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센트 반 고흐랑 친구였던 그 화가 알아?"


신문 기사 제목이다. 솔직히 내게도 툴레즈 로트렉은, "빈센트 반 고흐의 친구"였다. 하나를 더하자면 평생 불편한 몸으로 살다가 요절한 예술가? 예술의 전당에 [툴레즈 로트렉 전] 직접 보고 오기 전까지는 별로 궁금한 것도 없었다. 지금은 다르다. 전시회 다녀오기 전보다 더 모르는 게 많아져서 웹사이트를 뒤지고 다닌다.  




37세라는 너무 이른 나이에 세상을 떠나기 전까지, 확인된 것만으로도 5000여점의 작품을 남겼다는 툴레즈 로트렉. 그의 초인적 헌신에 경탄하고 부러운 나머지, 자학적 농담도 해봤다. "나도 스마트폰만 아녔으면 5000페이지는 넘겼다구!" 


그런데 역으로 5000여점이라는 압도적 아카이브가 서글프다. 아래 사진을 먼저 소개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귀족혈통이었던 만큼 말과 가까울 특권을 누렸던 툴레즈 로트렉. 그러나 그는 자유롭게 말을 타기 어려웠다. 대퇴부 골절로 인한 성장 중지로 평생 불편한 몸으로 살았다. 물랑 루즈를 드나들며 당대 최고의 인기 스타인 여인들과 친분을 맺거나 흠모했을 텐데....... 그림 그리기가 그에게 숨구멍, 숨쉬기, 자기 증명의 방식이었을거라고 상상해본다. 




예술의 전당 한가람 미술관 입구, 그 숱판 툴레즈 로트렉의 작품 중에 포토존에 소개한 작품은 포스터이다. 아이코닉한 인물은 브리앙이라는 가수라는데, 그가 툴레즈 로트렉에 보인 태도를 통해 나는 로트렉의 인성을 상상해본다. 의뢰를 받아 제작한 브리앙의 공연 포스터를 보고 공연장(?) 주인이 소위 빠꾸를 놓자, 브리앙은 그러면 나는 노래를 안 하겠다고 해서 로트렉의 포스터를 쓰게 되었다고 한다. 






 

사진 촬영이 금지된 Zone에서 두 장의 빈 센트 반 고흐 모델의 그림도 보았는데, 한장은 술 마시는 장면, 한 장은 구속복 차림의 반 고흐였다. 고등학교 때, 반 고흐 작품집을 보고 싶어서 학교 오후 보충수업을 빼먹었던 기억이 겹치면서 마음이 아련하게 아파웠다. 도롱뇽 벼슬처럼 솟아오른 구속복의 실루엣과 그 안에 갇혀진 외로운 예술가. 마음이 아팠다. 마찬가지로 알콜 중독으로 섬망증까지 와서 정신 병원에 갇혔었던 툴레즈 로트렉. 그는 "그림으로 자유를 샀다"했는데, 비유법이 아니었다. 기억에 의존해서 멋지게 말과 기수의 모습을 화폭에 옮겨냄으로써 주치의에게서 '퇴원OK' 허가를 받아냈으니 말이다. 그런데 이 에피소드, 듣기만 해도 마음이 저렸다. 정신의 불이 꺼졌다 켜졌다 하는 와중에 그가 택한 그림의 소재가, 말, 자유롭게 달리고 힘차게 앞으로 나아가는 말이었다는 사실이.......




툴레즈 로트렉의 시선, 사람보는 눈을 작품을 통해 상상하는 기쁨은 컸다. 

영화 [타이타닉]에서 Rose가 Jack에게 매료당하며, 말한다. "You see people."

그 대사를 자주 생각한다. Somebody가 되기 어렵다면, 아니 Somebody되는 게 중요한 게 아니라면

"You see People"사람을 보는 사람이 되고 싶기에.


