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앞말과 뒷말을 이어주는

그리고

너와 나도 이어줄까

 

커다란 세상뿐 아니라

아주 작은 것과도 이어주는

그리고

 

 

 

2

 

꽃을 그리고

나무를 그리고

하늘을 그리고,

그리고

너를 그린다

 

그리워서……

 

 

 

3

 

바다가 그리워 바다에 가고

산이 그리워 산에 갔다

바다 그리고 산은

언제든 반겨주네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누군가 이름을 부른다면
김보현 지음 / 은행나무 / 201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상이 좀비로 가득찬다면, 하는 이야기가 처음은 아닐 거다. 지금 생각하니 다른 좀비 이야기는 본 적 없다. 영화나 그런 영화가 있다는 말만 보고, 산 사람은 좀비를 사람으로 보지 않았다. 좀비라는 거 정말 있을 수 있을까. 좀비가 나온 건 아니지만 세상에 이상한 바이러스가 퍼지고 많은 사람이 죽고 산 사람은 어딘가로 떠나는 이야기는 봤다. 그러고 보니 그 이야기에서는 시간이 흐른 뒤 바이러스가 사라졌구나. 그걸 잊고 있었다. 다른 이야기는 어땠을까. 좀비를 모두 없애고 감염되지 않은 사람만 살아남았을까. 그렇게 살아남으려면 무척 힘들겠다. 잘 피할 수 있다면 괜찮겠지만, 본래 사람이었던 좀비를 없애야 했을지도 모를 테니. 누군가를 죽이고 살아남아도 기분 안 좋을 것 같다. 좀비 바이러스가 퍼지면 난 집 밖에 나가지 않고 숨어 있고 싶다. 그것도 오래 가지 못하겠다. 시간이 가면 물이나 먹을거리를 찾아야 할 테니.

 

 책을 보고 잠깐이라도 나한테 책속에 일어난 일이 일어나면 어떻게 할까 하는 건 기분 별로다. 전쟁이 일어나고 사람이 죽는 것도 무섭고 바이러스 때문에 사람이 죽는 것도 무섭다. 더 무서운 건 좀비 바이러스가 퍼지는 거구나. 바이러스니 백신이 있으면 나을까. 이런 생각을 하면서 이 책을 보았다. 미국에서 나타난 좀비 바이러스는 순식간에 세계에 퍼지고 한국도 빠지지 않았다. 정말인지 알 수 없으나 백신을 개발한다면서 좀비가 된 사람을 죽이지 마라 한다. 좀비가 된 사람은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은 사람을 공격하고 먹기도 했다. 좀비가 되면 살아있는 것을 먹는단다. 생각은 거의 없고 빛을 좋아했다(다른 데 나온 좀비도 그랬나). 좀비끼리는 공격하지 않는 게 신기하다. 그런 일까지 일어나면 지옥이 따로 없겠다. 어쩐지 다른 좀비 이야기에서도 좀비끼리는 서로 공격하지 않을 것 같다.

 

 여기에 좀비가 나오지만 시작은 평범하다. 아니 그렇게 평범하지 않은가. 스무살이지만 고등학교 3학년인 차원나는 혼자다. 혼자지만 마을 어른이 원나를 자꾸 불러서 여러 가지 일을 시킨다. 원나 아빠는 원나가 어렸을 때 집에 불이 나고 원나를 구하고 죽고, 원나 엄마는 차 사고로 식물인간이 되었다. 원나는 아빠가 자신 때문에 죽었다고 생각하고 학교에 다니지 않기도 했다. 그 뒤 이장 철종한테 펜싱을 배우고는 조금 달라졌다. 원나가 펜싱을 하기로 한 건 펜싱할 때 몸을 다 가릴 수 있어서였다. 불이 났을 때 원나는 얼굴과 목을 데었다. 원나는 머리로 얼굴을 가리고 목에는 손수건을 둘렀다. 이런 이야기가 이어져서 정말 좀비 나오는 거 맞나 하면서 봤는데. 신종 바이러스가 나왔다는 뉴스가 나오고 원나가 사는 마을 사람도 다 감염된다. 서울에서 온 여자아이 때문에. 바이러스는 한순간에 퍼지는구나.

