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우면 죽고 걸으면 산다] 시리즈 2020년에 출간된 5권을 읽은 , 4, 3, 2권에 이어 드디어 1권까지 읽었다. 1 초판연도는 1996년이다. 아주 우연히 손맛 깊은 맛집을 만나 재방문을 거듭하며, 메뉴를 고루 맛보는 경험이라 할까? 우연히  저자 김영길의 글을 접하고, 품성에 호감을, 건강관에 호기심을 느껴서 만에 저서를 모조리 읽었으니. 최신간 2020년판부터 1 1996년판까지 내 맘대로 순서로 저자를 따라다니는 경험, 유익했다.

















 [누우면 죽고 걸으면 산다] 5, 2, 4, 3, 1권을 각 권에 문체나 태도에서 미묘한 변화를 느꼈다.  치유  사례로 저자가 소개하는 인물들이 각 권에서 종종 겹치는데어느 편에서는 대중적 의학 드라마 캐릭터처럼 드라마틱하게 묘사되어느 경우 옆 동네 주민 이야기처럼 잔잔하다(편집자가 달라진 걸까, 궁금해지기까지 했다).  


[누우면 죽고, 걸으면 산다] 1권 수록 사진 자료: 겨울 계곡 낚시


1996년 초판인 1권의 경우저자가 강원도 방태산에 들어가서 한약방 개원한 초창기 에피소드와 강원도 오지 화전민 마을 사진이 많다.  내용도 "나는 화타다!"라기보다는 이제 막 시작하려는 자의 조심스러움과 포부, 뭐랄까, (훗날 우뚝 서기 위한 초석 다지기로서그러모으는 중이라는 인상을 받았다. 내가 2020년(저자가 1946년 생이니, 70대에 쓴) 발행된 5권부터 읽었기 때문에 변화를 더 크게 느낀지도 모르겠다. 5 읽으며 느꼈던 명료한 건강관과 누적된 임상 경험에서 오는 자신감보다는, 1권에서는 '  쓰고   성찰하며 내려놓는 느낌을 받았다. 확신이 덜한 목소리가 오히려 솔직하고 겸손하게 느껴져,  역시 좋다나는 이런 사람이 좋고이런 작가가 좋다.  저자는 평생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며 살아왔고 역시 책으로나마  분께 귀한 지혜를 얻는다.

 

저가 김영길 선생님이 생각하는 명의의 요건치료의 목적을 드러내는 문장들이 있어 옮겨본다.

 

O (심한 부정맥으로 오래 살지 못할 것이라고 저자가 내심 생각했던) " 노인을 진맥하고   느낀 점을 첨언하고자 한다  나는  노인처럼 일을 많이 하고 병을 병으로 생각하지 않는 기氣를 가진 사람을 진맥하는 것은 어쩌면 사기 詐欺일 수도 있겠다고 생각했었다 (297)."

종합건강검진을 통해 숫자와 전문진단명을 통해 자기 몸을 들여다보는 도시인들과 달리, 나이 일흔 혹은 여든까지 눈뜨면 일하고 산 오르내리는 분들을 저자는 책에서 많이 언급한다. 그런 분들 이웃으로 오래 강원도에서 살았기 때문이다. "말기 암" 진단을 받았어도, 암에 대한 지식이 그다지 없기에 되레 담담하고 평상시처럼 살아가다가 자가치유되는 (일부) 화전민을 보면서, 저자는 '자신이 건강하다'라는 믿음을 가지고 사는 이들에게 굳이 진단명 들이대고 진맥으로 평하는 과정이 필요할까 자문한다. 나는 이 문단이 굉장히, 와닿았다. 


O "건강을 유지시키는 방법은 다름 아닌  氣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것으로 요약된다 (210)."


O "무엇보다  자신부터 '열린 ' 가지고 있어야 한다. '열린 ' 환자에게 낫는다는 희망을 주고 어떠한 어려움도 이겨내겠다는 신념과 정성을 다할  있는 능력을 준다...내가 오전에만 환자를 보고 오후에는 여름이건 겨울이건 간에 산행과 반욕법을 하루도 거르지 않는 까닭은 항상 '열린 ' 가지고 있기 위함이다(161)."