툴레즈 로트렉은 사람을 보는 화가였다. 이번 전시회에서 얻은 가장 큰 소득이었다. 그는 더 이상, "빈센트 반 고흐의 친구가 아니다. TL!"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카스피 2020-02-18 18: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로트렉은 사진에서 보면 알수 있듯이 사고로 인해 장애를 얻어 더이상 키가 커지지 않았다고 합니다.그런데 키에 대한 컴플렉스였는지 모르지만 평생 여성을 사랑하지도 여성의 사랑도 받으려고 하지 않았다고 합니다.로트렉은 유서깉은 귀족가문의 자식이었지만 불구의 몸때문에 상류사회에 나갈 생각을 전혀 하지 않았고 술과 그림에 취해서 유흥가에서 살았다고 하지요.그의 그림중에 물랑루쥬같은 유흥가 여성들의 그림이 많은것은 그런 이유떄문이라고 하네요.

2020-02-18 21:01   URL
비밀 댓글입니다.
 
삼성인, 아마조니언 되다 - 삼성, 아마존 모두를 경험한 한 남자의 생존 보고서
김태강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균 수명이라는 90살까지 커리어( 거의 없지만) 극적으로 뒤엎는다 해도,  "삼성인더군다나 "아마조니언" 평생 나와 인연이 없을 것이다. 30여개국 아마조니언들을 대상으로 "영어로세법 관련 회의를 주재하거나 2020 아마존의 PM(Product Manager) 역할을 일도 없다. [삼성인아마조니언 되다] 내게 실용적 도움을 책이 아닌 데도 읽었다. "내부자의 시선(emic view)"이라는 문구에 혹했기 때문이다





여기서는 "김태강"이 그 내부자이다. 그는 영국 런던대학과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수학했다. 귀국 후 20대 초반이었던 2011, 삼성에 "막내"로 입사했을 때는 한국어가 어색해서 메일 쓸 때마다 '네이버 맞춤법'에 문의했다는 전설도 있다. “김태강을 사진으로 보았을 때 직관적으로 "영민함, 성실함"의 인상을 받았는데, 실제 그는 AMAZON의 다면평가 결과 "신뢰 얻기(Earn Trust)" 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고 한다[삼성인, 아마조니언 되다]는 평소 한국의 대학생 및 직장인을 대상으로 진로 상담과 해외 취업 멘토링을 해왔다는 그의 이력과 닿아 있다이 책은 한국과 미국의 기업 문화(회사 조직)을 경험한 내부자로서 두 회사를 생생한 에피소드를 엮어 비교한다나아가그 조직 안에서 성공하는 사람의 자질을 분석하고 어떻게 모방 혹은 능가할지를 제시한다




김태강이 경험한 아마존 기업문화는 근간이 고객 니즈 우선이다아마존의 CEO 아니었지만스티브 잡스의 Customers dont know what they want until weve shown them’이라는 말까지 인용을 했는데그래서인지 김태강의 책은 독자의 가려운 곳을 알아서 긁어준다영어권 다국적기업의 조직 문화는 어떠 한지위계와 동시에 화합을 중시하는 조직에 있던 사람이 개인의 자율성과 권한을 크게 부여해주는 조직에서는 어떻게 생존해야 하는지를 알려준다아무튼 책은 해외취업을 준비하는 사람이 아니더라도 배울 , ‘아하!’하며 재미있어 소소한 내용들을 많이 담고 있다.





개인적으로 나는 이 책의 1장에서 아마존이 PPT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대신문서로써 소통한다는 점이 흥미로웠다활자로 기웃거려본 다른 직업군의 세계에서도 여전히 글을 장악할 수 있는 사람이 힘을 발휘하는 경우를 많이 보았기 때문이다또한 김태강이 까는 문화(118)”라고 표현한 수평주의실용주의의 조직 문화가 흥미로웠다.

