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

합리성은 시간은 직선이란 관념*에서 시작합니다. 그렇게 생긴 미래는 계획해서 만들 수 있다는 착각 또한 낳은 겁니다.

그럼 시작점을 직선이 아니라고 가정해보는 겁니다.

예를들라면, 여러분은 곡선이라 답하겠죠.

음, 그러지말고 뒤엉킨 고무줄이라고 해보는 겁니다.
그러면 시간이 어떻게 되겠어요.

곡선도 보이겠죠. 보면서 만져보는 겁니다. 당기면 늘어나기도 하고, 누르면 줄어들기도 하겠죠. 어떤 놈은 풀려나기도 할 겁니다.

여러분은 이 글을 읽는 동안 시간을 경험한 겁니다. 지금까지는 ‘시간은 직선이다‘라는 추상에 사로잡혀 생각과 일상을 전개한 거예요.

여러가지 경우의 수를 안타깝게도 놓쳐버린 거예요.
미래에 사로잡혀 현실의 여러가지를 잃어버릴 수밖에 없는 거예요.

돌아가봅시다. 어제 난 시간을 다루는 세공사 둘을 만나, 밤이 고운 뒷고기 집에서 얘기를 만진 겁니다. 그리고 오늘 밤 다른 시간 속으로 접혀들어 또 다른 시간을 만져볼 겁니다.

*도미니크 르쿠르, 《진보의 미래》동문선

1.

예전에 읽은 책이 잡혀, 서울 가는 기차안에서 다시 본다. 이해되지 않던 말들이 바로 집혔다.

2.

세공사 가운데 한 분이 다시 한살 토크쇼에서 준 편지도 다시 밑줄그어 읽다. 시간이란 단어에

#나다이즘
#서울대호암교수회관
#나다이즘전
#Nadais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http://neolook.com/archives/20250502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저장
 






























1. 


컨벤션홀로 통하는 로비는 비가 오는 내내 바람골을 만든 듯 춥다. 손님이 없을 듯 싶지만 기다림이란 그리 어설프지 않다. 몇 권의 책이 함께 있기 때문이다. 이수명의 <내가없는 쓰기>의 몇 개월을 읽다보니 벌써 여름 가까이 온 듯하다. 그러다가 빛과 실을 건네든다.



2. 


이런 뒷부분의 일기가 묘하게 겹친다 싶다.


<빛과 실>에는 글쓰는 작업을 위해 공개한 루틴이 나온다. 더 오래, 더 길게는 작가들의 로망이기도 하다. 헌데 공짜는 없다. 꽂힌 것은 스트레칭이다. 오십견을 겪은 뒤 느낀 것은 잔근육을 지나치게 움직이지 않았다는 깨달음이다. 


3. 


전시 뒤풀이를 못한 사위와 딸. 지난 비내리는 주말 틈을 타 일정을 잡고 함께 한다. (어머님과도 한잔) 음주에 대한 흑역사를 거침없이 말하는 제멋대로 여사 앞에서 얼굴도 화끈거린다. 하지만 없는 사실도 아니니 어찌할 수는 없다. 짬을 내서 달려주지만 많이 마신 술에 장사는 없다. 여독에 더해진 일정이 말해준다 싶다. 그림 작업 역시 노동이 들어간다. 과한 작업을 하면, 노가다처럼 쓴 막걸리 한잔 해줘야 마무리되는 것이 일상처럼 되어간다. 문제는 말미의 기분이다. 몸은 넘지 않았다하지만, 시간은 정신승리 편이 아니다. 그렇게 술병은 생기고 다음날의 밀도와 농도는 구멍이 생기고 허술해진다.


4. 


몸의 무게가 내려오다가 증권차트처럼 오르내리기 시작한다. 그리고 한 점을 내려오기 위해 얼마만큼의 강도와 길이가 필요하지도 지난 몇 달간 과정으로 배우게 된다.  조금 더 내리기 위해서 하는 글쓰기도 일환의 하나다. 하지만 달리기도 노동이다. 마지막이 문제다. 매듭을 어떻게 지어주느냐다. 절주의 요령이다.


조금은 비겁해지기로 한다. 어제 숯불꼼장어 뒤 얼큰라면이 문제였다고 말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일상은 흐른다. 익숙한 풍경과 반복되는 움직임 속에서, 우리는 쉽게 스쳐 지나간다


 그러나 나는 그 흐름들을 잘게 쪼갠다. 찰나의 감각들을 나누고, 분해하고, 다시 바라본다. 분해된 감각들은 홀로 남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연결을 찾아 다시 엮인다. 이 과정이 곧 작업이고, 탐구이며, 존재의 방식이다


미세한 기울기로 일상의 세밀한 결들을 포착한다. 사라지는 소리의 여운, 빛의 흔들림, 손 끝에 스치는 촉감, 이렇게 마주치는 감각들은 쌓이고 이어지며, 그 자체로 만들어진다


분해가 곧 낳음이 되고, 나뉨이 곧 창조가 되는 역설 속에서, 자신을 발견한다. 움직임은 순간의 연속이지만, 그 순간을 무한히 나누다보면 정지한 듯 보인다. 그 정지된 찰나 속에서 무한한 변화를 포착한다


일상을 미분하여 분리된 조각들을 다시 잇고, 그 연결 속에서 의미를 만들어낸다. 작업은 의도와 우연을 넘나들며, 규칙 없는 질서 속에서 완성된다. 미분한 일상은 끝없는 과정의 연속이며, 이것이 존재하는 자리이자 내가 되어가는 방식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2025-05-15 15:43   URL
비밀 댓글입니다.

여울 2025-05-15 15: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감사합니다. 금요일 오후 토요일은 가능한 한 현장에 대기하려 합니다. 연락주시면 더 좋은 관람되실거예요
댓글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