화타 김영길 선생이 강원도 방태산을 떠나 일산에 한의원을 운영하신다는 데, 검색해도 자료를 못찾겠다. 뵙고 싶다. 










댓글(9)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라로 2021-01-05 18:3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는 이 책 예전에 읽고 저희 부모님을 닥달했던 기억이. 걸으라고. ㅎㅎㅎ 일산에 계시군요!! 제 부모님이 일산에 사셨는데 이젠 과거네요. 😓

2021-01-05 19:0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1-01-06 07:1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1-01-05 20:28   URL
비밀 댓글입니다.

행복한책읽기 2021-01-05 22:1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와. 북사랑님 건강도 더불어 챙기셨겠어요. 화타께 얻은 지혜 나누어 주어 고마워요. 열린 기. 는 열린 귀이기도 하겠네요. 알라님 글과 사진에서 기 가 느껴졌다면, 뻥 이겠죠. ㅋ 새해도 건강한 삶 이어가세요^^

2021-01-06 07:12   URL
비밀 댓글입니다.

coolcat329 2021-03-24 22:1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일산 저 사는 곳이랑 가깝네요.
걸어야 산다...명심하겠습니다

얄라알라 2021-03-24 22:1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는 이 시리즈 책에서 참 많이 깨친 것 같아요. 코로나로 두문불출, 책만 보는 하루하루를 살았더니 균형 깨진 걸 느끼겠더라고요. 오늘도 11000보 쯤 걸었더니, 기분좋게 노곤합니다. coolcat님께서 혹시라도 먼저 화타선생님 한의원에 가보시게 되면 살짝 알려주세요^^

coolcat329 2021-03-24 22:23   좋아요 1 | URL
저는 하루 5000보쯤 걷는데 늘 부족하다 생각했어요. 만보는 걸어야지 했는데 다시 맘을 잡아봅니다.
 

총천연색 거룡, 우주유형, 무인도의 쓰나미 참으로 다양한 소재가 꿈에 등장해왔지만, 오늘 새벽처럼 국회의사당 수백 명 관중, 정치를 업삼는 숱한 이들과 최고군통수권자까지 등장하기는 처음이다. 꿈에 사회풍자극 공연의 하이라이트로써 관중의 퍼포먼스와 반어적 가사를 총지휘하는 연출가가 (부끄럽지만) 나였다. [부동산 약탈국가]를 읽다 잠들었기 때문인데, 꿈으로 리뷰를 쓴 셈인가? 

 


한 두 시간 차 바퀴를 굴리면 '초저출산, 인구위기'의 대한민국이라는 뉴스제목이 폐부로 느껴지는 지방 풍경에 닿을 수 있음(+ '머리 식힐 수 있어' 좋아라 하는 나의 이중성)이 내심 불편했다. [부동산 약탈국가]를 읽으니, 그 불편감이 더 커진다. 저자 강준만 교수는 전북대학교 교수이며 전북에 거주한다. 그는 1966년 전라북도의 인구가 252만 명이었다지만, 현재 180만 명대로 "졸아들었고 지금도 계속 졸아들고 있는 중이다 (226쪽)."이라고 지방의 소멸과 황폐화를 탄식했다. '줄다'나 '감소하다'라는 단어로는 지방공동화를 실감하기 어렵기에 "졸다"라는 말을 쓴다고도 했다. 









평소 강준만 교수가 어떻게 그리 방대한 자료를 축적하고 빨리 쓰고, 많은 책을 펴내는지 궁금하였는데 [부동산 약탈 국가]에서는 유독 신문기사나 인터뷰 인용이 많다. 통계자료도 주관 뚜렷한 학자의 꿰뚫는 시선으로 꿰어야 보배라고, 강준만 교수가 추리고 엮어낸 자료들이 굉장히 흥미롭다. 부분들을 아래에 인용한다. 


