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이고 과학적인 음주탐구생활 - 술에 관한 깊고 넓은 인문학 강의
허원 지음 / 더숲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먹고 씹고, 넘기는 이야기야 언제나 사람 혹하게 한다. 이번에는 술 이야기이다. 자그마치 20년 넘게 대학에서 양조 공학을 강의한 특수분야(?) 전문가가 강의노트를 일반에게 공개했단다. 바로 『지적이고 과학적인 음주 탐구 생활』이라는 타이틀로. 그렇다. 실제 이 책을 읽어보니, 영양학, 생물학, 화학, 농학 여러 분야를 넘나드는 전문적 자료 때문에 메모지를 부지런히 채우지 않을 수 없었다. 표지처럼 '엄지척' 쉽게 올리기에는 책을 꼭꼭 씹어 먹는데 시간이 걸린다. 


저자 허원 교수는, 음주야말로 진화의 유산이자 오랜 역사를 지녔으며 인간과 술의 관계 탐색이 의미있는 작업임을 일반에게 알리고 싶었다 한다. 한 마디로, 지식의 미뢰로 술의 맛을 음미해보자는 거다. 1부에서는 Robert Dudley교수의 The Drunken Monkey가설을 빌어와 "태초에 술이 있었으며, 음주가 진화를 촉진했다고 주장한다. 



알코올 의존성은 유인원을 적극적으로 채집 활동에 나서게 하고, 인간으로 진화하게 하는 여정으로 이끌었다. 지능을 가진 인간으로 진화하면서 술을 만드는 방법을 발명하고 마시게 된 것은 필연이지 않았을까? 우리가 술을 마시는 이유는 유전자 때문이고, 음주는 진화의 유산이다. (22쪽)



 총 4강 구성의 본문의 1강은 와인으로 시작한다. 단순히 와인 맛의 원리나 포도 재배 환경과 발효 과정뿐 아니라 일종의 문화로서 "와인"에 접근하는 점이 참신했다. 예를 들어, 전세계 와인 소비량 중 60%가 레드와인이며, 40%가 화이트 와인인데는 단순히 소비자로서의 와인애호가의 취향뿐 아니라, 적포도주의 문화사적 종교적 상징성 등이 반영되어 있다는 해석이다. 


와인 비즈니스 세계에는 포도 재배자와 업체를 통칭하는 네고시앙, 와인 제조자, 소믈리에, 와인 작가, 평론가들이 모인 자생적 마케팅 조직이 활동한다. 다른 주류 산업계에서는 볼 수 없는 환경이다. 이들이 거대한 와인 생태계를 형성하고, 동시에 와인 산업을 이끈다. 경영학이나 마케팅에서 말하는 완벽한 공급 사슬 관리 시스템이다. (45)


 2장 제목 역시 "비즈니스"가 포함된다. "맥주가 없었으면 이집트 피라미드가 완성되지 못했으리라"는 말을 빌어, 맥주야말로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술이며 다양성을 매력으로 하는 술임을 강조한다. 동시에 저자는 점차 맥주가 식품산업의 독과점 품목화되어가면서 그 야생적 맛과 다양성을 잃어가는 것은 아닌가 하는 아쉬움도 표한다. 예를 들어, 우리가 너무도 당연시 여기는 '맑은 맥주'가 실은 맥주회사의 마케팅 전략에 세뇌당한 이미지라는 지적이다.


장에서 만드는 라거는 헤이즈(haze)를 완벽하게 제거해야 한다. 맥주는 맑고 투명하다는 편견 때문이다. 대량 생산과 대량 소비 시대에 대중 매체가 씌운 광고의 굴레이다. 114쪽

 


3장 "예술적인 누룩의 발효시간"에서는 동양의 누룩, 서양의 몰트를 비교하며 그 유명한 제러드 다이아몬드의 <총, 균, 쇠>까지 빌어온다. 동서양의 기후 차이가 발효 방법의 차이를 가져왔으리라는, 즉 일종의 환경결정론적 해석이다. 허원 교수는 고려 문인 이규보의 소설 <국선생>과 임춘의 <국순전> 등 문학작품을 통해서 누룩곰팡이가 우리 선조들의 전통문화에서 얼마나 중요한지를 재발견한다. 누룩곰팡이야말로 "발효 음식의 맛을 지키는 집안신의 실체(153)"라는 것이다. 아쉽게도, 한국에서는 집집마다 "가양주"라는 이름으로 직접 담궈먹던 누룩발효 술의 전통을 일제식민지를 거치며 쇠락시켰고, 일본인의 입맛에 최적화된 '청주'가 '우리 전통술'을 대신해 그 자리를 꽤찼다. 현대화된 막걸리 역시 전통누룩이 아닌, 일본식 낱알 쌀누룩을 많이 이용한다고 한다. 허원교수는 탁한 술로서의 막걸리 등 전통주의 매력을 살려 우리 술 문화를 부흥시켰으면 하는 마음을 전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블랙 미러로 철학하기
이원진 지음 / 우리학교 / 2019년 7월
평점 :
절판



