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드라마 - 그럼에도 친구가 되는 여자들
서한나 지음 / 글항아리 / 2024년 9월
평점 :

지금까지 많은 여자들을 만났다(참고로 나는 여자다). 그중에는 친구가 된 여자도 있고, 친구였다가 더는 친구가 아니게 된 여자도 있고, 친구가 되고 싶었지만 친구가 되지 못한 여자도 있고, 친구가 되는 일은 없을 거라고 처음부터 생각한 여자도 있다. 나는 왜 어떤 여자와는 친구가 되고 어떤 여자와는 친구가 되지 못했을까. 나는 왜 어떤 여자와는 친구가 될 수 있고 어떤 여자와는 친구가 될 수 없다고 생각했을까.
서한나의 산문집 <드라마>를 읽다가 이런 구절을 발견했다. "여자와의 관계에 대해 생각하는 것은 당연히 어렵다. 그것이 자신에 관한 질문을 마주하게 하기 때문이다. 다른 여자를 어떻게 대하는지는 자기 자신을 어떻게 대하는지를 말해준다. 궁금해 하는지 어색해 하는지, 어떻게 대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여기는지, 판단하는지 활용하는지, 변화를 지켜보는지, 기대 따윈 없는지, 믿을 만하다고 생각하는지 믿어보기엔 너무 약하다고 생각하는지...... 직면은 어려운 일이다." (185쪽)
이 구절을 읽고 생각해 보니 예전에 나는 주로 취향이 맞는 친구들을 만났던 것 같다. 이를테면 나처럼 독서가 취미이거나 같은 영화, 드라마, 연예인을 좋아하는 친구들. 대화의 주제도 늘 그때 그때 재밌게 본 콘텐츠에 관한 것이었지 각자의 내밀한 이야기를 나눈 적은 없는 것 같다. 그래서일까. 그렇게 사귀었던 친구들 대부분과 지금은 만나지 않는다. 서로의 취향이 바뀌면서, 취미가 달라지면서, 취업이나 결혼, 육아 등으로 삶의 우선순위가 바뀌면서 공통의 화제가 사라지고 더는 만나도 할 이야기가 없기 때문이다.
이제는 취향도 취향이지만 그 취향을 가진 사람 자체에 관심이 있어서 만나는 친구가 있었으면 좋겠는데, 나이가 들고 새로운 사람을 만날 기회가 적어지다 보니 그런 친구를 사귈 계기도 만나기 어렵다. 계기를 만난다 한들 내향인인 내가 먼저 다가갈 리 만무하고... 그래서 이 책을 읽는 동안 작가님과 작가님의 친구들이 무척 부러웠다. 좋은 친구들을 많이 가진 것도 부럽고, 친구들에게 나눠주고 나눠받을 에너지가 많은 것도 부럽고.
에너지라는 단어가 나와서 말인데, 요즘의 나는 에너지가 정말 부족하다. 이유가 뭘까 생각해 봤는데, 나는 내가 '해야 하는' 일만 하고 내가 '하고 싶은' 일은 안 해서 그런가 싶다. 여행 가고 싶어도 안 가고, 콘서트 가고 싶어도 안 가고, 가방 사고 싶어도 안 사고, 영화 보고 싶어도 안 보고... 그렇게 '하고 싶다'고 생각한 일들을 안 하니까 '하고 싶은' 에너지가 안 생기는 거다. 하고 싶다고 생각해도 어차피 안 할 텐데 뭐하러 하고 싶어해, 그러니까 애초에 하고 싶어하지 말자, 이런 사고랄까.
이렇게 나 자신에게 우호적인 존재가 못 되니까 친구한테도 우호적인 존재가 못 되어주고, 그래서 친구들이 다 내 곁을 떠나갔나 싶다. 나처럼 많은 여자들이 자기 자신에게 우호적인 존재가 못 되니까 다른 여자들에게도 우호적인 존재가 못 되고, 그래서 친구가 없거나 친구가 있어도 '진정한 친구'는 없고, 여성들만의 연대나 협력 같은 걸 기대할 수 없으니 존재할 수도 없어서 급기야 '여자의 적은 여자' 같은 말이 나도는가 싶다. 근데 또 <남자는 왜 친구가 없을까> 같은 책이 나오는 걸 보면 남자도 친구가 없는 것 같고...
아, 대체 이 현대 사회에서 친구 많은 자는 누구인가. 내가 아는 사람 중에 친구가 많아 보이는 사람 몇 명이 머릿속에 떠오르는데, 막상 그 사람들한테 친구 많으냐고, 어떻게 해야 그렇게 친구가 많으냐고 물어보면 아니라고 손사래칠 것 같다. 친구가 뭐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