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서화동원書畵同源
1 문자의 원류로서 선사시대 회화
2 서법과 회화의 성숙
3 서법과 회화의 길
4 중국 예술의 최고 형식

제2장 서법과 회화의 매력
1 선의 매력
2 불사지사不似之似
3 먹색의 매력
4 무형지형無形之形
5 상내象內에서 상외象外의 추구
6 시점의 이동
7 예술형식의 운용

3장 서화와 사회의 만남
1 농업사회와 정치권력
2 서화와 교양인의 만남
3 지주경제와 문인사대부
4 서화와 유?불?선의 만남
5 문인화의 특징
6 사회변화와 서화예술의 관계

제4장 서화와 철학의 만남
1 고대 중국의 사유특징
2 서법과 회화의 심미추구-意/象/境/氣/韻/神/情/理/趣/逸/味/虛/實
3 변증법적 사유의 운용

제5장 서화예술의 교류
1 주변 각국과의 서화예술 교류
2 명청 이후 서양과의 교류
3 근대 이후 서양 회화의 유입

제6장 중국 회화와 서양 회화의 비교
1 자연관의 차이
2 시간과 공간 이론의 차이
3 창작방법의 차이

제7장 서법과 회화의 계승과 창조
1 전통과 창조 그리고 현대화
2 대가들의 예술세계

제8장 서법과 회화의 전망
1 서법의 미래를 위한 발전적 사고
2 회화의 미래를 위한 발전적 사고
3 중국 회화의 가능성

제9장 서화예술 감상법
1 서화예술 감상의 성과
2 서화예술 감상의 필요조건
3 서화예술 감상법


뱀발 01.

점을 찍을 때는 높은 산에서 돌을 떨어뜨리는 것처럼 해야 하고, 획을 그을 때는 천리나 뻗친 군진軍陳이 구름처럼 피어오르듯이 해야 한다.

 

뱀발 02.

경境은 시간과 공간에서 유한한 상에 대한 돌파이다. 상은 유한한 것이며, 경은 무한한 것이다. 의경은 실질적으로 작가 작품 감상자 삼자로부터 탄생되기 때문에, 다만 물아교융만으로 부족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061120 '이슬람'강연회

+:

 외노 k- 펀드,이벤트,기획,아시아기획, 신문,공사,시와 결합, 실질적 성과로 이어지는 경우가 없음. 기회의 땅..설득을 하나 만나기도 어려움./ 외노-세금과 투표권(국가와 권리에 대한 고정관념의 균열가능성,헌법소원)/코엑스와 타지역은 외노예산배정,행사가 파격적으로 되지만..인원이 적은 대전충남은 어려움/복지센터기금-고사리손으로 짓기/홈스테이와 고급인력활용 등 잠재력을 활용한 네트워크에 대한 감각없음/기자들의 단편성-풍부하지 못함.

언론재단 이 ㅅ ㅇ - 자녀(아이)와 사회단체간 소통프로그램에 대한 관심: 이슬람-전문기자교육에 대한 마인드 유통경로를 간파하고자 참석.

관점을 풍부하게 하는 강좌 기획 - 역사/문화/음악/철학.../어린이는 차이를 그대로 보나 어른의 시선은 차이를 차별로 구조화시킨다.

-: 어려움을 기획과 펀드, 이벤트 중심으로 사고하는 것은 아닌가? 혹 아이디어차원에서 머무는 것은? 아이템이 아니라 아이디어.. 은연중에 자본의 관점이 다른 장점들을 앞세우게 되는 것은 아닌가? 자본가와 동일한 시선으로 보게 만들고 대상화하는 것은 아닌가?

*: 외*센터의 시선으로 제도 안/곁/밖을 들여다볼 수 있었다. 참터의 시선으로 보는 것보다 새로운 영역이나 접근경로가 있는 것 같다./ 다문화관점 - 섞기고 녹지 않는다. 함께품고만드는 일조차.--> 작은 경험을 소중한 경험으로

/  혼자열심히, 부분 결실,네트워크, 필요운용비용마저 감당하지 못하면 자맥질로 흐를 수도.. 돌파구가 로또,행운을 잡으려는 것이 아니라 한 계단 올라서서 보는 것일수도...


1. 우리는 단일민족인가? 장씨, 고려가요 회회인, 투구르계 위구르인...조선 세종이후 유교로 족보나 문화에서 물러남.. ..

2. 우리의 역사관은 무의식 가운데 오리엔탈리즘으로 경도되어 있지 않은가? 한손엔 칼, 한손에 꾸란 --십자군전쟁시 유럽의 시각.

3. 디아스포라, 정착하는 이슬람...2세들은? 테러에 대해 안전하다고. 1세대는 먹고사느라 2세대의 정체성 회복은 구조화된 차별을 해결하려한다.  우리의 하대와 차별은 어떻게 나타날까?

4. 불과 100년만에 이슬람이 정복자임에도 전세계적으로 퍼진 이유? 다른 종교는 세금을 조금 더 내라..그것도 다른 세력의 치하에서보다도 적은 량,  인종-성 차별의 없음.... 

