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개 신랑 들이기
다와다 요코 지음, 유라주 옮김 / 민음사 / 2022년 10월
평점 :

다와다 요코 하면 일본어와 독일어로 글을 쓰는 이중 언어 작가라는 인상이 강해서 다른 이력은 몰랐는데, 이번에 <개 신랑 들
이기>를 읽고 1993년 아쿠타가와상 수상 작가인 걸 처음 알았다. 민음사에서 2022년에 출간한 소설집 <개 신랑 이야기>에는 아쿠타가와상 수상작인 <개 신랑 이야기>와 <페르소나>라는 단편이 실려 있는데, 두 작품 모두 길이는 길지 않지만 형식과 내용 모두 상당히 충격적이고, 다와다 요코라는 비상한 작가의 작품 세계를 탐험하는 데 있어서 일종의 길잡이 내지는 나침반이 될 만하다.
먼저 실린 <페르소나>는 오랫동안 독일에 거주하고 있는 작가 자신의 자전적인 경험이 많이 반영된 듯 보인다. 주인공 미치코는 남동생 가즈오와 함께 독일에서 유학 중이다. 어느 날 독일 친구인 카타리나로부터 김성룡이라는 한국인 남성이 레나테라는 독일인 여성을 성추행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는 이야기를 들은 미치코는 김성룡에게 쏟아지는 인종차별적 언사에 분노를 느낀다. 가즈오는 일본인과 한국인은 입장이 다르다며 미치코를 타이르는데, 미치코는 남자라는 이유로 누나인 자신을 아랫사람 대하듯 하는 가즈오에게 화가 난다.
<페르소나>가 1990년대 독일이 배경이라면, 이어지는 <개 신랑 들이기>는 1960년대 일본 도쿄가 배경이다. 전후 부동산 붐이 일어나 신도시 개발이 한창이던 때. 신도시와 떨어진 옛 동네에 사는 기타무라 미쓰코는 신도시 아파트 단지에 사는 아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일종의 학원을 운영한다. 사람들은 나이가 적지 않은데도 결혼하지 않고 아이도 없는 미쓰코에 대해 온갖 상상을 하는데, 과연 이 상상들은 진실일까 허구일까.
다와다 요코는 1960년 생이고 <페르소나>와 <개 신랑 들이기> 모두 1990년대 초반에 발표된 작품인데, 두 작품 모두 요즘 읽어도 손색이 없을 만큼 형식과 내용이 참신하고 주제 의식 면에서도 생각해 볼 여지가 있어서 놀라웠다. 과연 탈냉전 이전에 독일로 이주해 디아스포라 문제를 연구하고, 국경의 제약이 사라지기 이전부터 이중 언어 실험을 해온 선구자답다. 다와다 요코의 최근작들은 다소 어려운 감이 있어서 차라리 초기작부터 읽어볼까 하는 독자에게 이 책을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