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멜라닌 - 제29회 한겨레문학상 수상작
하승민 지음 / 한겨레출판 / 2024년 7월
평점 :

재일은 한국인 아버지와 베트남인 어머니 슬하에서 태어난 파란 피부의 소년이다. 부모 중 한 명이 외국 출신인 것만 해도 눈에 띄는데 피부색마저 파랗다 보니 재일은 언제 어디서든 차별과 혐오의 대상이 된다. 심지어 가구 공장 노동자인 아버지마저 아들인 재일을 보호해주기는커녕 가부장적인 태도로 무시하고 억압한다. 다행히 재일의 어머니는 강직하고 다정한 성품으로 재일을 지켜주고 품어준다. 방학 때마다 엄마의 고향을 찾아가 외할머니가 만들어주는 음식을 먹고 이웃 아이들과 어울려 놀았던 기억이 재일의 유일한 낙이다.
그러던 어느 날 재일의 아버지가 미국 이민을 선언한다. 걱정하는 재일에게 아버지는 미국은 이민자들의 나라이니 피부색이 파란 재일도 잘 융화되어 지낼 수 있을 거라고 말한다. 아버지와 함께 미국으로 간 재일은 아버지가 말한 이상과 현실이 전혀 다르다는 것을 오래지 않아 깨닫는다. 재일이 만난 미국인들은 다 같은 이민자라서 서로 도와주고 배려하며 살기는커녕, 조금이라도 약점이라고 생각되는 면이 보이면 곧바로 차별과 혐오의 구실로 삼는다. 이런 와중에 재일의 몇 안 되는 친구 중 하나가 끔찍한 일을 당하고, 범인으로 파란 피부색을 지닌 이민자 출신의 재일이 지목된다. 재일은 이런 현실을 계속 감당할 수 있을까.
제29회 한겨레문학상 수상작인 하승민 작가의 <멜라닌>은 피부색이 파란 소년 재일이 한국과 미국에서 경험하는 차별과 혐오를 통해 오늘날의 사회 문제를 사실적으로 보여준다. 소설 속 세계에서 파란 피부색은 약자 중에서도 약자, 소수자 중에서도 소수자다. 피부색이 파란 사람이 모두 범죄자인 건 아닌데, 범죄를 저지른 사람이 피부색이 파랗다는 사실이 알려지면 사람들은 피부색이 파란 사람을 싸잡아 비난하고 경계한다. 재일의 부모는 피부가 파랗지 않기 때문에 재일이 사람들 사이에서 어떤 압박을 느끼는지 공감하지 못한다. 재일이 느끼는 고통은 오로지 재일의 몫인 것이다.
그런 재일의 상황은 미국에 가서도 나아지지 않는다. 오히려 아시아계 이민자라는 약자성, 소수자성이 더해지면서 더 큰 차별과 혐오를 맞닥뜨리게 된다. 불행 중 다행으로 재일에게 셀마와 클로이라는 친구들이 생긴다. 이들은 성별, 세대, 인종, 국적, 종교 같은 일종의 라벨링을 신경 쓰지 않고 재일을 있는 그대로 바라봐주고 이해해준다. 이런 친구들의 존재는 지금 당장 재일이 직면하고 있는 현실을 바꿔주지는 못해도, 재일이 힘든 현실을 계속 견디고 버틸 수 있도록 용기를 주고 힘이 된다.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진정으로 필요한 건, 돈이나 명예 같은 것이 아니라 재일의 친구들처럼 내 마음을 살펴봐주는 사람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