안식년(?) 없이 그 어마한 업무를 소화하고연애하고한국과 미국을 오가는 와중에 이런 명쾌하고 유익한 책까지 써내다니다음번엔 김태강 저자가 시간관리법과 글로벌 기업에서 통하는 영어정복기도 서비스 차원에서 공유해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살갗 아래 -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몸에 관한 에세이
토머스 린치 외 지음, 김소정 옮김 / 아날로그(글담) / 2020년 2월
평점 :
절판





자주 들리는 알라디너 이웃님 서재에서 "말하는 사람은 계속 말하고, 듣는 사람은 계속 듣기만 한다"는 지적을 읽었다. 뜨끔했다. 당신은 어느 쪽?  "책을 쓰는 사람은 계속 쓰고, 읽는 사람은 읽기만 한다"라고 말해도 될까? 매일 잠들기 전 읽던 책 덮기로써 하루를 마무리하면서 가끔 "써볼까?"의 치기도 솟는다. 하지만 이내, 뼛속까지 작가인 사람들의 문장을 읽다보면 "나도??"의 경솔은 겸손히 가라앉는다. [살갗 아래]를 읽으면서 딱 그랬다. 


 

 [살갗 아래]의 원제는 Beneath the Skin, 제는 "Great Writers on the Body"이다. Skin을 '피부'가 아닌 '살갗'이라 했는데도 활자 느낌 알싸하게 톡 쏙다. 한국판  부제는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몸에 관한 에세이"이다. "Great Writers"에는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증손녀, 가업을 이어 장의사 일을 하는 시인, 화가이자 시인도 있다. 이렇게 소개하니 "Great"인줄 잘 모르겠다. '맨부커상' 후보작이니 '서머싯모음 수상작' 등을 낸 작가들이라고 정보를 더하면, 그들의 클래스가 부각되겠다. 


15명의 작가가 몸의 부분, 15부분을 각각 맡아 썼다. 뇌, 피부, 폐, 대장, 피, 갑상선, 맹장 등이다. 출간 전, 작가마다 쓰고 싶은 몸의 부위에 대한 의견조율을 했을 것이다. 작가들 저마다 그 신체 부위에 얽힌 밀접한 사연을 소개하기 때문이다. (아닌가? 작가니까, 일단 소재가 주어지면 '나 아니면 못 나왔을 글' 수준으로 다 만들어낼 수 있는 걸까?). 



예를 들어, 잠비아 출신의 시인인 카요 칭고니이는 "내 몸에 흐르던 것은 붉디붉은 수치심이었다"라는 제목의 글에서 HIV로 부모를 잃고 일찍 고아가 된 자신이 대학시절 HIV 검사 받으며 경험했던 내적 변화를 묘사한다. 콩팥, "내밀한 윤리와 감정적 충동이 자리하는 양심의 상징"을 쓴 애니 프로이트(앞서 말한 그 그 그 유명한 프로이트의 증손녀)는 남편이 몇 년 전 악성종양으로 콩팥 수술 받았던 경험 때문에 글 소재로 콩팥을 택했다고 밝힌다. 대장, "가장 깊은 속내를 누구에게도 감출 수 없게 되었을 때"를 쓴 윌리엄 파인스 역시 힘든 자신의 투병 경험을 제목에 압축해냈다. 


그렇다고 이 에세이들이, 개인 차원의 경험을 아름다운 문장으로 풀어내는 수준에서 몸을 탐색하지는 않는다. 궁극적으로는 인간, 생명, 존재의 신비 혹은 허무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 같다. 





[살갗 아래]의 서문에서 토마스 린치는 


우리는 전체이자 부분으로서, 한 종류의 일원이자 하나의 종류다. 부분은 전체의 본질에 관해 어느 정도 드러내 보여준다. 그렇기에 의사와 해부학자만큼이나 작가와 독자도 인간이라는 존재를 이해하고, 고뇌를 치밀하게 보여주는 부분을 이해하고 싶다는 열망을 품을 수 있다. (22쪽)... 각각의 신체부위를 고찰함으로써 인간이라는 지적인 동물을 이해하고, 인간을 들여다봄으로써 인간성을 이해하려는 시도로서 잡다하지만 조금은 중요한 글들을 모아보았다. (23쪽)


이라고 이 책의 취지를 밝힌다.


