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책] 빨간 얼굴 질루와 부끄럼쟁이 물고기 (개정판) 책마중 문고
질 티보 지음, 이정주 옮김 / 어린이작가정신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끔, 사람들이 키우는 동물,에 대해 생각한다. 집에서 동물을 키운다는 것이, 함께 산다는 것이 의미하는 것은 뭘까, 사람과 함께 살아 행복한 동물들도 있지만 그렇지 못한 동물들도 있을 텐데, 거기에 따르는 책임과 의무, 사람들과의 관계, 뭐 그런 것들. 

우리집에도 동물이 있다. 작은 수족관에 조용히 바닥에서 생활하는 코리들. 체리새우 몇 마리. 어제는 처음 우리집에 온 코리가 5년이나 함께 살았다는 놀라운! 사실을 깨닫고 새삼 경건해 졌었다. 작은 물살이들이 역시 작은 수족관 세계에 갇혀 사는 것은 슬픈 일이지만, 걔네들이 태어난 곳도 자연은 아니기에 자연으로 돌려보낼 수도 없는 일. 애초에 들일 때부터 무척 신중해야 하는 일이다.  

이 책에는 빨간 물고기가 나온다. 예전 책이라 물고기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다. 개정판도 그렇다. 아마 요즘 새롭게 나오는 책에도 물고기라는 단어를 쓰겠지. 생각해 볼 일이다. '고기'라는 단어의 쓰임.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지 않을까. 아무튼 책에 나오는 빨간 물살이는 물의 온도에 크게 영향 받지 않는다. 다행이다. 부끄럼쟁이 질루는 '빨간 물고기'와 생활하면서 조금씩 부끄러움을 떨치게 된다. 무엇보다도 '빨간 물고기'를 데리고 방을 구경시켜 주고 산책을 하고 놀이터에 가고 학교에도 가는 질루가 부러웠다. 그렇다. 부러웠다. '빨간 물고기'를 데리고 학교에 간다고 했을 때 말리지 않은 부모도 부럽고, 야단치지 않은 선생님도 부럽다. 질루의 부모나 선생님보다, 나는 무엇보다 질루가 되고 싶다. 부끄럼을 타서 선생님의 질문에도 답을 하지 못하는 아이였지만 물살이 친구를 통해 문을 열고 밖으로 나가고 사람들과 대화를 트고 새로운 친구를 사귀는, 그 아이의 용기가 가장 부럽다. 동화책을 읽으면서 주인공의 모습에 내 모습을 겹쳐보는 일이 잦아졌다. 꼭 나 같구나. 그런데 동화 속의 아이들은 어떻게든 용감해지고 당당해지는데, 현실 속의 나는 쭈그러들기만 한다. 그래도 작가의 소개글을 읽으니 위안이 된다. 어릴 때도 혼자 그림 그리는 게 편했던 작가는 어른이 되어서도 조용히 있는 걸 즐기고 음악을 듣고 책을 쓰고 그림을 그린다고 했다. 나도 혼자가 편하다. 그게 잘못된 일은 아닐 것이다. 이 책의 부제는 '세상의 모든 부끄럼쟁이들에게'이다. 나도 그 중 한사람이라 부끄럼쟁이 질루가 무척 반가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청아 2021-02-16 06:3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물고기..정말 그러네요~고기를 왜..소한테도 살아있을땐 소고기라고 안하는데, 무심코 받아서 이어가는 것들이 많네요. 관심갖을수록 더 보이는것 같아요.저도 부끄럼쟁이과라 조용히 그림그리고 친구들한테 주곤했었는데 생각하니 웃음납니다ㅋㅋㅋ

난티나무 2021-02-16 17:47   좋아요 1 | URL
저도 어릴 때부터 부끄럼쟁이...ㅎㅎㅎ 지금도...ㅎㅎㅎㅎㅎ 혼자 잘 놀아요.ㅎㅎㅎㅎ
 