"2017년 9월 한국을 다녀간 IMF총재 크리스틴 리카르드는 세계 꼴지 수준인 한국의 출산율에 대해 '집단적 자살 사회 collective suicide society'라는 표현을 썼지만, 모두가 다 자살의 길로 치닫는 건 아니었다. 한국인은 바야흐로 '유전무죄, 무전유죄'에 이어, '유전결혼, 무전비혼'의 세상에서 살게 되었으니 말이다 (161)"

☞ 강준만 교수는 2016년 '경기도 인구 정책 심포지엄'에서 공개한, 빅데이터 분석 결과 및 논문과 신문 기사를 근거로 '유전결혼, 무전비혼'이 현실이라고 이야기한다. 


● "우편번호 정체성 (61)"에 관한여: "


● "우리 집이 무너지게 생겼다고 경축하는 요지경 세상(67)": 아파트가 안전진단을 '불합격,' 즉 통과하지 못했음을 아파트 단지 주민이 축하하는 것. "나는 현대에 살고, 너는 삼성에 살아라(92)": 대우건설의 푸르지오와 비슷한 '푸르지요,' 삼성물산의 래미안을 흉내낸 '라미안' 등이 등장한 것이다 아파트 입주민들 사이에선 "아파트 이름 바꿔 떼돈 벌어보자"는 운동이 맹렬이 전개되었다 (93)" 


● "(아파트는) '살 집 house for living'이 아니라 '팔 집 house for sale'인 것이다. 아파트의 긴 수명은 상품 회전을 빨리 하는 데에 방해가 된다. 그래서 아파트 평균 수명은 영국 140년, 미국 103년인데 우리는 고작 22. 6년이다 (121)." 


● '다주택 매각 서약서' 와 매각 현황 공개가 이뤄졌는가? 이뤄졌다면 그 결과는? 부동산 3법 입법 통과 찬성자와 혜택을 톡톡하게 본 의원들의 재산증식 현황은? "지방 엘리트는 식민지 경영을 위해 파견된 총독(229)"이라는 모욕적 호명이 모욕이 아니던가? 지방 국회의원 보유 아파트 강남 편중 통계는?


● "역대 수도권 정권들은 수도권 비대화를 저지르면서 늘 '민생'을 내세우는 '토건 사기극'을 펼쳐왔다. 그 사기극의 공식은 3단계로 이뤄져 있다. 첫째, 가장 중요한 교육 정책과 일자리 정책을 비롯한 주요 정책들을 통해 서울로 인구가 몰리게 한다. 둘째, 서울 인구 집중으로 인한 주거 문제 해결이라는 핑계를 내세워 서울 주변에 신도시를 건설한다. 셋째, 신도시 건설이 불러온 교통난 해결이라는 핑계를 내세워 수도권 교통 시설에 국부를 탕진한다...우리는 이제 수도권 정당들이 이 나라의 미래를 망치는 걸 인내할 수 없어 '더불어지방당'을 창당하고자 한다. '지방'은 상징일 뿐 우리는 지방의 이익을 표방하지 않는다...우리는 서울-지방의 문제는 계급 문제임을 알리는 동시에 '진보'를 참칭하는 기존 가짜 진보 세력의 민낯을 폭로하고 진보의 정의를 새롭게 내리면서 진정한 국익을 위해 투쟁할 것이다 (214)"




참고로 이 책은 2020년 8월 출간되었다. 2021년 1월, 상황은 더 달라졌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페크pek0501 2021-01-04 18:59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강준만 교수는 천재인가, 한때 생각했었죠. 어찌나 책을 빨리 써 내는지 말이죠. 1년에 몇 권을 낸 적도 있을 겁니다.
사람의 능력 차이가 크다는 걸 실감해요. 그의 저작 중엔 제가 좋아하는 책이 몇 권 있어요. 글쓰기 책을 낸 적도 있고
인간 심리를 다룬 여러 법칙을 쓴 책도 있어요. 아마도 늘 타이핑을 하고 계신 모양입니다. 그야말로 능력자죠. ㅋ

2021-01-06 07:16   URL
비밀 댓글입니다.
 