 15편의 에세이를 읽으며 들었던 생각과 비슷하다. 각 작가는 개인적 에피소드를 엮어 유려한 문체로 각 신체 부위를 묘사하지만, 15편의 글을 다 꿰어보면 "놀라우나 미지의 존재, 인간"이 떠오른다. 퀼트처럼. 인간이라는 종으로서의 아름다움과 복잡성이 느껴진다. 아날로그 출판사의 편집자는 이 책의 한국어판 부제를 참 잘 뽑아낸 듯 하다. 동의한다.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몸에 관한 에세이"





토마스 린치, 살갗 아래, 몸 에세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능의 함정 - 똑똑한 당신이 어리석은 실수를 하는 이유와 지혜의 기술
데이비드 롭슨 지음, 이창신 옮김 / 김영사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등학교 때 학년부장 선생님 심부름으로 전교생 개인정보카드(?)를 정리하는 일을 했었는데, 그 때 성적과 IQ가 거의 정비례한다는 증거를 찾았다고 나름 신기해했었다. 그런데, 이책은 지능이 축복이기만 한게 아니라 함정이 될 수도 있다는 Flip Side를 보여준다. IQ수치로 똑똑한 거 말고, ˝현실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의 놀라운 소식! [Du IZ Tak?]의 번역서가 있다니? 

가끔은 활자로부터 눈과 마음을 쉬게 해주고 싶을 때 글자 없는 그림책을 보는데, [Du Iz Tak?]은 어중간하게 그 분류에 속했습니다. 분명 글자, 문장들이 페이지마다 고개를 내미는데 도통 뜻을 알 수가 없었거든요. 처음에는 '독일어? 체코어? 뭐지?'하다가 이내 눈치 챘습니다. 인간 세상에 존재하지 않은 의성어 모음일 거라고. 곤충들끼리만 통하는 소리.

그런데 번역자님께서는 상상 속 곤충들의 언어를 "홀라홀라 추추추"라고 번역해내셨네요! 탁월합니다! 



초록 새싹을 보고 잠자리들끼리 이야기 하거든요? 제 짐작엔 "이게 뭐니?" "몰라요"일듯. 



정체불병의 초록 생명체가 날마다 쑥쑥 키가 커지자 곤충들은 신이 나서, 이를 연립주택 삼습니다.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 집들을 만들지요. 


하지만 이 식물은 인간의 분류법 용어를 빌자면, 한해살이 풀입니다. 추워지자 곧 꽃을 떨구고 잎을 떨구고 흔적도 없이 사라지지요. 곤충들은 급격한 변화에 놀라고 실망한듯 했어요. 그런데 같은 자리에서, 그 다음해에 초록 아가들이 고래를 빼꼬롬 내밀지 뭐예요. 이번에는 아주 많이 많이. 



"글자없는 그림책"들이 열어놓던 상상력의 근육이 이 [Du IZ Tak?]에서는 아예 확 늘어나는군요. 실로 놀랍고, 사랑스런 그림책입니다. 책 다 보고나서 찾아보니, 작가 카슨 엘리슨이 2017년 칼데콧 상 받게 해준 역작이라는군요. 


마찬가지로, 글자 없이도 놀라운 즐거움을 안겨주는 책이 있어요. [Odd Couples]이라고, 검색해보니 동성결혼에 대한 자료만 뜨네요.흐흐. 어린이 그림책인데. 




이런 식입니다. 동음이의어 단어를 그림으로 그려놓았어요. 인간 언어의 놀라운 유연성을 다시 생각하게 합니다. 


오늘도 이렇게 그림책 넘겨 보며 하루를 시작합니다. 밀린 일들을 확 잡아 채야지요. 이제부터는!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rogan 2020-02-17 22: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림책이 정말 재밌어보여요. ^^ 덕분에 흥미로운 책 알고 갑니다. ‘상상력의 근육’ 이라는 말이 멋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