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대의 차가운 손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한강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2년 1월
평점 :
소설가인 '나'는 마감을 앞둔 상황에서 돌아가신 어머니의 유일한 혈육인 이모의 입원 소식을 듣고 K시로 향한다. 문병을 마치고 지친 몸과 마음으로 택시 정류장에 들어선 '나'는 우연히 근처에서 개최 중인 전시회의 포스터를 보게 되고 홀린 듯 그곳으로 향한다. 전시장에서 '나'는 인체를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인체를 직접 석고로 뜨는 '라이프캐스팅' 기법으로 만든 장운형의 작품을 보고 큰 충격을 받는다. 그로부터 일 년 후 거리에서, 또 다시 일 년 후 공연장에서 장운형의 작품을 마주친 '나'는 그에게 직접 이런 작품 활동을 하는 이유를 묻는다.
2024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한강의 두 번째 장편 소설 <그대의 차가운 손>은 액자식 구성으로 되어 있다. 장운형과의 첫 만남 이후 집필 활동에 몰두해 있던 '나'는 장운형의 여동생 혜숙으로부터 장운형이 실종되었다는 소식을 듣는다. 혜숙은 '나'에게 장운형이 남긴 스케치북 한 권을 전해주고, '나'는 그 스케치북을 통해 장운형의 지난 생애를 알게 된다.
K시의 유복한 집안에서 장남으로 태어난 장운형은 아버지의 거짓과 어머니의 위선을 보며 사람들이 진실 또는 선이라고 말하는 것에 대해 곧이곧대로 믿지 않고 의심부터 하는 성정을 가지게 되었다. 그러한 성정은 그를 거짓이나 위선으로부터 지켜준 한편으로 그 어떤 진실과 선도 믿지 못하는 고단하고 쓸쓸한 삶으로 내몰았다. 결국 그는 자신의 삶의 한가운데가 텅 비어 있다는 감각에 사로잡히게 되었고, 이러한 감각을 표현함으로써 떨쳐내기 위해 조각의 세계에 빠져들었다.
라이프캐스팅 기법은 인체를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석고로 뜨기 때문에 인체를 실제에 가깝게 표현하지만 모델의 신체가 빠져나간 내부가 텅 비어 있다는 점에서 내부가 들어차 있는 실제 인체와는 차이가 있다. 그러나 외삼촌과 어머니, 아버지 등 가까운 혈육의 죽음을 잇따라 겪으며 어릴 때부터 삶의 유한함을 인식하고 있었던 장운형은 자신이 만든 조각 내부의 동공(洞空)이야말로 인간 존재의 한계를 여실히 보여준다고 느꼈다. 몸이라는 껍데기를 제외하고 인간이 자신의 고유함을 증명할 수 있는 수단은 얼마나 빈약한가. 그런 껍데기에 의지하며 사는 인간이라는 존재는 얼마나 허망한가.
'나'가 고작 몇 번의 마주침과 만남으로 장운형의 그러한 속내를 간파한 것은, 그가 예리한 관찰력을 필요로 하는 직업(소설가)을 가졌기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그 직전에 사랑하는 어머니의 죽음과 어머니처럼 따르는 이모의 입원이라는 슬픈 일을 겪었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그러나 '나'가 슬픔을 간직하고 있는 사람이라서 다른 사람들은 알아채지 못한 장운형의 슬픔을 알아챌 수 있었던 것만은 아니다. '나'와 장운형에게 슬픔은 극복하거나 외면해야 할 대상이 아니라 존재와 생의 의미를 반추하는 계기가 된다는 점에서 두 사람은 영혼의 쌍둥이라고 해도 될 정도로 닮았다.
실종 이전에 장운형은 L과 E의 신체에 매혹되었지만 그들의 영혼에는 교감하지 못했다. 그러나 그 매혹의 증거인 작품을 통해 '나'를 만날 수 있었고 '나'는 오랫동안 장운형을 잊지 못한다. 나를 비롯한 모든 존재가 언젠가 썩어서 없어질 껍데기에 불과할지라도 그 껍데기로 누군가를 매혹시키고 누군가에게 기억될 수 있다면, 나의 껍데기만 보는 것이 아니라 껍데기 아래의 텅 빈 공간까지 알아채줄 사람을 만날 수 있다면, 삶은 기꺼이 살아볼 만한 것이 아닐까. 그러니 어느 순간에도 절망보다는 희망을 택하라고 말 걸어주는 듯한 소설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