시도 쓰시고 인품이 고매하신 교수님께서 수업 중 노여움을 선명히 드러낸 장면을 딱 한 번 보았다. 기억에 박혀 있다. 어느 학생이 "나는 전쟁이 휩쓸고 간 폐허에 홀로 서고 싶다" 뉘앙스의 에세이 과제를 냈다는 데 격렬하게 분노하셨는데 실로 교수님은 전쟁의 아픔을 사시는 세대이셨다. 


  2020년에 읽었던 [체르노빌]에서도 저자는 지구가 멸망하고 혼자 서 있는 상상을 종종 해왔다면서 체르노빌 참사 현장을 직접 방문했을 때의 느낌을 전한다. 비록 이 책 자체는 우호적으로 읽었지만, 지구에서 적어도 호모 사피엔스들이 싹쓸이 당한 뒤 홀로 서 있는 모습을 절대 절대 상상조차 싫다. 


코로나가 기승이라지만, 그래도 한강이건 서해 해변로건 (거리두기를 한) 사람들이 있어서 다행이다. 마스크를 쓴 채 한강로를 조깅하고, 마스크를 쓴 채 롱보드를 타고, 서로 널찌감치 거리를 두고 산책하는 사람들이 있기에 풍경이 채워지고 아름답다. 결단코, 사람들이 사라진 세계는 상상조차 싫다.





바람이 매서워지면서, 바다를 끼고 소나무 숲을 이룬 길을 걷고 싶다는 생각이 계속 몽글몽글 솟아올랐다. 걷고 싶어서 해변을 찾았고, 불가사리 너희들이라도 사회적 거리두기 하지 않고 친하라고 나란히 겹쳐 올려 보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태양계 구슬 램프 (LED) - 태양계 구슬 램프 (LED)

평점 :
일시품절


2020년 구매, 3주를 기다렸나봅니다. 드디어 다음 주에는 만날 수 있겠죠?상품평 보며 기대에 들뜬!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cott 2021-01-03 00: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추카추카!3주 기다릴정도면 지금 기다리고 있는이들이 많다는것!

얄라알라 2021-01-03 23:46   좋아요 1 | URL
저는 2020년에는 받을 줄 알았거든요^^ 물량이 딸려서 중국 공장에서 열심히 만들고 있다는 메일을 보내주시더라고요. 대박친 구즈인가봐요^^

초딩 2021-01-03 02:1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우앗 이거 대박인데요!!!

2021-01-06 07:16   URL
비밀 댓글입니다.
 
한 사회학자의 어떤 처음 - 코로나 시대의 뉴노멀 대학 강의
박길성 지음 / 나남출판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20년, 기록으로서 코로나 다이어리를 기획했다는 분들의 이야기를 전해 들었다. 엮으면 책이 되고, 이차 가공하면 귀한 자료가 되겠구나 싶었다. 그분들의 다이어리 출간 소식은 아직 접하지 못했으나, 우연히 고려대학교 박길성 교수의 코로나 다이어리를 찾았다. 나남출판사에서 [한 사회학자의 어떤 처음]이라는 제목으로 다듬었다. 여기서 "처음"은 대학 강단에서 제자를 길러낸 30여 년 만에 처음 겪는, 비대면 강의를 말한다. 박길성 교수가 2020년 1학기 개설된 <사회학적 상상력>을 진행하면서 느꼈던 소회를 모아낸 책이다. 3월 2일부터 6월 22일까지 수업일인 월요일과 수요일마다 차곡차곡 채운 글들을 모았다.

학생에게뿐 아니라 교수자에게도 코로나는 특별한 도전이었을 것이다. 일종의 즉흥 연회같이 참여자가 일으키는 교감의 파동을 타고 진행되던 강의가, 밋밋한 일방통행 비대면 퍼포먼스로 전환되었으니. [한 사회학자의 어떤 처음]은 코로나 시대 대학 강의가 어떻게 이뤄지고 변화해가는지를 구체적으로 보여줄뿐더러, 사회학적 상상력으로 일상에서 의미를 건져내는 재미를 알려준다. 무엇보다, 기록의 중요성을 일깨운다. 써야 남는다. 휘발되지 않게 묶어두어야 한다. 꾸준한 것도 중요한 데, 무엇을 타겟 삼을까?

2021년 1월 2일. 기록의 대상을 고민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