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들은 자꾸 나를 가르치려 든다
리베카 솔닛 지음, 김명남 옮김 / 창비 / 201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남자들은 자꾸 나를 가르치려 든다

 

 


 

20150530_164455.jpg


왠지 강의실에서 페미니즘의 F는 입에 담지 않는 게 좋을 것 같았다. 사실 이야기할 만큼 알지도 못했거니와, 4음절 이름(부계 사회, 족보에서 지워진 여성을 회복한다는 취지에서 어머니 아버지로부터 성씨를 각각 취해오니 성씨는 자연스레 2음절이 된다)을 스스로 부여한 페미니스트들을 노골적으로 경멸하는 교수님 앞에서 F를 나불대었다가는 왠지 '찍힐' 것 같았다.  'gendered archeology'를 주창하며 패기차게 등장한 학자들이 쓴 <Feminist Anthropology>를 읽다가 깜짝 놀랐다. F가 강의실에서 암묵적 금기어였던 것은 대한민국에서 뿐이 아니구나! 사실 페미니즘(feminism)은 세상의 모든 남자를 적삼아, 여성이 여성을 위해 여성에 대해 목소리를 내는 편협한 운동이 아니라고 들었다. 하지만 여전히 페미니즘의 'F'만 발음해도 색안경을 끼는 사고의 이분론자들이 많은 것 같다. 그들이 리베카 솔닛 (Rebecca Solnit 1961~)의 <남자들은 자꾸 나를 가르치려 든다>를 읽으면 어떻게 반응할까?

 

20150530_164515.jpg

 


사실 <남자들은 자꾸 나를 가르치려 든다>(원제 『MANSPLAIN : Men Explain Things to Me』)는 제목부터가 반발을 불러 일으킬 소지가 다분하다. "남자들은 아직도 자꾸 나를 가르치려 든다. 그리고 내가 알고 그들은 모르는 일에 대해서 내게 잘못된 설명을 늘어놓은 데 대해 사과한 남자는 아직까지 한 명도 없었다. (21쪽)" 등, 공격적일만큼 솔직한 저자의 문체 역시 마찬가지이다. '멘스플레인(mansplain)은 2010년 『뉴욕 타임스』올해의 단어에 올랐고 2014년에는 옥스퍼드 온라인 영어사전에도 실릴 만큼 파급력을 발휘했다. 정작 그녀는 이 신조어를 처음 쓴 이가 아니지만, 종종 그 신조어의 진원으로 언급되기도 했다. 2008년 '톰디스패치' 블로그에 실린 그녀의 글(원문: http://www.tomdispatch.com/blog/174918/tomgram%3A_rebecca_solnit%2C_the_archipelago_of_arrogance
 )  이 많이 읽힌 탓도 있으리라. 그 글발 대단한 필진이 포진한 잡지, 하퍼스(Harper's)의 편집자였고 "지난 20년가량을 글로 먹고 살"(147쪽)"아온 작가답게 그녀의 필력은 대단하다. 번역자 김명남은 그녀의 글쓰기 전략을 두고, "모든 경로를 다 거닐어보는 글, 뜻밖의 연결을 환영하는 글, 끝나지 않는 대화를 시작하는 글, 그러면서도 자신의 목소리를 숨기지 않는(235쪽)" 글이라며, 레베카 솔닛의 말을 소개한다.  
*
탄탄한 독자층을 거느린 베스트셀러 작가인 만큼, 그녀는 적재적소에 셀러브리티의 이름을 심어 놓았고 카니발리즘 살육 실화 등 자극적인 소재들도 소개한다(소녀를 성폭행한 유명 감독 로만 폴란스키나 라나 클라크슨을 엽총으로 살해한 필 스펙터 사례 등). 그렇다고 여성 잡지 기사처럼 트렌디한 소재와 현란한 문구로 화장한 가벼운 글이 아니다. 예술평론과 문화비평에 역사평론까지 섭렵해온 팔방미인에다 환경, 반핵, 인권 운동의 현장에 서온 열렬한 현장운동가(activist)로서 그녀는 세상의 갑질에 집중포격을 한다. 대포가 아닌 글발, 아니 정확히는 노트북 타이핑으로.....속이 후련하다.   
특히 그녀가 도미니크 스트로스 칸(Dominique Strauss Kahn 1949~ )의 성폭력 범죄를 아프리카와 유럽의 식민역사에 우아하게 빗대면서도 격렬하게 비난할 때 속이 후련했다. 상원의원 후보자 리처드 머독(Richard Mourdock 1951~ )이 강간임신을 "신이 준 선물(gift from god)"이라며 되려 강간범의 권리보호에 앞장섰다고 폭로하는 대목에서 또 속이 후련했다.  
*
나는 이미 레베카 솔닛에게 강하게 끌렸다. 차근차근 그녀의 글을 찾아 읽어나갈 것이다. 예비독자를 레베카 솔닛의 팬덤에 초대하며, <남자들은 자꾸 나를 가르치려 든다>를 읽어야 할 이유 두 가지를 더 소개하고 싶다. 먼저, 이 책 덕분에 젠더, 섹슈얼리티, 인종의 문제를 탐색한 화가 아나 떼레사 페르단데스(Ana Teresa Fernandez 홈페이지: http://anateresafernandez.com  )를 알게 된다. 두번 째, 버지니아 울프를 스승 삼은 레베카 솔닛 덕분에 대해 '울프의 어둠'을 새롭게 볼 수 있다. 울프는 "다른 무언가가 되는 능력, 넘어서는 능력, 속박되지 않는 능력, 더 많은 것을 포함하는 능력"(141쪽)을 지향했다는데, 나 역시 그런 능력에 대한 희망을 포기하지 않겠다.