일기예보에 의하면 오늘이 일주일 추위의 막바지다. 오늘만 지나면 낮기온이 10도를 웃돌면서 춥지 않을 예정이다. 그림자가 옅게 생기다 말다 하고 바람이 강하게 불어서 모자를 푹 누르고 목도리를 코까지 올렸다. 좌우 위가 안 보이는 상황이 되었다. 바닥을 보고 걷는다. 눈이 단순해지니 소리가 더 많이 들린다. 새소리. 새들의 소리. 몇 종류인지 세어보고 싶지만 불가능하다. 어쩜 그리 묘한 소리들을 낼까. 귀에 들어오는 소리들을 머릿속으로 그려본다. 글자로 바꾸기가 쉽지 않다. 인간의 언어란 얼마나 유한한 것인지. 그런 생각이 들자 더 잘 글자로 바꾸고 싶어진다.

뿃뾰~ 뾰오~ 

표옹~ 효르르~ 

쬿쬿쬿~ 찟쯔~ 

아니 아니야, 이 소리가 아니야. 귀로 들리는 소리도 이렇게 글자로 옮기기가 힘들다. 진지하게 새 소리를 듣다가 이내 포기한다. 동네 아래로 내려가니 포도밭에서 일하고 있는 기계차들의 소리에 새소리가 들리지 않는다. 저 기계 소리는 또 어떻게 옮길 수 있을 것인가, 한참을 궁리하다 그것도 포기한다. 새소리도 기계 소리도 잦아드는 즈음, 바닥에 닿는 내 신발 소리가 귀에 들어온다. 이 소리는 또 어떻게 쓸 수 있을 것인가 열심히 들어본다. 드닥? 드득? 드닷? 글자를 생각하며 소리를 들으면 마치 글자 그대로 소리가 나는 것 같은 착각에 빠진다. 소리의 표현은 얼마나 단순화되는가. 인간은 세상을 얼마나 단순화시키는가. 나는 내 머릿속 생각을 어떻게 표현하고 살 것인가. 어떤 소리로 내뱉을 것인가. 얼마나 적절하게 소리화할 수 있을까. 내 몸을 떠난 소리들은 어디로 갈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단발머리 2021-02-16 08:5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새소리 너무 좋을것 같아요. 아침에 듣는 새소리... 각자 새들도 바쁜 일들이 있어서 그렇게 지저귀는 거겠죠? 전 갑자기 10년 전 아침이 떠오르네요. 매미 소리로 기상하는 아침. 맴맴맴 매에에에에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여긴 아침이에요. 난티나무님, 굿나잇!!!

난티나무 2021-02-16 17:46   좋아요 0 | URL
저도 이제 오전입니다! ㅎㅎ 열어놓은 창문으로 새소리 여전히 즐즐즐 들리네요. 까마귀도 사이사이 울고.ㅎ 매미 소리, 생각하니 여름 생각납니다. 금방 오겠죠? 단발머리님 오늘도 좋은 하루~~~!!!^^
 

"내겐 드레스 백 벌이 있어." 

수줍고 조용한 아이 완다는 이 한 문장으로 자신을 표현했고 자신을 지켰으며 꿈을 키웠다. 이름부터 소수자인 완다, 경계선에 서있는 아이, 왕따 당하는 아이. 나도 모르게 그 아이에게 감정이입한다. 내겐 무엇이 있을까. 내게 '드레스 백 벌'은 무엇일까. 열 벌은 커녕 한 벌도 없는 것 같아 우울해진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nine 2021-02-15 10:1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오래전에 이책 읽었는데, 내게는 드레스 백 벌 대신 무엇이 있을까 생각하며 읽지는 못했어요.
어렸을때 애들끼리 모이면 ˝우리집엔 OO도 있다!˝ 라며 자랑질하던 시절이 생각나네요.

