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벨파스트의 망령들
스튜어트 네빌 지음, 이훈 옮김 / 네버모어 / 2020년 7월
평점 :
전직 IRA(아일랜드공화국군)의 전설적인 행동요원 제리 피건은
12년의 복역이 끝나갈 때쯤부터 자신에게 보이기 시작한 열두 유령 때문에
7년이 지난 지금도 매일 괴로워하며 술독에 빠져 지낸다.
피건을 쫓아다니며 밤마다 비명을 지르는 열두 유령은 모두 그의 손에 목숨을 잃은 자들이다.
어느 날, 유력정치인이 된 오랜 친구가 피건 앞에 나타나자 소년 유령은 처형의 몸짓을 한다.
실제로 소년을 죽인 건 피건이었지만, 그렇게 만든 최초의 계기는 그 친구였기 때문.
부패한 정치인이자 자신을 협박하는 그 친구를 죽이자마자 소년 유령은 사라진다.
이제 피건은 확실히 알게 된다.
유령들에게서 해방되기 위해서는 그들이 원하는 사람들을 죽여야 한다는 것을.
(출판사의 소개글을 일부 수정, 인용했습니다.)
● ● ●
북아일랜드의 역사는 꽤 오래 전에 본 단편적인 해외뉴스 이상을 알지 못합니다.
영국으로부터의 독립 요구, 끔찍한 유혈폭력사태, 신구교 간의 지독한 증오 정도가 전부인데,
그래서인지 소설 속에 북아일랜드가 등장하면 무척 호기심을 갖게 되곤 했습니다.
최근 읽은 작품 중엔 이언 랜킨의 ‘치명적 이유’(존 리버스 시리즈)가 그런 경우였는데,
북아일랜드가 잠깐 지나가는 무대로만 등장했기도 하지만 기대에 비해 별 소득은 없었습니다.
가장 큰 이유는 (이언 랜킨이 스코틀랜드 작가여서 그랬겠지만) 불친절한 정보 탓이었습니다.
IRA, UVF, 로열리스트, 얼스터의 붉은 손, 오렌지로열여단 등 적잖은 조직들이 등장하는데
정확히 누가 누구와 대립하거나 연대하거나 전략적 제휴를 맺는 건지 불분명한데다
북아일랜드의 갈등의 시발점과 현황에 대한 간략한 설명조차 너무 모호했기 때문입니다.
‘벨파스트의 망령들’은 북아일랜드의 근현대사가 주된 배경이다 보니
그런 정보에 대한 갈증이 더욱 심할 수밖에 없었는데,
작가 본인이 아일랜드 출신이라 그런지 독자들에게 더 무심했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이야기의 역사적 배경에 대한 설명에 인색한 편이었습니다.
영국으로부터의 독립을 요구하는 IRA(아일랜드 공화국군)의 극렬 행동대원이었던 제리 피건은
자신에게 들러붙은 유령들을 위로하고 사라지게 하기 위해
자신이 살해했던 그 유령들의 원한을 풀어줘야 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에 처합니다.
살인범은 피건 자신이었지만 그들을 죽음에 이르게 한 ‘진짜 범인들’을 제거해야만 되는데,
문제는 이 ‘진짜 범인들’이 한때 피건과 한 배를 탔던 동지들이란 점,
하지만 현재는 북아일랜드의 불안정한 상황을 이용하여 잇속을 챙기는 권력자거나
피건 입장에서 흔적을 남기지 않고 쉽게 제거하기 힘든 인물들이란 점입니다.
어쨌든 피건은 하나둘씩 자신의 목표물들을 제거하며 유령들의 숫자를 줄여나갑니다.
그런데 독자 입장에서 난감한 점은 북아일랜드의 불안정한 정치 지형도가
미스터리의 주 무대이자 핵심적인 비밀을 가진 듯 꽤 장황하고 상세하게 소개되고 있지만
정작 ‘진짜 범인들’이 그 정치 지형도 가운데 어느 쪽에 서있는 건지,
누구와 대립하는 건지, 궁극적인 목표는 무엇인지조차 불분명한데다
주인공 피건의 복수극은 실제로는 정치적 상황과는 별로 관계없어 보인다는 점입니다.
물론 작가는 중간중간 이야기를 쉬어가며, 또는 몇몇 인물의 대사를 통해
‘큰 판’이 어떻게 생긴 건지 나름 이런저런 설명을 해주곤 있지만 저의 이해력 부족 탓인지
이야기의 배경에 대해 무지한 상태에서 책장은 속절없이 넘어갔고,
결국 ‘끝에 가면 알게 되겠지’라는 체념으로 피건의 복수극에만 전념하게 된 책읽기였습니다.
고백하자면, 마지막 장을 덮고 서평을 쓰는 지금도
주요 인물들의 정치적 포지션과 대립 구도와 목표가 정확히 어떻게 생긴 건지는 잘 모릅니다.
이 작품이 해외에서 꽤 호평도 받고 상도 많이 받았다고 하니
저의 무지몽매함이 만족스럽지 못한 책읽기의 가장 큰 이유겠지만,
어쨌든 이 작품에 도전하고 싶은 독자라면 북아일랜드의 근현대사에 대해
인터넷으로라도 간단히 예습할 것을 권하고 싶습니다.
저로서는 다른 독자들의 서평을 통해서라도 제 부족한 이해력이 보충됐으면 하는 바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