍, 어 분명 이름을 아는데, 잘 생각이 안 나, 그래도 이름이 친숙하니 사보자, 들고 온 <Soufi, mon amour> - <40가지 사랑의 법칙>. 와서 찾아보니 아아, <이스탄불의 사생아>를 쓴 작가였다. 



















조르주 상드, <Lavinia> 

언제쯤 조르주 상드를 읽을 수 있을까? <모프라>도 사두었.. 사두기만 함.ㅎㅎㅎ

목차에 Lavinia, Mattea, Mettella 라고 나온다. 작품들에 대해 아는 게 없어서 책도 잘 못찾겠다. 판본이 너무 많다.@@ 




















다비드 라게르크란츠, <받은 만큼 복수하는 소녀> 

이 책은 스티그 라르손의 밀레니엄 시리즈 5번째다. 총 6권으로 완결되었는데 라르손이 3부까지 쓰고 세상을 떠서 다비드 라게르크란츠가 이어받아 썼다. 3부까지 프랑스어판으로 어찌어찌 읽었기에 뒷부분이 궁금하기도 하고, 그렇다고 정가 주고 사 볼 책은 아니고, 스티그 라르손이 나중에는 막 싫어져서도 그렇고, 4와 6부를 언제 구할 지 기약도 없지만, 일단 헐값에 사서 짱박아두어보기로 한다. 읽는다면 아마도 욕 하면서 읽을 것 같다. 그나저나 표지 뭐냐. 이 밀레니엄 시리즈는 영화로도 만들어지고 판매부수가 어마어마...@@ 







댓글(8)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21-07-22 21:5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아 너무 좋네요. 책은 저렇게 탑으로 쌓으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형태가 돼요..

난티나무 2021-07-22 22:47   좋아요 1 | URL
다음에는 더 높은 탑을 쌓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청아 2021-07-22 22: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헉! 밀레니엄 원서 표지 넘 이뽀요!!

난티나무 2021-07-22 22:53   좋아요 1 | URL
앗 미미님은 이쁘다 하십니꽈! ㅎㅎㅎ 저는 그닥… 하하 😝
이게 작가가 스웨덴 사람이라 불어판이 원서는 아니예요.^^ 그래도 한글판 표지보다는 프랑스어판이 낫네요.ㅠㅠ

유수 2021-07-23 10: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난티님 책탑 수혜자는 누구다? 저도 있습니다ㅋㅋㅋ 구경만해도 좋군요 흐흐

난티나무 2021-07-23 18:53   좋아요 1 | URL
읽지 못하고 쳐다만 보는데도 좋은 거 어쩌나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2021-07-28 16: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다보탑 석가탑이 있는가? 우리애겐 책탑이 있다!!!!! 심지어 외국 책 탑 !!!

난티나무 2021-07-28 19:16   좋아요 0 | URL
책탑 쌓는 속도로 읽을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요?ㅋㅋㅋㅋ ㅠㅠ
그래도 책탑은 옳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