 

1434685071542.jpeg


 

1434685071542.jpe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오늘부터 말을 하지 않기로 했다 - 43일간의 묵언으로 얻은 단순한 삶
편석환 지음 / 가디언 / 2015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오늘부터 을 하지 않기로 했다


 


 

20150619_203612.jpg



 


'아니, 입 열어도 코 베어갈 엄한 세상에서 입을 닫겠다니, 도대체 무슨 배포? 무슨 이유?' <나는 오늘부터 말을 하지 않기로 했다>라는 책제목을 듣는 순간 궁금했다. '왜 묵언했을까?,' '어떻게 했을까,?' 즉 why와 how가 몹시 궁금했는데, 서문 첫줄에서부터 김빠지는 설명이 등장한다.  "커뮤니케이션 전문가가 묵언 수상집이라니 참으로 역설적이기도 하지만, 말을 하기 위해 말문을 닫았다.(5쪽)" 저자 편석환은 성대종양을 진단받았다. 목이 아프고 쉬고 갈라진 목소리가 나오는 증상의 질환이다. 성대종양 치료를 위해 피치 못해 43일간 말을 삼갔는데, 다행히 대학교 방학과  그 시기가 겹쳐서 교수직(한국복지대 광고홍보학과)을 수행하는 데 큰 걸림돌이 되지 않았단다.

*

저자는 43일이나 말을 안 하고 살면서 얻은 '절언진여 (絶言眞如: 언어로 나타낼 수 없는 참된 세계 자체)'를 일반 대중과 나누고 싶어서, (묵언 기간의) "기분 좋았던 경험과 기억이 사라지기 전에 / 활자로 남기고 싶(203쪽)"어서 이 책을 펴냈다 한다.  아이러니하게도 저자 스스로는 "민낯의 내 모습이 한없이 부끄러울지라도.(203쪽)"이라는 문장으로 책을 끝맺고 있지만, 초보 독자로서 나는 저자가 민낯인지 페르소나를 입었는지를 구별하기 어렵다. 그 정도로 <나는 오늘부터 말 하지 않기로 했다>는, 의외로 저자가 드러나지 않는다 (책을 꼼꼼히 다 읽고도 나는 아직 저자가 어떤 사람인지 잘 모르겠다. 심지어 출판사 측 지은이 소개란에서는 저자를 '에바 캐시디를 좋아하고/ 존 바에즈를 좋아하고 .....(중략).... 햇볕 쬐는 걸 좋아하고 / 누워서 발가락을 까딱거리는 걸 좋아한다'고 소개하니 더욱 안개 속의 그대처럼 느껴진다). 마치 잠언록인양, 어느 시대 어느 사람들에게라도 약이 되는 이야기를 전하려는 메신저의 의도가 다분히 보인다. 그래서 전체적으로 수학의 정석 참고서 같은 가르치려 드는 느낌이 강하지만, 종종 발랄하고 가벼운 문장도 등장한다. 

