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 7


Islam wasn't just a religion. It was an empire. 

이게 기독교와의 차이인 것 같다. 

신밧드 이야기 재밌었는데... 이런 얘기가 있었나. 인간들의 상상력이란. 천일야화 읽어볼까. 재밌을 것 같긴 하다. 



Chap. 8


중국의 수나라 얘기로 시작된다. 후한 이후 300년 이상의 위-진-남북조 시대를 거쳐 다시 통일 왕국을 세웠으나 40년만에 세운 수나라. 이 때의 중국 역사는 너무 복잡하여 학교다닐 때도 에라 모르겠다 하고 넘겼던 기억인데, 다시 찾아봐도 어렵다, 복잡하다... 얼마전 <풍기농서>를 읽으며 위-촉-오의 삼국시대를 좀 찾아봤던지라 그나마 조금 나은 게 이 정도다. 


대운하는 어릴 적 무협지 비디오로 접했다. 완전 아저씨처럼 보였던 (수염을 길러서 그랬던 듯) 양조위가 그 뒤 봤던 의천도룡기에서는 엄청 어리게 나와서 이 사람이 이 사람이라니! 하고 놀랐던 기억이 난다. 의천도룡기는 영웅문 (책)과 병행(...)했기에 기억이 많이 나지만 대운하는 잘 기억이 나지 않는다. 그냥 수 양제가 엄청 못되게 나왔던 것 그리고 당 태종 (이세민) 이 어떤 여자랑 알콩달콩했던 것만 기억이 난다. 


대운하의 규모를 보니, 뭐.. 만리장성도 그렇지만 중국은 역시 참 스케일이 큰 나라였다... - -; 왜 수도는 장안에 두고 괜히 강 세 개를 연결하는지. 그냥 수도를 황하와 양쯔강 사이쯤으로 옮기면 좋았겠건만. 음 그래도 대운하 덕분에 담수를 내륙에 가둬두고 활용하기 좋았을 것 같긴 하다. 


(이렇게 많이 썼는데 책 내용과 거의 관계가 없다니..)


당이 300년 동안 계속되었다 말하는데, 그러고보면 조선왕조 500년은 정말 긴 것 같다. 



Chap. 9


East of China, Japan과  Korea 이야기.


They only wanted to be equals.

The Japanese began to write, to paint, to dress, and to think in their own, unique, Japanese way.


일본은 그랬고 조선은 아니었나..? 그랬는지 아닌지를 내가 모른다는 것이 좀 부끄러웠다. 서양에서 보기에 일본은 확실히 중국과 다르고, Korea는 비슷해보였는가보다. 일본은 섬나라였고 Korea은 육지로 연결되어 있었으니.. 아무래도 지리적인 영향이 있다.



Chap. 10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 이야기. 

전에 하와이에서 폴리네시아 문화센터에 가보고 뉴질랜드와 모아이 섬 사람들이 모두 같은 혈통이라고 해서 놀랐었다. 

오스트레일리아보다 뉴질랜드에 사람이 늦게 살게 된 것은 화산활동 때문이 아니었을까 싶다. 


뒤에 어디에선가 섬나라라고 영국과 일본을 비교하는 부분이 있었는데, 

자연환경에 있어서는 일본과 뉴질랜드를 비교하는 게 더 재미있지 않을까.

물론 뉴질랜드는 고유의 문화보단 영국 문화가 주류이지만.. 



Chap. 11


프랑크 왕국 이야기.


They claimed that they were descended from the ancient inhabitants of the great city of Troy.


파리가 파리스의 이름을 땄다더니 정말인가...? 

했는데 그게 아니고 이 동네에 파리시라는 부족이 살아서 로마 때부터 Lutetia Parisiorum 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Chap. 12


Spanish followers of Islam became known as moors. 


이 문장을 보면 스페인에 사는, 이슬람으로 개종한 사람들이 '무어'일 것 같지만... 

북아프리카에서 이슬람교를 믿으며 살다가 스페인으로 이주해서 정착한 사람들을 일컫는 말이다. 


오셀로가 생각난다. 


Chap. 13


Charlemagne had never been taught how to read and write properly. 

He kept a writing tablet under his pillow.... but he never really learned to write. 


위대한 샤를 마뉴도 고충이 있었군. 


As a matter of fact, you probably write better than Charlemagne. 

아이들에게 희망을...?


Chap. 14


He named his new land Greenland. He hoped that this cheerful name would encourage other Vikings from Iceland to come with him. And the name worked. (...)


아이슬란드는 오지 말라고 그렇게 지었다는 말도 있던데... 어쨌든 처음 들었을 때 두 지명이 좀 어이없긴 했다. 


