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스 크로싱
존 윌리엄스 지음, 정세윤 옮김 / 구픽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노인과 바다‘의 웨스턴인가 싶지만 이건 일방적인 학살, 그 끝엔 아무것도 남지 않는 절망과 파괴. 다시는 과거로 돌아갈 수 없는 주인공. 새삼 종으로서의 인간과 자연의 balance는 깨진지 오래라는 생각을 하게 된 (저자의 의도는 아니었겠지만)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전 걷기. 2.96마일 50분 313칼로리. 더 할 수 있었는데 중간에 delivery message가 뜨는 바람에 조바심이 나서 빨리 들어옴.


등/이두 1시간 20분 699칼로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동물농장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5
조지 오웰 지음, 도정일 옮김 / 민음사 / 199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결말을 아니 읽은 것이 더뎠다. 제대로 어른의 버전으로 읽은 것은 처음이다. 다 아는 이야기인데 묘하게 요즘의 시국에도 울림이 있다. 정신 똑바로 차리고 싸워야 하고 그 열매를 엉뚱한 것들이 가져가지 않도록 끝까지 지켜봐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전 걷기. 4.96마일 1시간 33분 520칼로리

하체 59분 514칼로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나는 법으로 먹고 사는 사람이다.
미국에서 변호사로 일하지만, 지금도 종종, 그리고 과거엔 더 많이 한국의 판사, 검사, 변호사들을 접해본 경험이 있다.


일로서도 만나고, 사회적 관계나 친목 모임에서도 접해왔다.
그들의 세계를 외부인의 관점이 아니라, 직업적 동료로서 오랜 시간 지켜보며 경험한 바,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한국의 법조인 다수는 법조인이라기보다는 법기술자라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


상담을 하다 보면 고객들 중 한국사람들이 많이, 그리고 특히 이 계통의 인간들의 경우 법을 지켜서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을 묻지 않는다. 대신, 어떻게 법을 이용해서 원하는 것을 얻어낼 수 있는지만 묻는다. 법조문과 조건을 기술적으로 따져서 사실상 불법적이거나 부정한 방법을 법적으로 정당화하려는 시도다.


물론 현실에서 모든 법률 문제는 일정 부분 gray area를 수반하고,
적법한 유권해석을 통해 방법을 제시하는 것은 변호사의 직업적 숙명이다.
나 역시 그런 기술적 접근을 피하지 않는다. 누군들 완벽하겠는가.


하지만 한국 법조인들을 만나면서 내가 느낀 건 그들이 생각하는 법기술은 그런 상식적인 수준을 넘어선다는 점이다.


합법과 불법 사이의 경계가 아니라, 불법을 정당화하거나 법망을 회피하려는 시도가 당연하게 여겨지는 수준이다. 


실제로, 과거 여러 차례 업무과정에서 그런 경험을 했는데 한국의 법조인이 미국법을 만만하게 보고 개수작질을 부리다가 아작난 것을 본 적이 있다 (진짜 상담 많이 해줌). 그와 대화를 하고 나면 법을 practice한다는 사람이 타국의 법에 대한 respect가 전혀 없다는 인상을 지울 수가 없었는데 문제는 그 개인이 아니라, 그와 비슷한 인식으로 법을 접근하는 일반인들이 많고 한국의 법조인들은 그 top에 있다는 사실이다.


조희대 대법관의 14세 여중생 임신 사건 무죄 판결은 법기술자의 시대가 만들어낸 대표적인 사례가 아닌가 싶다. 


피해자의 ‘사랑한다’는 말 한마디로 특수강간범을 무죄로 만들었다. 2023년에 대법확정이 되었으니 법이 미비하던 옛날얘기가 아닌 것이다.


그리고 2025년, 같은 법기술자가 이재명 대표에 대한 사법살인과도 같은 판결을 내렸다.
고등법원이 명백하게 증거 문제와 수사의 하자를 지적하며 무죄를 선고한 사건이었다.
하지만 조희대와 그 패거리는 단 9일 만에 6만 페이지 기록을 검토했다며 이를 뒤집었다.
과거에는 “기속력 법리”를 이유로 무죄를 선고했고, 이번에는 같은 법리를 외면했다.


법기술자는 법리를 필요할 때만 선택적으로 사용한다.

선택적 기소, 자료 흘리기, 증거 조작, 언론 플레이 — 모두 일상화된 전략이 됐다.
상식적인 준법의식은 사라졌고, 법기술만 남았다.그리고 그 법기술은 판-검사라는 법비집단의 힘을 지탱하는 방법이 된 것이다.


나는 사람마다 선과 악이 섞여 있다고 생각해왔다.
좋은 사람도 나쁜 사람도 어디에나 일정 비율로 존재한다고 믿었다.
그러나 한국 법조계에서는 나쁜 사람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음을 이번에 더욱 뼈저리게 깨닫게 되었다.

남을 돕고 원칙을 지키려는 법조인들은 소수에 불과하며, 대다수는 기회주의자이거나 아예 부패한 법기술자들이다. 그리고 중간지대의 사람들은 힘 있는 쪽으로 끊임없이 기울며 책임을 회피한다.


이번 한덕수 전 총리와 최상목의 사례가 그 절정을 보여준다.
이미 사임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직권이 정지되는 자정 직전, 최상목의 사표를 수리했다.

최상목이 탄핵표결 중에 던진 사표였음에도 그리고 한덕수는 이미 총리직에서 사실상 물러난 상태였음에도 불구하고 행한 짓꺼리는 대한민국 헌정 질서를 파괴하는, 12.3 쿠데타의 연장선상에서 이뤄진 행위가 아닌가.


화가 나서 여전히 일이 손에 잡히지 않는다. 같은 소리를 다른 말로 하는 것 같은 이 상태가 오늘의 내 정신상태가 아닌가 싶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yamoo 2025-05-02 13:2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는 예상했습니다. 30퍼센트의 확률로. 그럼에도 화가나고 모든 언론들이 약속이나 한듯이 유죄의 취지로 파기 환송 운운하며 재판의 대상자 프레임을 씌우는게 참 속보이는 짓거리라 보여요.

transient-guest 2025-05-03 00:40   좋아요 0 | URL
저는 설마했는데 기일 빨리 잡히고 TV중계허가나고서 걱정하기 시작했죠. 검찰을 개혁하는 선에서 더 나아가서 법원도 개혁의 대상임을 다시 한번 보여준 사건입니다. 뉴스 뜨자마자 민주중진 어쩌고 하면서 대체후보 이야기 나오고 이낙연이 꼴깝떠는걸 보니 이게 다 밀실에서 이미 계획하고 준비된 것이구나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