난티나무 2021-02-15 17:28   좋아요 0 | URL
저도 분명 이 책 샀을 그 예전에 읽었을 텐데 그땐 그냥 읽었던 것 같아요.ㅎㅎ
지금 다시 읽으니... 완다의 모습에 제 모습이 겹쳐지더라고요.ㅠㅠ

유부만두 2021-02-15 10: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난티나무님 댁엔 책이 많아요. 저희집도 그래요. 근데 이건 자랑거리 아닌 느낌이 드네요;;;

난티나무 2021-02-15 17:30   좋아요 0 | URL
아! 내겐 책 몇백권이 있어!!!!! ㅎㅎㅎㅎㅎ
그런데 그 말로 내 존재를 주장할 수 있는가.. 고민입니다. 그래도 힌트 감사해요!!!! 책이 있네요!^^

단발머리 2021-02-15 11: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이 책 읽었는데.... 기억이 안 나요 ㅠㅠㅠ 저는 어쩌란 말입니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난티나무 2021-02-15 17:47   좋아요 1 | URL
저도 예전에 읽은 책인데 어렴풋해서 다시 읽었어요.ㅎㅎㅎ 읽은 책 기억 다 하는 사람은 천재가 아닙니까!!!! 사람이 아니지 말입니다. ㅋㅋㅋ
 

아이 방의 책들을 정리하면서 한글동화책들을 제법 꺼냈다. 그림책과 동화책을 사모으던 시기에는 언제 무엇을 샀는지, 어떤 책이 있는지 다 알았었는데 지금은 이 책이 어디서 왔는고 어리둥절할 때가 더 많다. 나 안 읽은 동화책 너무 많은데? 처분박스에 넣으려다 읽고 처분하자 싶어 다시 나온 동화책들 중 몇 권을 집어온다. 














하늘을 사랑한 여자 조종사라니, 멋있다! 난 처음 들을 뿐이고.ㅠㅠ 비행 초창기에도 여자조종사들이 많았다는 사실도 처음 알았고. 아멜리아야 계속 결혼하지 말지 안타까웠고. '다를' 거라던 그 남자도 어쩌면 아멜리아를 이용해 먹었을 지도 모른다는 생각에...ㅠㅠ 조종교육 선생님이 결혼하면서 일 그만두는 것도 안타까웠고... 어린이 대상 전기라 자세한 이야기는 나오지 않지만 아멜리아 에어하트가 여자의 권리와 평등을 주장하는 인물이었음은 확실히 밝히고 있다. 제대로 된 전기를 읽어보고 싶네? 

2010년에 나온 이 책은 절판. 




























아이들용 전기로 많이 나왔는데 품절, 절판 다수, 구매 가능한 건 위 다섯 권 정도. 그리고 


















제대로 된 전기는 이 책이 유일한 것 같다. 


책소개 : 

아멜리아 에어하트는 생존 당시였던 대공황기에도 그랬지만 최근에도 어려운 경제 상황을 겪고 있는 미국에서 현실 극복에 필요한 롤모델로 거론되는 미국의 아이콘 중 한 명이다. 영미권에는 아멜리아 에어하트에 관한 수많은 책이 발간되어 있으나, 국내에는 아동서가 몇 권 소개되었을 뿐 본격적으로 그녀의 삶을 다룬 책은 이 책이 처음이다.


미국 초등학교 교과서에 그녀의 삶이 소개되어 있을 만큼 영미권에서는 보편적으로 알려진 인물이고, 그에 따라 대다수의 책은 그녀의 삶에 대한 전반적 소개보다 비행사(史)에서 그녀의 위치나 실종을 둘러싼 심층 탐사 같은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 책은 아멜리아 에어하트의 출생부터 실종까지를 방대한 자료 조사를 토대로 구체적으로 기록한 책이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nine 2021-02-15 10: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저도 기억나네요. 제 아이 초등학교 다닐때 이 책 처음 보고 전 이름도 처음 듣는 사람이다 했던 기억이요.

난티나무 2021-02-15 17:56   좋아요 0 | URL
책꽂이에 있던 책을 저는 이제야 발견해서 ㅎㅎㅎㅎ 지금이라도 보게 되어 다행이에요. ^^

nama 2021-02-15 11: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2년 전 뉴욕의 싸구려 호텔에서 이 분을 다룬 영화를 봤어요. 유명하다는 걸 그때 알았어요.