예를 들어,


"화장실에서 볼일을 봤다.

헐, 휴지가 없다.

묵언 중이니 누구를 부를 수도 없다.

막막하다.



나는 묵언 중이다." (24쪽) 



"불안해서 그런지

스마트폰을 손에서 놓지 못하는 시간이 많아졌다.

묵언을 하는 의미가 엷어지는 것 같다.


스마트폰을 내려놓아야겠다." (102쪽)


 


등이 그러하다.



20150619_204021.jpg

 

 

<나는 오늘부터 말 하지 않기로 했다>는 저자가 말을 아끼게 된 첫 날부터 묵언이 끝나는 43일째 날까지, 시간의 흐름을 따라 구성되었다. 페이지 편집에서도 여백의 미가 폴폴 느껴진다. 글은 몇 줄 없다. 그러나 천천히 읽게 되기에 책장은 빨리 넘어가지 않는다. 저자는 문장에서 1인칭 주어를 의도적으로 삭제함으로써, 보다 많은 독자에게 감정이입과 공감의 기회를 제공했다. 


"길거리를 나서면 사람들의 무표정함과 무서운 속도에 놀라곤 한다. 지하철을 타기 위해 뛰고, 닫히는 문 속으로 가방과 몸을 던진다. 2분 뒤면 다른 지하철이 올 텐데.......그에게 2분은 그토록 절박한 시간일까? (59쪽)"  

스마트폰으로 대변되는 디지털 시대, 많은 사람들이 느껴보았을 "이건 아닌데"의 자기 부정과 소외감을 편석환은 공감가도록 풀어주었다. 물론 43일간의 기록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드러나고 일관된 주장은, 말을 아끼니 "나 자신과의 대화가 깊어진다. (154쪽)"와 "묵언을 하기 전에는 나보다 남이 먼저 보였는데 이제는 남보다 내가 먼저 보인다(78쪽)."로 압축될 듯 하다. 즉, 말을 아낌으로써 자기 내면을 탐색하기. 자기를 바로 보면서 타인과 세상에 대해서도 여유갖기가 43일간 경험으로 편석환이 전하고 싶었던 '절언진여 (絶言眞如)'가 아닐까.


20150619_204313.jp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집 나간 책 - 오염된 세상에 맞서는 독서 생존기
서민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간


 


 

 

 

 

글발' 날린다는 사람들도 부럽지만, 요즘엔 워낙 글 잘쓰는 이들이 많다보니 용감한 글쟁이가 더 부럽다. 생각이건 치부건 드러내는 데 거리낌 없어서 용감한 사람들 말이다. <집 나간 책>의 저자 서 민'이 그러하다. ‘오염된 세상에 맞서는 독서 생존기'라는 부제를 달았기에 서평 모음집이라 생각했는데, 로쟈 이현우나 여타 교수 직함 지식인의 책 읽어주는 책들과는 사뭇 다르다. 일기인지 수다인지 모를만큼 다변에, 통상의 서평 구조를 비웃는다. 지은이 약력이나 집필의도 분석이며, 핵심내용 짚어주기와 조목조목 비판적 독해하기 등, 서평에 등장하는 ABC의 요소들이 '서 민'의 서평에는 자유롭게 들고 난다. 마치 의식의 흐름을 드러내듯이 , 서민이 그 책을 읽다보니 어떤 에피소드와 어떤 독서경험이 중첩되 떠올랐는지를 고스란히 드러낸다.    

