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n Fixing Dinner Fix the Planer?] 과 [Oneness vs. The 1%]의 번역판을 함께 읽었다. 3월의 일요일, 하루를 오롯이 쏟아붓게 만든 조합이었지만 왠지 시너지를 낼 짝패 같았다. 두 저자, 제시카 판조(Jessica Fanzo)나 반다나 시바 (Vandana Shiva)는 모두 "먹는 문제"에 헌신해 온 활동가이다. 현재 존스홉킨스 대학 석좌교수인 판조는 "실험실 가운을 완전히 벗어 던(6)"지고 다양한 국제 기구에서 활약함으로써 비로소 영양학 박사 학위에 광채를 더했다. 반다나 시바야, 이 시대를 대표하는 환경운동가이기에 어설픈 소개의 글은 사족이다.
*
두 저자 모두, 먹는 문제가 지금 우리가 겪는 지구적 차원의 불평등, COVID-19 팬데믹(환경), 건강문제 등 21세기 현안과 얽혀있다는 입장이다. 또한, 이들은 독자에게 골리앗과의 싸움이라고 포기하지 말고 개개인의 몫을 실천하라고 촉구한다. 물론, 대규모 실질적 변화를 위해서는 결국 '각국 정부'가 나서 주어야 한다는 데 반다나 시바와 제시카 판초는 인식을 모은다. 다만, 예비 독자들도 짐작하겠지만 '반다나 시바'는 정밀 타켓팅으로 비난의 집중포격을 가하며, 보다 역사적이고 장기적 관점에서 세계의 먹는 문제를 지구적 의제로 제시한다.
Kuhlmann /MSC, CC BY 3.0 DE, via Wikimedia Commons
'표적의 구체화?'
예를 들어,독자는 [누가 지구를 망치는가?]을 다 읽은 후, 고유 명사로 답할 수 있다. 물론 "(생태적, 문화적, 공동체적) 분리를 유도하는 폭력을 행사하는 "oneness"는 1인 단독자가 아니다. 그러나 적어도 반다나 시바가 보기에 'oneness' 그룹 우두머리는 빌 게이츠이다. 그에게 (디지털 해적질, 생물 해적질을 특허라는 이름으로 대놓고 하며 세계를 식민지 삼는 "현대판 콜롬부스(120)"라는 멸칭도 붙여준다. 이미 1960년대 '녹색 혁명'의 녹색 곤죽을 뒤집어 쓴 바 있던 인도 출신, 반나나 시바는 빌 게이츠가 21세기 아프리카에서 제2 그린 워싱 (green washing) 음모를 전개 중이라고 분개한다.
[누가 지구를 망치는가?]에서 예를 빌어오자. 몬산토에서 전폭적으로 밀어온 "황금쌀"에는 인공적으로 강화된 비타민 A가 들어있다. 하지만 반다나 시바는 생명공학의 힘을 빌지 않아도 우리에겐 당근이 있다고 말한다. 또한 빌 게이츠가 '출산 도중 철분부족으로 사망하는 산모'를 위한다며 개발 중인 '철분강화 바나나'보다, 히말라야 지천에 널렸던 비름속 식물에 철분이 정작 잔뜩 들어 있다고 한다. 몬산토 등 몬스터 기업들이 '잡초'로 악마화하여 씨를 말리려는 바로 그 비름 말이다.
비단 먹거리의 공룡기업화뿐 아니라, 금융화, 특허화, '교육의 재발견' 프로젝트, 즉 삶 전반의 디지털화를 강요함으로써 인류 본연의 "연결성"과 역방향으로 세계를 식민지화한다는 게, 반다나 시바가 파악한 "oneness"의 죄악이다. 시바는 외친다. "돈을 손에 쥐고 돈에서 가짜 권력을 끌어낸 사람들이 권력을 독점하는 시대에 우리의 권력을 되찾을 방법을 모색(206)"하자고! 간디의 비폭력 운동에서 영감을 얻었다는 시바는 인도의 칩코운동을 예로 들어, 보통 사람들의 힘을 보여준다. "Oneness"세력이 전파하는 기계론적 사고에서는 "객관적 지식을 지닌 전문가"(49)가 지식생산을 독점한다. 하지만 텃밭의 감자를 따끈한 요리로 변모시키는 할머니의 체화된 앎, 세계의 이 방대하고 다양한 지식체계야말로 인류가 지닌 가능성이라는 주장이다.
반다나 시바에 비해 제시카 판조의 글은 보다 아카데믹하며, 관료적인 뉘앙스를 띤다. 물론 판조도 "식품 불평등은 극빈곤이나 배척, 장애, 착취, 사회적 불의와 같은 더 큰 제도적 문제를 보여주는 징후"(152)라고 인식한다. 증거부족은 무기력한 방관의 핑계가 되지 못하니 "정부가 행동에 나서" (245)라고 소리 높인다. 하지만 제시카 판조가 제시하는 해법의 주도자들은 세계적 브레인, 전문가 집단으로서의 학자와 정치가, 관료들이다. 예를 들어, 그녀는 정부가 푸드시스템 연구 개발을 위해 투자하고, (전문가를 동원하여) 구체적 데이터와 지표를 확보해 정책집행, 사업화 해야한다고 주장한다. 현장과 학계, 정계에서 오래 목소리 내온 활동가의 조언은 소중하다. 판조의 [저녁 식탁에서 지구를 생각하다]가 아니었던들 나는 음식을 조리할 연료가 부족해서 할 수 없이 정크푸드를 먹거나, 저장고가 없어서 소중한 곡류를 쥐먹이로 주는 현실을 알지 못했을 것이다. 그러나 동시에 나는 실망했다. 그녀가 일원으로 참여한 "Eat _Lancet Commission" 2019년 보고서에서 '과일과 채소의 비중이 무려 51%'인 식단을 제안한 지점에서... 지중해 지역에서 조차 '(환경의 희생을 요구하는)물 먹는 하마,' 아몬드와 올리브 그득한 요리를 즐길 사람이 많지 않을지언데, 51% 과일과 채소 식단의 세계적 적용??
* *
잠시 딴 길로 새며, 리뷰를 마친다.
9살에 TOFLE 영어 학원 다니고, 고차 방정식 푸는 '선행'어린이가 많은 대한민국. 정작 이 영민한 아이들은 벼가 "쌀나무"에서 열리고, 고추장에 배추를 문지른 것이 김치라고 알기도 한다.
나는 대한민국 공교육 과정에서 아이들이 먹거리가 도는 과정을 알고, 음식을 만들고, 먹거리의 가치를 배우는 프로그램을 필수화했으면 한다. 구호나 정책 제안보다, 우리 개개인이 먹거리의 소중함을 지켜야할 필요성을 몸으로 느끼고 먹거리에 담긴 가치를 배우는 게 필요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