 

 마을에는 원나와 이장 부부 철종과 마리아만 빼고 다 나이 든 사람만 살았다. 다행하게도 사람이 많지 않았다. 처음에는 원나와 마리아 둘만 남았다. 원나는 식물인간이 된 엄마가 걱정스러워서 요양원에 가서 엄마를 찾아본다. 누워만 있던 원나 엄마는 좀비가 되어 움직였다. 원나는 그 모습을 보고 조금 기뻐했다. 식물인간이 좀비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정말 움직일까. 원나는 엄마를 마을로 데려왔다. 얼마 뒤 사고가 일어나고 마리아를 좀비가 되게 하고 원나 혼자 남는다. 원나는 혼자 엄마와 마을 사람을 돌보고 농사를 지었다. 원나가 혼자였지만 좀비가 된 엄마와 마을 사람이 있어서 힘을 내지 않았을까 싶다. 원나는 마을 사람뿐 아니라 마을과 떨어진 곳에서는 좀비가 된 사람을 한 곳에 모아두었다. 언젠가 백신이 오리라고 원나는 믿었다. 원나가 여러 가지 물건을 구하러 백화점에 갔을 때 그곳에서 곧 연예인이 되려고 했던 영군을 만난다. 영군은 원나가 펜싱칼로 좀비가 가까이 오지 못하게 하는 모습을 보고 멋있다 느꼈다. 원나한테 누나 누나 했다. 실제로는 원나가 영군보다 어렸다.

 

 좀비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은 사람은 더 있었을 테지만, 그런 사람 이야기는 그리 많이 나오지 않는다. 어쩌면 세상이 어지러운 틈을 타 멋대로 사는 사람과 좀비한테 아이와 식구를 잃고 세상을 정화한다면서 좀비를 죽이는 사람이 더 있었을지도 모르겠다. 난 원나가 마을 사람을 그저 아픈 사람으로 여기고 빛을 보게 하는 게 좋게 보였다. 원나 같은 사람이 다른 곳에도 있었기를 바라지만, 좀비가 되고 죽임 당한 사람이 많다고 했다.

 

 세해가 지나고 백신이 왔다. 백신을 맞은 사람들은 깨어났다. 기적 같다. 그동안 좀비가 된 사람은 먹지도 않고 잠도 안 잤는데 본래대로 돌아가다니. 몸은 죽은 사람 같아도 바이러스가 움직이게 했을까. 원나는 다시 돌아온 일상을 기쁘게 여기고 그게 아주 소중하다는 걸 깨달았다. 사람은 무슨 일이 일어나야 그전이 얼마나 좋았는지 알게 된다. 그런 일 겪지 않고도 누군가 자신의 이름을 부르고 이야기하고 웃는 걸 소중하게 여기면 좋을 텐데. 힘들고 어려운 일을 모르는 것보다 그런 일을 겪고 단단해지는 게 나을지도. 원나는 흉터 때문에 가렸던 얼굴과 목을 드러내고 펜싱도 더 즐겁게 열심히 하려 한다. 일어나기 힘든 일일 것 같지만 좋게 끝나서 다행이다. 이렇게 생각하다니. 새로운 바이러스가 생기면 어딘가에서 백신을 만드는 사람이 있으리라고 믿고 싶다.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엄청난 비에 다리가 부서지고

그걸 본 한 사람은

다시 다리를 만들려고

나무를 베고 다듬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그곳에 여러 사람이 찾아오고

한 사람을 도와 다리를 만들었다

 

모두가 함께 만든 다리는

이쪽 마을과 저쪽 마을을 이었다

 

다리가 또 부서진다면

마을 사람은 힘을 합쳐

다리를 만들 거다

더 튼튼하게

서로의 마음도

단단하게 이어질 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나츠메 우인장 22

미도리카와 유키

白泉社  2017년 09월 05일

 

 

 

 언젠가도 여름에 <나츠메 우인장>을 만났는데 이번에도 그랬다. 무서운 이야기는 없지만 나츠메가 겪는 일을 잘 생각하면 무서울 수도 있다. 여름에 무서운 이야기를 더 하는 건 더위를 식히려는 거겠지. 왜 무서운 이야기를 들으면 찬 기운이 들고 오싹할까. 무언가 스쳐지나가도 찬 기운을 느낀다고 한다. 귀신 요괴는 사람처럼 따듯하지 않아설지도. 언젠가 나츠메 친구 시바타가 사람인지 알고 만난 여자 고등학생 모습을 한 요괴와 손을 잡았을 때 손이 차갑다고 했다. 사람과 요괴는 다른 세계에 살겠지. 아니 같은 곳에 산다 해도 서로 간섭하지 않으면 모르겠다. 보이지 않아도 함께 산다 느껴도 괜찮을 것 같은데. 요괴라고 다 나쁘지는 않다. 사람도 마찬가지다. 좋은 사람이 있는가 하면 나쁜 사람도 있다.

