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oting Star 국립현대무용단 픽업 스테이지




[정보]

문의: 02) 6196-1619

장소: 예술의 전당 CJ 토월극장

공연기간: 2017.11.10 ~ 11. 12 (일)

공연시간: 평일 20시, 주말 15시

공연상세정보: http://www.sacticket.co.kr/SacHome/perform/detail?searchSeq=32293


 공연예술로서의 춤, 특히 현대무용을 사랑하는 이유는 무용수들이 응축시켜놓은 어마한 에너지를 무대 공간이라는 허용된 장을 통해서 관객과 나누기에, 소위 '氣를 받아가는' 뜨거운 느낌 때문이다. 중독치고는 우아한 중독일진대, 같은 공연, "보고 또 보고"는 이유가 바로 이 때문. 지난 11월 둘째 주에 공연된 국립현대무용단 픽업스테이지의 "슈팅스타(Shooting Star)" 공연은 정말 최고였는데, 아쉬운 점이 딱 하나 있었다. 바로 3일 공연 중, 마지막 날 찾았기에 "보고 또 보고" 할 수 없었다는 점. 공연 첫날인 10일에 다녀왔더라면, 다음 날, 또 그 다음 날 공연장을 찾았을 텐데. 아쉽다는 말이 자꾸 나온다.

우아한 마린스키 발레단의 "백조의 호수"와 유럽의 신개념 현대무용 "슈팅스타"가 동시 공연되던 11월 11일의 예술의 전당. 강렬한 '분홍분홍' 색감만큼, "슈팅스타"의 개성은 놀랄만큼 뚜렷해서 그 누구도 흉내낼 수 없다. 같은 무용가들이 춤을 추고, 동일한 곡을 연주한다해도 매회 공연마다의 독자적 느낌은 두 번 다시 재현할 수 없을 창조적 즉흥성! "슈팅스타" 공연을 본 관람객을 이야기하리. '마린스키 무용단'의 명성에 눌리지 않을 정도의 압도적 독창성의 무대였다고.



이 독창적 작품의 공동 안무가는 Laurence Yadi와 Nicolas Cantillon! 발음이 어렵다. 로렁스 야디(Laurence Yadi) 니꼴라 껑띠용(Nicolas Cantillon)라고 읽는단다. "동방의 별을 쫓는 유럽 안무가"라는 작품 부제처럼, 이 둘은 70년대 프랑스 태생이면서 아랍권 문화에 뿌리를 둔 작품세계를 지향한다. 사실 로렁스 야디의 아버지가 알제리 태생이라거나, 니꼴라 껑띠용이 알제리인이 창단한 무용단에서 처음 무용을 시작했다는 정보만으로는 '아랍 문화색채'를 유추하지는 못 하겠다. 솔직히, 아랍문화를 잘 모르니까. 그런데 분명한 건, 이들의 안무는 어디에서도 볼 수 없었던 느린 유동(流動)성에 더해, 쉼없이 솟구치는 에너지를 담고 있었다. 자료를 찾아보니, 이들이 개척한 멀티스타일 퓟퓟(FuittFuitt)’은 아랍 문자를 시각화한 것이라고. 아무리 구글 검색해도 'FuittFuitt' 이미지를 찾기 어려움은, 이것이 '휫퓟'거리는 소리를 나타낸 의성어때문인가보다.


 

 
 퓟퓟(FuittFuitt)’ 스타일 무브먼트도 인상깊었지만, 무엇보다도 날 전율케 한 것은 무대에 오른 6명의 국립현대무용단 단원들. best of the best라 감히 브라보 박수를 보내고 싶은 이들의 이름을 나열하자면, 유다정, 매튜 리치, 김서윤, 표상만, 임소정, 허준환.
*
한국 무용수들과 작업기간이 얼마였는지는 모르겠지만, 로렁스 야디(Laurence Yadi) 니꼴라 껑띠용(Nicolas Cantillon)는 이들 6인의 무용수들 각자의 고유한 에너지를 속속들이 파악해서 절묘하게 작품에 배치했다는 인상을 받았다. 6인의 개성이 한편의 장대한 배틀 씬을 보듯 압도적인 에너지로 엉켜서 분출된다. 그 중에서도 김서윤은  퓟퓟(FuittFuitt)’ 스타일에 최적화된 듯 즉흥성에 강하다. 어메이징한 무용수이다. 허준환은 함께 무대에 오른 매튜 리치와 표상만에 비한다면 외모상 얌전한 귀공자 느낌을 내는데, 막상 춤이 발화점에 이르면 어마한 지속력으로 끓어오른다. 6인의 무용수 모두 최고였다. 틀림 없이, 로렁스 야디(Laurence Yadi) 니꼴라 껑띠용(Nicolas Cantillon)가 이들 한국의 무용수를 자신들의 'Companie 7273' 무용단에 스카웃해가고 싶어했으리라.