『SKY 캐슬을 넘어서: 교육학으로 분석한 대한민국의 입시욕망』, 정민승 교수(방송통신대)가 핫한 드라마를 교육학자로서 해부했다기에 냉큼 찾아보았으나, 저자에겐 죄송하오나, 읽기 전에도 예측가능했고 읽고도 딱히 기억에 남지 않는 분석. 드라마니 영화를 소위 그 분야 전공자들이, "작품 인기가 시들해지기 전에 잽싸게" 내 놓은 출판물에 대한 신뢰가 떨어지는 계기였다. 그러나, 이 책에는 바로 낚였다. 실은, 표지가 너무도 "블랙 미러" 스러워서! 



아는 사람은 다 아는, 그 핫한 영드. 'Black Mirror'

덕후들 꿰면 추석선물 굴비 수천짝은 나올만큼 덕후를 양산시키는 퀄리티 보장의 드라마.

웹서핑하다보면, 리뷰가 쏟아지는 데, 이원진 박사의 <블랙 미러로 철학하기>는 오직 이원진 박사만이 풀어낼 수 있는 썰들을 담고 있다. 서울대학교에서 서양철학 학사를, 성균관대학원에서 동양철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궤적에 걸맞게, 이원진은 'so-so'한 영화리뷰와는 차별되는 독특하고 깊은 세계관을 보여주니까. 


http://ch.yes24.com/Culture/SalonEvent/12535

9월 2일에는 이원진 저자 강연회도 예정되어 있다. 유려한 문체와 "중앙일보" 기자 생활 10년의 경력으로 보아, 틀림없이 강연장에서 달변으로 청중을 사로잡을 듯. 

9월 2일에는 이원진 저자 강연회도 예정되어 있다. 유려한 문체와 "중앙일보" 기자 생활 10년의 경력으로 보아, 틀림없이 강연장에서 달변으로 청중을 사로잡을 듯. 

인간성은 인간성이 가장 파괴되었을 때 도리어 그 존재를 드러냅니다...(중략)...<블랙 미러>가 깨진 검은 거울을 통해 우리에게 되돌려 반사해 보여주는 건 어떤 이유에서든 근대에서 우리에게 퇴은했던 그 세계, 그리고 퇴은했던 인간의 본모습입니다. (199)

블랙미러는 명백히 디스토피아, 결코 팝콘 집은 손 가볍게 움직이며 가볍게 넘길 수 있는 영화가 (적어도 내게나, 이원진 저자에게나) 아니다. 명백히 인간사회 근미래를 음험하고 두렵게 보여주는데, 실은 그 (기술과 그로 인한 인간삶과 인간성의 변화에 대한) 두려움은, 모르기 때문에 비롯될지도. 저자의 말처럼 "Black Mirror"는 깨진 검은 거울을 통해, 우리에게 인간의 본모습을 보여주는 계기일수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Google 검색창에 "정재승, 뇌과학" 이 두 키워드를 넣으면 강연회 정보가 후덜덜 수준으로 리스트 업이 된다. 과연 이 천재형 박사님은 연구에, 대학 강의와 대중강연에, 방송 출연과 집필에, 그 가혹한 일정을 어떻게 다 소화하는 걸까? 최근에는 어린이를 위한 뇌과학동화를 기획하셨고, 드디어 출간되었다. AMAZING! 

Google 검색창에 "정재승, 뇌과학" 이 두 키워드를 넣으면 강연회 정보가 후덜덜 수준으로 리스트 업이 된다. 과연 이 천재형 박사님은 연구에, 대학 강의와 대중강연에, 방송 출연과 집필에, 그 가혹한 일정을 어떻게 다 소화하는 걸까? 최근에는 어린이를 위한 뇌과학동화를 기획하셨고, 드디어 출간되었다. AMAZING!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정재승 교수는 일 년에 2~3차례 밖에 인터뷰에 응하지 않는다던데, 그중 한 인터뷰를 읽어보니 인터뷰어가 질투를 감추는데 어지간히 서툴렀던 것일까? 인터뷰 내용의 1/3은 오롯이 문어발 활동 정재승 교수의 탁월한 시간관리능력에 대한 것이었다. 정교수는 술, 담배, 회식, 골프 일절 안 하고 1주일 중 하루는 혼자 논다고 답했다. 