  서민의 집 나간 책읽기에서 ABC요소는 작가의 취향에 따라 자유롭게 배합된다. 예를 들어, <텔링 라이즈>(2009)를 소개하면서도 저자 폴 에크먼이 '보편적 얼굴 표정'으로 '감정 읽기'에 대가이자 FBI CIA가 인정한 심리학자는 식의 친절한 설명은 생략한다. 대신 뎅기열 거짓말로 얼굴에 붉은 열꽃이 피었을 신정환이나, "애국심이 투철한 검찰 덕분에 망신은 면한 (117)" 박태환, 동창회 가기 싫어 궁색한 변명을 늘어놓았던 자신의 경험담을 이야기한다. 마크 바우어라인의 <가장 멍청한 세대 (원제: The Dumbest Generation)>(2009) "젊은이들이 대체 왜 이렇게 된 걸까? 책을 읽지 않아서다. (49)"이라며 명쾌하게 한 줄로 집약해 독해한다. 사실 사이버컬쳐(cyberculture)에 휘둘리는 '멍청한 젊은이'들에게 퍼붓는 마크 바우어라인의 강도 높고도 지적 브루조아적 비판에 맞대응하는 반대 의견도 살짝 언급하고 지나갈 수도 있었을텐데 말이다.

300페이지가 훌쩍 넘는 책장을 다 넘기고 나서야 감이 온다. 왜 인물과 사상사 편집실에서 서민교수의 서평모음집 제목을 <집 나간 책>으로 지었는지. 정작 저자 서민은 “책은 집구석에서 읽을지라도 앎을 통한 실천은 집 밖에서 해야 한다.”라는 의미를 담은 편집진의 고민이라 해석한다. 하지만독서내공 1단짜리 초보 서평가의 눈에는 집 나간 책은 서민의 프리스타일 사유법에 대한 은유로 보인다.

진담인지 농담인지 모르겠지만 못생겨서 힘들었던 어린시절을 자녀에게 물려주기 싫어서 2세를 갖는 대신, 4마리와 동고동락하는 서민은 천안에 거주한다. 방송출연이나 강연 등 전국구 일정을 소화해야할 때 주로 기차 안, 비행기 안에서 책을 읽나보다. 그렇다고 시간 때우기용 가벼운 책만 읽지 않는다. 소설, 에세이, 정치비평서, 전공서적 등 다양한 분야의 책들을 다 건드려본다. 고백하건데, 어려서 책을 사놓고 읽지는 못하게 한 아버지의 알 수 없는 철학 (211)” 때문에 고전은 물론이거니와 30여년간 책을 멀리 하다 뒤늦게(아마도 안정적 교수직과 사회적 지위가 확보된 이후?) 책읽기 자유형에 빠져들어서일까? 서민은 소개하는 작품은 전체적인 큰 맥락에 두고 흐름 속에서 읽어낸다기 보다, 자신의 개인사와 인맥과 엮어 개인화시켜 이해하는 경향이 강하다는 인상이다. , 흥미롭게 다가온 대목이 있으면 발췌하며 자신의 삶과 엮어 소개한다. 그래서 재미있다. 서평집이라지만 현학적인 언어의 거품을 걷어내고 솔직하고 자유분방해서 재미있다. 서민이 운영한다는 알라딘 서재에 친구추가 신청을 해놓아야 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남자의 밥상 - 건강.젊음.활력을 되찾는
방기호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3년 12월
평점 :
품절


존 맥두걸 박사의 <어느 채식의사의 고백>에 비견할 책. 문구마다 팍팍 와서 마음에 박힙니다 중년기로 접어드는 이들의 건강관리에 대해 눈을 뜨이게 해주는 보물같은 책. 제 자신은 3회나 읽었고 sns를 통해 엄청 홍보했던 책이라 투표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매트 리들리의 본성과 양육 - 인간은 태어나는가 만들어지는가
매트 리들리 지음, 김한영 옮김, 이인식 해설 / 김영사 / 200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본성 VS 양육의 낡은 이분법으로만 세상을 보려니 뭔가 아귀가 안 맞는다 싶다가, 매트 리들리의 본성 양육 synthesis 이론에 혹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