5. 중동/아랍/이슬람의 구분?

6. 항해술에 뛰어난 이유? 사막에서 길찾기-삶이냐 죽음이냐? 문화로서 삶으로서 종교...이동경로 주변이 모두 무슬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http://daemulim.zoa.to/bbs/zboard.php?id=archive&page=1&page_num=15&select_arrange=headnum&desc=&sn=off&ss=on&sc=on&keyword=&no=79&category=1

 


III 미국의 저녁
9. 레이건의 유산
10. 미국, 영광스러운 부채의 제국
11. 현대 제국의 자금조달
12. 사악한 일이 일어나다


황해문화 53. 2006 겨울

 특집: 87년 혁명, 그후 20년

신자유주의 세계화에 저항하는 노동자 정치운동의 복원 - 홍석만

민주화 세대의 역사적 좌표 - 김정한


자급의 지혜와 지속 불가능한 미국적 삶-박혜영


1. '거머리와 숙주'/'불난집에 가구던지기?'"대마불사'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arine 2006-11-20 15: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이 책 무척 궁금했었어요

여울 2006-11-20 15: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블루마린님, 어제 반틈보다 날 새고? 싶더군요. 오늘 출근이라 많이 참았습니다. 반틈 더보고 흔적, 생각 남기지요. 고진의 <윤리21> <트랜스크리틱>과 함께 보셔도 좋을 듯 합니다.

marine 2006-11-24 16: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여울마당님 좋은 책 소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둘 중 더 쉽게 접할 수 있는 책이 어떤 건가요?

여울 2006-11-24 16: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일반인들을 상대로 대중적으로 쓴 책은 <트랜스크리틱>이라고 고진은 이야기하는데, 개인적으론 <윤리 21>이 얇고 보기엔 더 편했습니다.
 







훈련 : 단풍-CBS 대회 하프참가  (분류 : 즐겁게 달리기)
대청댐일원에서 1시간 35분 (14:09 - 15:44:00) 동안 21.0975km 대회참가 훈련 실시 (페이스 : 4'30"/km, 속도: 13.32km/h) M766NY 운동화 착용
1. 인근대회를 검색하다보니 가까운 곳에 대회가 있다. 어제 아*데미 모임으로 늦은 귀가, 아침 자원활동 학생들과 만남..시간적인 여유가 있어 대회장으로 향한다. 운치도 날씨도 참 달리기 좋다. 몸도 그렇게 피곤해하지 않는 기색이다.

2. 가벼운 점심..무리하지 않기로 하고, 즐겨 달려준다. 그래도 빠른 달림이었는지 배가 고파, 두번씩 요기한다. 얕은 오르막 내리막이 지루하지 않아서 좋다. 10K코스를 2회전 하는 것이 맘에 걸리지만 그럭저럭 달릴만 하다. 달림이들과 함께 화이팅하며 즐겁게 주말을 보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김소진의 소설을 처음 읽었던 날의 충격을 나는 아직까지 잊을 수 없다. 그것은 아주 세밀하게 조각된 자개장을 손바닥으로 쓸어보는 기분이었다. 작지만 저마다 제 역할을 다하고 있는 개미굴 속을 말끄러미 들여다보는 기분이었다. 단어 하나하나가 그대로 의미가 되고, 문장과 문장 사이는 꿀이라도 발라놓은 것처럼 끈끈하게 이어져 있었다. 쉬 잊고 지내는 곱디 고운 우리말들이 곳곳에 건빵 속 별사탕처럼 찬란하게 박혀 있었고,  이야기는 그 자체로 이미 완전했다.

'되도록이면 마흔이 넘어 밑천 두둑한 장사꾼처럼 등장하고 싶었다'는 작가 김소진은, 늦깎이가 되리라는 꿈이 무너졌다고 투정을 부리면서도 식지 않는 필력을 자랑했다. 되돌아보면 그는 참 부지런히 그리고 열심히 써 온 작가 중의 하나다. 소설 쓰기가 어찌 부지런함 만으로 되는 것이겠는가. 어쩌면 그는 참으로 빨리도 펜을 놓아야 할 운명을 미리 직감한 것은 아니었을까..<by 오즈마>


뱀발01. 술짬과 두통으로 빈 시간들이 없다. 도서관에서 챙긴 책들을 군데군데 읽고 있다. 맘만 갖고 있는 것이 아니라 꼼꼼이 살려내고 있는 그로부터 밀려온 지난 날들, 무너진 마당, 뒷골목을 다시 기억에서 꺼내고 있는 자신을 보게 된다. 아이들 이름보다 하는 일들로 불려진 우리들이었다.  영세 구두집, 고물상집, 쁘로찌집, 자전거포, 사진사네, 등산기념품...땡중집, 소사집..하드집.. 그 좁은 골목길. 그냥 무심코 지나쳤던 기억들이 조각조각 모인다. 그 구멍가겐 아저씨가  몸이 불편했었지?

뱀발0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