북유럽 신화는 잘 몰랐는데 토르에 대해서 좀 알게 됐다. 건포도처럼 쪼글쪼글한 (...) 할머니를 차마 이길 수 없었다니 의외로 정감가는 신인데?


Despite your might, you could not beat the old woman, for she is Old Age. And no one can conquer Old Age. 


Chap. 15


England was divided into seven different kingdoms. 


내가 아는 세븐 킹덤은 조지 R.R. 마틴의 세븐 킹덤 뿐인데... 그 이야기 자체가 중세 영국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하니 이 seven kingdom으로부터 설정을 가져왔을지도 모르겠다. 


그러고보니 <세븐킹덤의 기사>는 샀는데 읽었는지 기억이 안 나고 이건 사지도 않았었네. 궁금하다... 그나저나 외전 말고 본편은 언제 나오나요. 










Chap. 16


The English that you are hearing right now is a mix of several different languages. 


그래서 익히기가 힘들었구나. 열심히 하지도 않았지만... 


William believed that the king owned the land that he ruled. So When William was crowned King, he claimed all the land of England as his own! 


이전에는 왕은 그냥 warleader였는데 이때부터 왕국이 왕의 소유라는 개념이 생겼나보다. 그래서 기사들에게 나눠주고, 농부들은 농사짓던 땅에서 노르만 인들이 와서 이래라저래라 하니까 폭동을 일으키고 기사들의 (나무로 된) 집에 불을 질러서 그 다음부터 돌로 성을 지었다고 한다.. 



Chap. 17


The leader of the Christian church began to teach that knights owed loyalty to God, not just to king. 


망나니 기사들을 통제하기 위해 종교에도 헌신하게 만들고, 기사도라는 것을 만들었다. 


일본의 사무라이도 봉건제에 속한 기사였지만, 전쟁에 나가서 이기거나 아니면 죽음을 택하는 것이 달랐다고 한다. seppuku가 사무라이가 하는 '명예로운 할복'인 것 같고 harakiri는 그냥 '할복' 자체를 가리키는 듯. 



Chap. 18


Christians were particularly upset when the rulers of the Islamic empire made it hard for them to visit the city of Jerusalem. 


이게 지금 이스라엘이 하는 짓이지... 


But in England and France, people only took baths once or twice a year. 


...일 년에 한 번... 


He gave so many alms to the poor that his treasury was almost empty! He gained a reputation for justice and fairness.


그 옛날 중세시대의 살라딘도 아는 걸 요즘 정치인들은 잘 모르는 것 같다.


Chap. 19


The paper described new laws that the king had to follow. 


우리도 이런 것좀 만들어야 하지 않을까? 대통령이 지켜야 하는 법?


Chap. 20


After all, they were Jews because of their worship of God!


유대인의 디아스포라는 이렇게 일찍 시작되었구나.. 그들이 뭉치게 된 이유도, 독해진(?) 이유도 조금은 알 것 같다. 



20장까지 읽었는데 아직도 멀었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독서괭 2024-02-19 03:03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짧지만 많은 함의가 담긴 건수하님의 요약 ㅋㅋㅋ 저도 다시 틈틈이 읽어가고 있습니다!!

건수하 2024-02-19 11:08   좋아요 1 | URL
많이 읽은 것 같은데 아직 반도 못 읽었네요 ㅎㅎ 저도 열심히!

청아 2024-02-19 11:0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읽으면서 저는 왜 엄마미소같은게 지어지는거죠?ㅋㅋㅋㅋ 같이 읽으니 재밌네요. 어렴풋 알던 것들 이 책에서 확인하는것도 좋고요. ^^

건수하 2024-02-19 15:12   좋아요 1 | URL
내용을 아시는 분들만 지을 수 있는 미소 ^^ 열흘 남았으니 열심히 따라가볼게요.

거리의화가 2024-02-19 13:2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많이 따라오셨네요^^ 수하님 계속 화이팅!ㅎㅎ

건수하 2024-02-19 15:12   좋아요 1 | URL
화가님의 성실함을 본받고 싶습니다... 힘낼게요!
 

















Chap. 5 


He (Buddha) taught that anyone, no matter how poor, sick, or miserable, could find happiness by leading a good life.



Chap. 6 


What would make men change their ways? How could they become bettter? 



5장에서 불교, 6장에서 이슬람교 이야기가 나온다. 종교는 '좋은 삶을 사는 것'을 추구하고, 그러기 위해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것 같다. 이렇게만 보면 참 좋은데..


왜 종교는 자꾸 권력과 연관되고 변질되는가?






이 감독에 대해서도, 영화에 대해서도 잘 모르지만.  