20171112_155845_resized

20171112_160227_resized
이들의 환상적인 춤을 단 한 번 밖에 보지 못해 아쉬울 따름이다. 국립현대무용단의 고정 레퍼토리로 팬들에게 "슈팅스타"를 분기별로 선보여주면 좋겠다, 크리스마스 선물 공연으로 한 번 더 무대에 올려주면 정말 신날텐데 하는 상상을 해본다.
 
"Shooting Star"의 국립현대무용단 버전을 관람한 관객이라면, 누구라도 라이브 음악을 맡은 "블랙 스트링(Black String)"에 감탄했을텐데 로렁스 야디(Laurence Yadi) 니꼴라 껑띠용(Nicolas Cantillon)도 마찬가지였나보다. 짧은 '안무가의 글'에서 상당 비중을 이 음악팀에 대해 이야기한다.
 
"블랙스트링은 노련한 음악팀으로서의 풍부한 경험을 통해 얻은 강한 정신력으로 무장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무용수들과 함께 이러한 블랙스트링과 견줄 수 있는 힘을 찾아내야 합니다. 우리가 이루어내야 하는 것은 단지 음악과 춤 사이의 불협화음을 이겨내는 것이 아니라 둘 사이의 완벽한 융합의 형태를 찾는 것입니다." 
20171112_155828_resized
다가올 12월 15일에는 국립현대무용단이 "투오넬라의 백조"를 예술의 전당 자유소극장 무대에 올린다. 이처럼, 이름 만으로 이미 퀄리티가 검증된 최고의 현대무용단이 공연 선물을 자주 준비해준다는 것은 무용팬으로서 큰 복이다. 그러니, 어찌 선물열기에 게으를 수 있는가? 다음 12월 공연으로 더 많은 현대무용 팬을 확보하기를! Bravo!

20171112_155554_resized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저장
 

Bending the Arc 

벤딩 디 아크: 세상을 바꾸는 힘 (, 2017)  


[정보]

한국 개봉: 2017. 11. 9

상영시간: 102분/ 전체관람가

출연: 폴 파머, 김용, 오필리아 달  

  다 큰 어른이 '존경하는 위인' 어쩌구하면, 유치해보일지 모르지만 아니 더 정확히 말하자면 누가 (주민등록증 따고 난 후의)내게 물어본 적도 없기에 대답할 기회도 없었지만, 내가 존경하는 위인은 바로 '폴 파머(Paul Farmer).' 여러 가지 이유에서이다.

이미 그 이유를 아는 이들도 많겠지만, 이름조차 생소한 데 '왜 위인이냐?'는 생각이 든다면 아래 6권의 책 중 단 한권의 서문만이라도 읽어보길 추천한다. "세명의 아웃사이더 청년, 세상의 상처를 치유하다"라는 부제가 와 닿을 것이다. 왜 이들 셋다 '아웃사이더'의 범주인지를 현재로서는 잘 모르겠지만, 적어도 이들이 건강 불평등의 문제에 남다른 의식을 가졌고 실제 몸으로 움직여 변화를 일궈냈다는 것은 들어서 안다.

 

 

김 용 총재 역시 폴 파머와 마찬가지의 맥락에서 존경하나, 저술과 강연 활동이 상대적으로 더 활발한 폴 파머에 비해 김 용 총재의 생각을 접할 기회가 적은지라, 1순위 존경하는 위인의 자리에 '폴 파머' 를 놓았다.

우연히 기쁜 소식을 알았다. 11월 9일에 개봉하는 다큐멘터리에 '김용' '폴 파머' 가 등장한다.  

*

<세상은 이렇게 바꾸는 겁니다>에서 활자로 전해졌던 절절한 호소를 이제 육성으로 들을 차례이다. 가방끈 길고, 학교 오래다녔어도 늘 세상에 빚지고만 사노나의 부채의식 때문에 존경심(을 넘어선 경외감)이 더 컸는지는 모르겠지만, 아직은 이르다. 존경만 하고 끝내기에는.