난티나무 2021-02-15 17:58   좋아요 0 | URL
‘2년 전 뉴욕의 싸구려 호텔에서’라는 구절이 마음에 콕 박히네요. 영화도 보고 싶어요!^^
 

우연히 빌린 책을 읽는다.  

아니 내가 왜 클릭했지, 하는 마음과, 그래 어디 함 볼까, 하는 마음이 비겨버리면서 절반을 넘어섰다. 

2003년 나온 책이고 품절 상태이고 아마도 다시 나오지 않을 책인 것 같아서 평점을 매기거나 상품 이미지를 넣는 것이 꺼려진다. 


서문을 읽으면서 생긴 약간의 기대는 여지없이 무너져 버렸다. 남자의 유년 시절을 돌아보면서 '나'를 찾아가는 과정은 어디에 있는가? 대학교수이고 정치학을 공부하는 사람이 가족이라는 사회를 이렇게밖에 보지 못한단 말인가? 정치를 공부하고 연구하고 말하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단 말인가? 


이런 생각들과 함께, 그래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나라 남자들이 전혀 하지 않으려고 하는, 남자의 입장에서 가족 돌아보기를 시도했다는 점을 높이 사야만 하나? 의문이 생긴다. 기본적으로 공적인 것과 사적인 것, 이성과 감성, 사회와 가정, 남자와 여자, 이런 이분법적 사고방식에서 벗어나지 못한, 아주 가부장적인 사람으로 보이는데, 내가 잘못 본 것일까? 아마 그렇지 않을 것 같다. 절반 이상 읽었으나 그의 형제자매 중 여자들은 대놓고 배제되었다. 어머니의 입장은 고려되지 않았다. 아들로서 남자로서 자신이 생각하는 어머니의 '이미지'만 있을 뿐이다. 


정보 없이 읽던 터라 알라딘에서 검색해 보았다. 아마 당시에 비판하는 리뷰들이 있었는지 직접 알라딘에 보내왔다는 글이 있는데, 거기 인용한 보부아르 부분을 보면 '싸르트르의 연인이었던 보부아르가' 어쩌고 하는 말이 있다. ㅠㅠ 


책을 읽으면서 밑줄 긋는 부분들은 글을 쓸 때 직접 입력하는 편인데 이 책은 그런 노력도 아까워서 캡쳐한 사진을 올려보려 한다. 걸리적거리는 부분이 너무 많아 일일이 올릴 수가 없다. 하... 마저 읽을까 말까. 다 읽고 더 욕할까? 끝부분에 가면 성찰의 결과가 나올까? 


... 

마저 읽었으나... 역시. 뭔가 잘못되었다는 점을 안다면, 문제를 알아차렸다면, 그땐 그랬지, 우리 집은 그랬고 사회는 그랬지, 에서 끝나면 안 되는 거 아닌가? 적어도 왜 그랬는지 고민을 했어야 하는 거 아닌가? 

캡쳐한 사진 올리려고 약간 편집하면서도 이걸 이렇게 다 올릴 일인가 싶다. 이왕 한 거 절반만 추려서 올려본다. 추리기도 어렵다. 아 찌질해... 캡쳐한 나도 찌질해...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바람돌이 2021-02-14 03:57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저정도면 저는 그냥 던집니다. ㅎㅎ

난티나무 2021-02-14 04:24   좋아요 2 | URL
책이면 진짜 던졌을 거예요.ㅠㅠ

단발머리 2021-02-15 11: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위에 캡쳐해 주신거 다 읽었어요. 너무 신기하고 놀라워서 다음 이야기는 뭘까 오히려 궁금해져서요.
저자 이름을 알고 싶네요. 아하.... 신기한 세상.....

난티나무 2021-02-15 17:49   좋아요 0 | URL
이 책 쓰려고 다양한 분야의 책을 읽었다는데 거기엔 페미니즘 책도 있다고... ㅎㅎㅎ 뭘 어찌 읽었는지 참고는 했는지 의심스럽습니다. 처음 읽을 때보다 캡쳐 보면서 더 열받아서 혼자 열폭했네요.ㅎㅎㅎ

2021-02-15 17:5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1-02-15 18:26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