총선이 두 달 남짓 남은 지금 이런 영화가 화제가 되고 있다는 것, 특정 종교인들이 이 영화를 보고 왔다고 말하고 있다는 것은 의미심장하다. 



유대교에서도 그렇고 이슬람교에서도 우상 idol을 섬기지 말라고 강조하길래, 우상을 섬기는 것이 무엇이 문제가 될까 생각했다. 메카에서는 사람들이 우상을 섬기러 메카에 와서 소비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해서 무하마드를 미워했다고 하는데, 유대교에서는 꼭 그런 의미는 아니었던 것 같고... 


예전에 성서를 읽으며 생각했던 대로, 그냥 (자기네) 유일신을 믿게 하기 위해서 강조하는 거 아닐까? 아니면 눈에 보이는 것을 믿지 말라고 한다거나... 그런데 한참 전에 죽은 기독교인이자 대통령이었던 사람의 이미지를 저렇게 다시 만드는 것은 우상화가 아니면 뭘까? 




나는 The Story of the World의 2007년 개정판으로 읽고 있는데, 현재 구할 수 있는 음원은 2003년에 녹음된 것이라서 책과 음원의 내용이 조금 다를 때가 있다. Chap. 6에서 무하마드가 천사 가브리엘로부터 처음 vision을 들었을 때의 내용이 그렇다.



음원에서는 가브리엘 (아랍어로 하면 지브릴이라고 한다는데 굳이 그렇게 표기하진 않은 것 같다. 굽타 왕조는 Gupta 이렇게 이탤릭체로 써 주지만) 무하마드에게 'Read!' 라고 말하는데 개정판 책에는 'Recite!'로 나온다. 그리고 음원에는 실크로 된 두루마리 scroll 이 펼쳐졌고 불로 된 글씨가 쓰여져 있었는데 무하마드는 읽을 줄을 몰랐지만 그 글씨를 보니 무슨 뜻인지 알게 되었다- 라고 나온다. 그렇지만 개정판 책에는 그냥 가브리엘의 말을 들은 것으로 나온다. 


그렇게 중요한 내용은 아닌 것 같지만, 그리고 무하마드에게 정확히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는 절대 확인할 수 없겠지만 (...) 잊어버리기 전에 적어둔다. 



무하마드의 선조는 (성경에 따르면) 이스마엘 (아브라함의 아들이자 이삭의 배다른 형)이었다고 하고, 같은 천사로부터 신의 말씀을 들었으니... 어쩌면 알라와 하느님은 같은 신 아닐까? 신이 믿는 자들에게 요구한 것은 조금 다르다 할 지라도 기본적으로 '좋은 삶'을 살기 위한 규칙을 이야기하는 것은 맞는 것 같다. 그런데 그 종교들이 이후 발달한 역사를 보면, 그리고 지금의 상황들을 보면... 


신이 문제가 아니고 인간이 문제다, 인간이...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단발머리 2024-02-13 21:4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제가 그 이야기 했던 거 같은데, 저희집에도 이 책이 있었더랬습니다. 큰아이가 두 번 정도 읽었고, 저도 1권은 읽었는데, 나중에 정리..... 이 시리즈 페이퍼 올라올 때마다 찾아보고 싶은데 책이 없어서.... 책 없는 슬픔을 혼자 누리며...

‘Read‘와 ‘Recite‘에 관련해.... 저는 이슬람에 대해 1도 모르는 사람이지만 이런 생각을 해 보았습니다.
예전에 묵독이 현재처럼 일상화되기 전에는 읽기란 곧 ‘음독‘을 의미했잖아요. 여러 번 ‘소리내어 읽는다‘는 건 주로 암송하기 전에 연습과정이구요.
실제로 기독교에서는 성경 말씀 암송을 많이 강조하기도 하구요. 그래서 어쩌면.... Read와 Recite의 개념이 이렇게 혼용되어 사용된 건 아닐까 싶습니다. 실제로는 거의 같은 뜻이라고 이해된 건 아닐까, 하고 말입니다.

건수하 2024-02-13 21:54   좋아요 1 | URL
네 단발머리님 말씀대로 비슷한 뜻인 것 같아요. 천사가 말로 전했느냐 글로 전했느냐가 다른 게 아닐까 싶은데… 저는 천사들이 보통 말로 전한다고 생각했거든요. 그래서 듣고 따라 말하라고 하는 recite가 더 어울린다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무하마드가 읽고 쓸 줄 모르다가 뿅하고 읽게 되는게 일종의 기적이라.. 그것도 신비해보이네요 :)

단발머리 2024-02-13 21:4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심한 외도에 대해서.... 자세히 써주시면, 참 감사하겠습니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건수하 2024-02-13 21:55   좋아요 1 | URL
자세히… 그냥 읽어야 할 책을 안 읽고 다른 책을 읽었다… 뭐 그런 것입니다 ^^ 읽어야 할 책들을 읽고 나면 써볼게요!

