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학적 언어를 만들어냈다. 뉴턴이 직관한 것은 바로 그것이었다. 뉴턴의 미적분이 만들어낸 동적 세계관은 19세기 중반 가장 매력적인 물리학자이며 수학자인 제임스 맥스웰 James ClerikMaxwell의 완벽한 방정식을 가능하게 했고 그 방정식은 산업혁명을 완성시켰다. 자기장이 변하면 전기장이 발생한다는 방정식에서 발전기가 발명됐고 전기장이 변하면 자기장이 생긴다. 는 방정식에서 모터가 발명될 수 있었던 건 결국 미적분이 만들어낸 동적 세계관의 개벽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 P148
그러나 불행히도 대한민국의 수학 교육에서 미적분이 일궈낸 세계관의 변화는 일언반구도 언급하지 않고 지금도 기울기와 면적을 계산하는 반복 연습에만 매달려 있다. 우리가 학교에서 배운 미적분에서 어떤 직관을 얻었는가? 미적분은 분석과종합의 틀이다. 그게 직관과 직접 관련을 맺는 게 아니다. 오히려 정반대로 여겨진다. 그러나 직관은 하늘에서 떨어지는 것도아니고 극소수의 천재의 영역만도 아니다. 그 사유의 맥을 짚는통찰력을 통해 길러진다. - P148
계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개념 없는 직관은 맹목이고 직관 없는 개념은 공허하다"는 칸트Immanuel Kant의 유명한 명제를 패러디해보면 분석 능력이 없는 직관은 무모하고 직관 없는 분석능력은 시키는 일에 충실할 뿐이다. 천재가 아닌 다음에야 우리는 끊임없는 분석과 종합의 훈련을 통해 전체를 통찰할 수 있는 힘을 마련할 수 있다. 그 경지에 다다랐을 때 비로소 약간의직관의 힘을 갖출 수 있다. - P149
그리고 렘브란트의 그림, 모차르트의 음악, 니체의 철학에 흠뻑 빠졌다. 이런 자양분이 마크 로스코의 사상에핵심적인 자리를 차지했다. 그에게 영향을 끼친 두 사람의 화가가 있는데, 하나는 뉴욕 예술학생연맹의 맥스 웨버Max Weber 였고 또 다른 화가는 밀턴 에이버리 Milton Avery 였다. 에이버리는 절제된 형상, 미묘한 색감에서 로스코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
로스코는 1928년 처음으로 전시회를 열었지만 성공을 거두지 못했고 교직으로 생업을 유지했다. 에이버리의 대담한 색채사용에 영향을 받은 그는 현대 회화는 완전히 끝났다고 생각했다. 그게 바로 로스코의 예술적 직관이었다. - P157
로스코의 진화, 즉 그가 형상과 작별한 것은 형상을 훼손하지 않고는 사용할 수 없는 때가 왔으며 자신의 예술이 인간 조건의 비극성을 표현하기를 원했기 때문이다. 그의 추상색면화는 면이 분할된 영역 속에서 반복되는 형태와 심하게 분절된 인간 형상을 특징으로 하는 그의 회화세계가 진화한 것이다. 단순한 표현 속의 복잡한 심정‘이라는 그의 이상이 독특한 화풍으 - P159
로 구축된 것이다. 그 형태 안에서 로스코는 폭넓은 색채와 색조, 여러 가지 양식적 관계를 활용해 극적이고 소박하면서도 시적인 다양한 분위기와 효과를 만들어냈다. 예술가는 자아를 자발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개인이다. 그리고 그 핵심을 이루는예술가의 직관은 바로 그의 예술세계의 중추를 형성한다. - P1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