열두 발자국
열두 발자국
저자
정재승
출판
어크로스
발매
2018.07.02.

정재승 교수의 대중 강연장에 착석할 때, 마침 무릎 위에 올려 놓은 책은 올리버 색스 교수의 유고 에시이집, <모든 것은 그 자리에>! 우연인지 이날, 정재승 교수는 강연의 문을 열며 바로 "올리버 색스"를 언급했다. 존경하는 분이라고. 또한 칼 세이건도 존경한다고. 칼 세이건의 '아홉 발자국'에서 영감을 받아 따온 책 제목이 "열두 발자국"(박한선 선생님의 일곱 발자국은 또 어떤 의도인지 파악 못했지만)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모든 것은 그 자리에>를 읽으며 올리버 색스의 열렬한 지식욕과 열린 태도에 탄복했는데, <열두 발자국>을 읽으며 정재승 박사에게 역시 그 속성이 다분하구나. 소위 창의적인 천재들에게 공통되는 속성인가 싶었다. 대학도서관의 책들을 다 읽어치우겠다는 (거의 불가능한) 포부를 가졌던 정재승 박사에 비하면 발 밑의 흙수준이겠지만, 다독하며 얻는 생각은 있다. 

1. 좋아서 하는 일은 옆에서 봐도 그 즐거움이 느껴진다. 행간에서 느껴지기게 같이 전율한다.

2. 학문이건, 국적이건, 성별이건, 아무튼 경계표지석에 발부리 걸리는 사람치고 높게 오르지 못한다. 사고할 때만큼은 정교한 언어를 무기삼되, 그 범주어에 날갯짓이 꺽이지 않도록 한다. 자유롭게 활공한다.


정재승 교수는 일 년에 2~3차례 밖에 인터뷰에 응하지 않는다던데, 그중 한 인터뷰를 읽어보니 인터뷰어가 질투를 감추는데 어지간히 서툴렀던 것일까? 인터뷰 내용의 1/3은 오롯이 문어발 활동 정재승 교수의 탁월한 시간관리능력에 대한 것이었다. 정교수는 술, 담배, 회식, 골프 일절 안 하고 1주일 중 하루는 혼자 논다고 답했다. 


정재승 교수의 대중 강연장에 착석할 때, 마침 무릎 위에 올려 놓은 책은 올리버 색스 교수의 유고 에시이집, <모든 것은 그 자리에>! 우연인지 이날, 정재승 교수는 강연의 문을 열며 바로 "올리버 색스"를 언급했다. 존경하는 분이라고. 또한 칼 세이건도 존경한다고. 칼 세이건의 '아홉 발자국'에서 영감을 받아 따온 책 제목이 "열두 발자국"(박한선 선생님의 일곱 발자국은 또 어떤 의도인지 파악 못했지만)  


<모든 것은 그 자리에>를 읽으며 올리버 색스의 열렬한 지식욕과 열린 태도에 탄복했는데, <열두 발자국>을 읽으며 정재승 박사에게 역시 그 속성이 다분하구나. 소위 창의적인 천재들에게 공통되는 속성인가 싶었다. 대학도서관의 책들을 다 읽어치우겠다는 (거의 불가능한) 포부를 가졌던 정재승 박사에 비하면 발 밑의 흙수준이겠지만, 다독하며 얻는 생각은 있다. 

1. 좋아서 하는 일은 옆에서 봐도 그 즐거움이 느껴진다. 행간에서 느껴지기게 독자도 함께 전율한다.

2. 학문이건, 국적이건, 성별이건, 아무튼 경계표지석에 발부리 걸리는 사람치고 높게 오르지 못한다. 사고할 때만큼은 정교한 언어를 무기삼되, 그 범주어에 날갯짓이 꺽이지 않도록 한다. 자유롭게 활공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지난 3월 1일 즈음해서 보았던 어린이 연극인데 광복절 기념하여 3일동안 다시 무대에 올리나봅니다.

연극을 통해 항일의 역사를 아이들이 마음으로 느낄 수 있고, 연극 후에는 (탐방 신청자에 한하여) 배우분들이 직접 역사탐방을 1시간 정도의 코스로 안내해주십니다. 기념품으로 태극기가 그려진 귀한 에코백을 주시는데, 특별한 선물이었습니다. 단 3일만 공연하니 많은 분들이 모르고 지나치실까 아쉬워서 정보 공유해봅니다.