얄라알라 2024-02-13 22:5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건수하님 말씀 ˝신이 문제가 아니고 인간이 문제다, 인간이... !!!˝


˝함달달 -원서읽기 팀˝의 꾸준하심을 진심 응원 + 존경합니다!

건수하 2024-02-14 09:54   좋아요 1 | URL
제가 어제 쓰고 놀랐는데요... 예전같으면 전 인간과 신을 분리하지 않았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신은 인간이 만든 것이니까... 그런데 어제 쓰고보니 어느새 제가 신이 존재할지도 모른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 같지 뭡니까...?

인간은 변하는 존재...
 
맡겨진 소녀
클레어 키건 지음, 허진 옮김 / 다산책방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렇게 좋은데, 더 좋을 수 있다니…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잠자냥 2024-02-09 10:1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더 좋더라고요~!! 왜 다들 원서를 사고 싶어지는지 이해하게 되는…. (그리고 서점에서 보니까 원서 자체도 예쁘더라고요!! ㅋㅋㅋ)

건수하 2024-02-09 11:04   좋아요 0 | URL
더 읽고 싶은데 번역된 거 하나만 더 남아서 아껴야 하나… 고민되네요 ^^ 원서는 그 뒤에 생각해보기로 :)

단발머리 2024-02-09 16:49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그렇다니… 이건 무슨 일입니까? @@
너무 궁금해요. 전 두 권 가지고 있습니다^^

건수하 2024-02-09 17:58   좋아요 1 | URL
단발머리님도 한 권 읽어보셔요 ^^

자목련 2024-02-12 13:2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더 좋고, 더 좋은 책을 기대하고 기다려요!

건수하 2024-02-13 15:40   좋아요 0 | URL
<이처럼 사소한 것들>이 <맡겨진 소녀>보다 더 좋은 줄은 잘 모르겠더라고요. 그냥 둘 다 좋았어요.
<맡겨진 소녀>는 누구에게나 잘 가닿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구요 :)
 

삶에서 발생하는 에피소드들에 대해서 사람들은 씹을 줄만 알았지 즐기는 법은 전혀 배우지 못한 것이었다. 에피소드란 맹랑한 것이 아니라 명랑한 것임에도. - P1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읽어보겠다고 하고 사둔 수많은 책들 중 하나를 시작.
글쓰기 비롯 만사가 다 귀찮고 전자책 진도만 잘 나가는 요즘..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잠자냥 2024-02-07 13:23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퀴즈 중독 증상입니다~!!

건수하 2024-02-07 13:24   좋아요 1 | URL
그렇습니까? 퀴즈와 어떤 연관성이….. @.@

잠자냥 2024-02-07 13:41   좋아요 2 | URL
도파민으로 흥분 상태였던 뇌가 독서의 천천히 흐르는 흐름에 아직 적응 못한 것으로 밝혀져.

망고 2024-02-07 13:42   좋아요 2 | URL
흔한 퀴즈로 인한 도파민 중독 금단 현상으로 보입니다😭

건수하 2024-02-07 14:17   좋아요 3 | URL
망고님도 겪고 계시나요? 그때 뇌를 너무 많이 썼는지 요즘 머리에 피가 안 통하는 느낌이… (사실 날씨 탓이지만)

망고 2024-02-07 14:23   좋아요 4 | URL
네 저도 한때 금단증상으로 손이 떨려 책장도 못 넘길 정도였는데 요즘 조금씩 나아지고 있어요😉 아무래도 시간이 약인 듯 합니다😂

건수하 2024-02-07 17:58   좋아요 3 | URL
정말요…..? 그 그런 것인가
(저는 그냥 제가 피곤해서 그런 줄 알았는데…..)

독서괭 2024-02-08 08:57   좋아요 2 | URL
그런 거였어…..

은오 2024-02-08 13:54   좋아요 1 | URL
ㅋㅋㅋㅋㅋㅋㅋㅋㅋ 머리에 피가 안통하고 손이 떨리고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단발머리 2024-02-07 13:25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안타깝습니다. 얼른 회복하시길 ㅋㅋㅋㅋㅋ

건수하 2024-02-07 17:58   좋아요 2 | URL
연휴가 지나야 회복이 될 것 같습니다 ^^;;

은오 2024-02-08 13:5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헐 이책 넘 오랜만이에요 수하님!!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 근데 이거 딱인 것 같은데요?! 읽으면 글이 좀 쓰고싶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