*

우선은 이 다큐를 11월 9일 꼭 보는 것으로 스스로 약속하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저장
 
위대하고 위험한 약 이야기 - 질병과 맞서 싸워온 인류의 열망과 과학
정진호 지음 / 푸른숲 / 201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위대하고 위험한  약 이야기 




지난 30여 년간 서울대학교 약대에서 교편을 잡고, 현재 한국 과학기술한림원 의약학부 학부장을 역임 중인 분. 한 마디 독성학 분야의 전문가인 정진호 박사가 대중을 위해 『위대하고 위험한 약 이야기: 질병과 맞서 싸워온 인류의 열망과 과학』을 썼다. 유용하고 재미있기에 고마운 책인데, 뒤돌아서면 내용을 잊을까봐 가볍게 정리한다. (Plus, "푸른숲" 출판사를 좋아하는지라, 푸른숲 신간 리뷰를 하고 싶다)
*
이 책을 읽다 여러 번 『전문가와 강적들 (The Death of Expertise)』을 떠올렸다. 정진호 박사는 수 차례, 왜 대중은  본인을 비롯 전문가의 이야기를 믿지 않고 엉터리 정보에 현혹되느냐고 안타까워한다. 예를 들어, 그가 단체로 베트남 여행을 갔을 때, '만병통치약'을 비싼 돈 주고 사려는 관광객들을 넌즈시 말렸으나 결국 다 사더라는 에피소드를 소개하며 전문가 권위의 실추를 안타까워한다. 단순히 권위 실추의 문제가 아니라, 잘못된 정보로 잘못된 약을 복용했을 때 약은 독이 되어 생명에 위협이 되기 때문에 정진호 박사가 걱정하는 것일테다.


1장, "약을 둘러싼 오해와 진실"에서 가장 핫한 키워드는 바로 플라시보 효과(Placebo Effect). 이 개념이 생긴지 약 200년 동안,  학자들이 기저의 정신심리학 및 신경생리학적 메카니즘을 규명해왔다하는데 대표적 이론이 바로 "기대효과 expectation effect"이다. 의사를 만나기만 해도 증상이 좋아지고, 약의 색깔에 따라 약복용 효과가 달라진다니 놀랍기 그지 없다 (참고로 우울증 치료에 가장 효과적인 색은 황색 위약이었다고 한다. 왜 일까?)
2장 "약은 어떻게 독이 되는가?"에서는 입덧 방지약으로 쓰였다가 세계적으로 기형아 출산률을 높인 탈리도마이드를 대표적인 예로 약의 이중적 얼굴을 분석한다. 놀랍게도 그 악명높은 약, 탈리도마이드는 drug repositioning을 통해 2017년 국내에서도 혈액 암 치료제로 쓰이고 있다.
개인적으로 3장 "인류를 살린 위대한 약의 탄생"이 가장 흥미로웠는데, 이는 상대적인 무지와 반비례한 결과이다. 몰랐기 때문에 3장에 수록된 정보가 신선하고 흥미롭다고 느꼈을 터이다. 옛 이발소의 문양이 피묻은 붕대를 걸어놓은 이미지라는 것을 언어천재 조승연의 책에서 읽은 기억은 나는데, 정작 더 중요한 사실을 몰랐다. 몸에서 피를 빼 병을 치료하는 "방혈 요법"이 19세기말까지 서양의 대표적 만병통치 치료법이었다니! 1163년 교회가 수도승이나 성직자의 방혈 시술을 금하자, 이발사가 방혈 시술에 더해 심지어는 절단 수술까지 했었다니!

4장, "무병장수를 향한 끊임없는 욕망"에는 예상했던 대로 진시황의 수은중독 사례가 등장했다. 또한 예상대로 비아그라에 대한 분석이 이어졌는데, 독자를 당혹스럽게 만드는 주장이 있어 기록하고자 한다. 정진호 박사는 "비아그라는 고개 숙인 남성만 살린 것이 아니었다. 비아그라는 환경 생태 보호에 큰 역할을 했다. (200쪽)"라고 주장하며 2008년 미국 워싱턴 대학교에서 낸 통계 자료를 인용했는데 "비아그라가 등장하면서 멸종 위기에 몰린 생물의 불법 거래가 줄고 개체 수가 현저히 증가"했다고 한다. 이런 진술에 당혹스럽지 않은 독자가 있을런지.....
20171026_164845_resized.jpg
정진호 박사의 말처럼 대한민국에서 약학을 전공하지 않는 이상, '약'에 관한 유익한 교양 강좌를 들을 기회가 대학생은 물론이거니와 그 외 성인에게 많지 않다. 그래서 더욱 읽어야한다. 『위대하고 위험한 약 이야기: 질병과 맞서 싸워온 인류의 열망과 과학』를. 제 아무리, 인공지능 시대 똑똑한 "알파고"가 이세돌을 이기고, "Watson"이 진단을 내리고 병의 치료를 돕는다 할지라도, 근본적 판단력은 있어야 기술을 활용할 수 있지 않을까? 아무튼 참 고마운 책이었다.
20171026_164855_resized.jp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Stephen King 1922

 

https://www.netflix.com/kr/

*

 남이 보는 영화 중간부터 기웃거리다가 푹 빠져들어 끝까지 보고 나니, 오호! 그러면 그렇지! 뭔가 다르더니, 스티븐 킹 원작소설을 영화화한 작품이었구나. <1922> 은 옥수수밭 표지의 소설 <Full Dark, No Stars>에 수록된 중편소설 <1922>와 동일한 제목이다. 영화에도 옥수수밭이 등장한다. 땅에 대한 애착?, 집착?에서 살인이 벌어졌다. 1922년, 어느 날. 아버지와 10대 아들이, 곤히 잠들었다가 깨서 저항하는  엄마의 목을 딴다.