정동 극장 자체도 역사적 건축물이자 공간이지만 인근에 아이들과 방문할 곳들이 많으니 유익한 하루 계획하시는 데 무리가 없을 듯 합니다. 모두 비오는 광복절 의미깊게 보내시길 바랍니다.

○장소:정동 1928 아트센터

○기간: 2019.08.15~2019.08.1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자기계발을 위한 몸부림 - 삶의 최적화를 위한 1년간의 처절한 실험
칼 세데르스트룀.앙드레 스파이서 지음, 임지연 옮김 / 매일경제신문사 / 2018년 4월
평점 :
절판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건강 신드롬』을 읽고, 우선 나르시스트적 케미가 독특한 젊은 학자들에게 호기심이 생겼다. 저자 칼 세데르스트룀과 앙드레 스파이서가 자기계발을 종용하는 사회적 흐름을 맹렬히 비판한 탓에, 이들이 몸소 "자기계발" 강령을 1년간 실천 후 썼다는 『자기계발을 위한 몸부림』을 바로 구해보지 않을 수 없었다. 마치 스포일 당하기 전에 영화 "기생충"을 보겠다는 일념으로 새벽에 극장 찾았듯, 이 책을 최대한 빨리 다 읽어버렸다. 2016년의 1월부터 12월까지, 각 월마다 '칼'과 '앙드레'가 실천했다는 "자기계발" 항목의 스포일 당하지 않기 위해. 



책 읽는 중간에, 그리고 다 읽은 후에 이 두 학자의 TED 강연을 보니 해석이 달라진다. 실은 전작 『건강 신드롬 』과 달리, 『자기계발을 위한 몸부림』은 전혀 전혀 아카데믹하지 않고, 거의 블로그 설사 수준의 유쾌한 이야기가 쏟아진다. 내세운 제목의 키워드는 "Self-Improvement"이지만, 감춰진 부제는 "두 남자, 칼과 앙드레의 밀당"으로 보인다. 이들의 관계가 삐걱거림에 따라 매월 진행되는 프로젝트간의 유기적 연결 고리라든지, 아우를 수 있는 큰 질문이 희미해져간다. 1달만에 spirituality경험하기,1달안에 아카데믹 저서 원고 완결해서 출판사에 넘기기, 1달안에 외국어 마스터하기, 1달안에 몸 만들기, 1달안에 외모 성형 등등...


https://www.youtube.com/watch?v=UDqCltzkzPQ



실은 이 엉뚱한 프로젝트의 강력한 주도자는 Carl이다. Andre는 야심가인 Carl의 푸쉬를 받아 자책감과 책임감을 쥐어 짜가며 이 프로젝트를 끌고 간다. 중간에 둘이 관계회복을 위한 테라피를 받기도 하고, 자신들의 문제를 파악하기도 하지만, 봉합된 상처일지라도 상처는 상처이다.

위 TED강연에서 Carl은 대본을 짜서 미리 철저히 외우고 예행연습을 하자 했으나, Andre는 설렁설렁 대사를 외워서 2번이나 자기 차례를 놓쳤다고 Carl이 분통을 터트리는 부분이 『자기계발을 위한 몸부림』에 등장한다. 스테이지 박 비한이드 스토리를 파악하고나서, 이 TED 강연자들의 몸짓사인과 대사를 보면 흥미롭다.


일반인이야 저술을 통한 인기를 위해서 이런 엉뚱한 짓에 시간과 돈을 쏟아부을 수 있겠지만 경영대 교수들이 뭐이 아쉬워서? 게다가 이들은 자기계발 산업에 그토록 비판적이었으면서도 어느덧 자기계발 산업의 소비자이자 조합원처럼 그 문화를 만드는 데 일조한다는 듯한 인상도 풍기지 않는가? 분명 이 책 많이 팔렸을 것이다. 이런 류의 책들이 이미 많이 나와 있다지만, 대중은 지식엘리트가 자기계발 쾌락 최대화 프로젝트를 이유로 성인용품 상점을 들락이며 자신의 마스**이션 과정을 비디오테이핑하는 묘사에 묘한 우월감을 느낄 테니까. 

이 책만 따로 두고 본다면야 "(자기계발을 위한) 몸부림"의 구체적 증언을 본 셈이지만, 만약 연구였다면 연구자로서의 윤리의식 및 방법론에서 많은 문제가 제기된다. 재기발랄하고 (특히 Carl의 경우, 자기계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소설 원고를 완성했을 만큼 글 솜씨가 좋다) 자신만만한 이 두 젊은 학자의 책들을 더 찾아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