불과 8년만인 1930년, 공범으로서의 아들은 이미 8년 전에 사망했고 살아남은 아비의 머리카락은 회색으로 새었다. 한 때 우람했던 농부이자 살인자의 왼팔 아래, 손은 절단되어 없다. 주검이 된 아내의 몸을 쥐들이 놀이터 삼았고, 쥐는 살인자의 손을 물어 뜯었다. 불과 8년 만에 살인자는 땅은 물론, 농장과 집 그리고 전 재산을 술로 잃었고 건강했던 몸도 마음도 잃었다.

1930년의 남자는 1922년 남자가 했던 선택을 후회한다. 다른 길도 있었다고 읊조린다. 영상으로도 이 정도의 압박감으로 살인자의 죄책감과 괴로운 심경이 전해지는데, 실제 소설을 읽으면 대단하겠구나. 스티븐 킹은 정녕 대단하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Full Dark, No Stars>

 

 

*

 주인공으로 열연한 토마스 제인  (Thomas Jane, 1969년 2월 22일 ~ )은 상남자 포스를 폴폴 풍기는 중년인데, <1922>에서 굉장히 독특한 발음으로 연기한다. '내 성에 차지 않으면 너희를 잘근잘근 씹어주겠다'는 증오심을 보컬화에 담았는데 소리를 이 사이로 꼭꼭 씹어뱉는 발음을 하는데, 영화를 보다 자꾸 겹쳐 생각나는 지인이 있어서 의아했다. 그 분도 그렇게나 꼭꼭 씹듯 발음하던데 기저의 심리 상태는 무엇일까?

*

*

미드 <하우스 오브 카드>에서 미스캐스팅이 아닌가 싶어 기억하는 여인을 이번 기회에 이름까지 기억하게 되었다. Molly Parker. <1922>년에서 남편과 아들의 습격뿐 아니라, 죽어서도 들쥐떼의 습격을 받는 가련한 여인 역을 맡았다. <하우스 오브 카드>에서 창백하고도 맥 없는 연기로 고위직 정치인의 연기를 했던 그녀의 제 자리는 차라리 이런 시체,혹은 혼령 연기였던 것 같다. 아무튼 시체로서의 분장과 연기가 인상 깊었다.

 

스티븐 킹의 원작 소설<별도 없는 한 밤에>를 혹시나 시간 여유가 많고 많다면 읽어야지 하며.....


댓글(2)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레삭매냐 2017-10-30 14: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마지막의 <행복한 결혼 생활>이 궁금해서
도서관에서 빌렸다가 미처 못 읽고 반납한
기억이 나네요.

넷플릭스 요즘 열일로 드라마 찍는 모양입니다.

마거릿 에트우드의 <그레이스>도 다음 주부터
방영 예정이라고 하는데 기대하고 있습니다.

<1922>부터 찾아봐야겠네요.

얄라알라 2017-10-31 22:34   좋아요 0 | URL
아. 저 책에 수록된 단편 제목인가보네요.
전 정작 스티븐 킹의 원작은 읽은게 없는데 <Cell><Mist><1408>, <돌로레스 크레이븐> 영화만 봤네요. 정작 그의 문체도 모르는 데....다는 못읽더라도 혹 기회되면 ˝행복한 결혼 생활˝ 읽어봐야겠습니다.
댓글저장
 

내 인생의 영화 "블레이드 러너,"

드늬 뵐뇌브 감독의 "블레이드 러너 2049"를 얼마나 기다렸던가. 2017 가을이 오기를 얼마나 기다렸던가. 추석 연휴에 유료 시사회를 진행하긴 했어도 IMAX관이 아니라 패쓰하고 10월 13일 심야에 보았다.

 

 

 

10월 25일. 수요일 그 중에서도 "문화가 있는 수요일"인지라 IMAX관 영화가 모두 10000원 관람가능하기에 "블레이드 러너 2049" 상영관을 찾다가 놀람. 이제 정말 막 내리는 분위기? IMAX관은 커녕 상영관 찾기가 어렵다. 

 

하긴 "블레이드 러너"가 개봉 당시 흥행에서는 성공하지 못했어도 불후의 걸작으로 영화사에 남았지만, 

이렇게나 팬이 없을까?

한 번 더 보고 리뷰 쓰려했으니, 막판 상영하는 극장 예매부터 해야겠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고양이라디오 2017-12-18 23: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영화관에서 봤어야 하는데 못 봤네요. 좋은 영화 상기시켜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