 

 이번에 본 22권 나온 지 한해가 다 되어간다. 벌써 그렇게 시간이 흘렀다니. 예전에도 한 말이지만 <나츠메 우인장>은 자주 나오지 않아서 다행이다. 한해에 여러 권 나왔다면 밀렸을 테니 말이다. 자주 나왔다면 자주 나오는대로 봤을까. 올해도 9월에 책(23권)이 나온다. 한해 만에 나오다니. 여기에 딱 한번 산 만화잡지에 실린 이야기도 있다. 밤마다 나츠메가 니시무라를 찾아와서 니시무라가 학교에서 주운 인형 손가락이 괜찮은지 보고, 보름달이 뜬 날 니시무라가 그 손가락을 어느 집에 있는 인형에 끼우게 하는 이야기. 니시무라는 밤마다 2층 창을 두드리는 나츠메를 진짜 나츠메라 여기고 둘만의 비밀이 생긴 것을 기쁘게 여겼다. 인형 손가락을 끼웠을 때 니시무라는 밤에 찾아온 나츠메가 진짜 나츠메가 아니다는 걸 무의식으로 알았을지도. 인형은 니시무라한테 나쁜 짓은 하지 않고 손가락만 찾으려 했다. 인형도 밤에 니시무라를 만나고 잠시 이야기해서 즐거웠을 것 같다. 오래전에 그 인형을 좋아한 사람이 있었겠지. 나츠메 모습으로 니시무라를 찾아온 건 인형이 날려보낸 마음이다.

 

 세상에는 요괴가 있다고 여기는 사람보다 없다고 여기는 사람이 더 많을까. 요괴가 있다고 여기는 사람한테는 있는 거고 없다고 여기는 사람한테는 없는 거겠지. 나츠메는 친구 타키와 타누마와 요괴 자료를 전시하는 여관에 간다. 타누마와 타키는 나츠메가 요괴를 볼 수 있다는 걸 아는 친구다. 그래서 함께 갔겠다. 타키 할아버지는 요괴를 좋아하고 연구했지만 볼 수 없었다. 타누마는 요괴를 뚜렷하게 볼 수 없지만 조금 느낀다. 타키나 타누마가 요괴를 조금 알아서 나츠메가 요괴를 볼 수 있다는 걸 말했구나. 나츠메가 어떤지 아는 친구가 하나도 없는 것보다는 낫겠다. 이건 이 책을 죽 보면 알 수 있다. 타키와 타누마가 나츠메가 요괴를 볼 수 있다는 걸 안다 해도 나츠메는 자신한테 일어나는 일을 다 말하지 않는다. 타키와 타누마를 걱정시키고 싶지 않은 마음과 위험에 빠뜨리고 싶지 않은 마음 때문이다.

 

 세 사람이 간 여관은 요괴나 신이 머물기도 하는 곳이었다. 그런 이야기가 전해진다고 했다. 갑자기 비가 많이 와서 셋은 그 여관에서 하룻밤 자기로 한다. 그날 밤 꿈에 타누마는 노렌 사이로 안을 보는 얼굴을 보았다. 다음날 여관에는 이상한 일이 일어났다. 나츠메는 여관 주인한테서 지난밤에 노렌을 뒤집어서 걸지 않았다는 말을 들었다. 그 여관 노렌은 낮에는 앞이 보이게 걸고 밤에는 뒤집어야 했다. 뒤집으면 부적이 되어서 나쁜 요괴가 들어오지 못했다. 타누마가 밤에 꾼 꿈은 나쁜 요괴가 그 여관에 들어오는 거였다. 여관에는 오랫동안 단풍을 보러오는 단골 요괴 이나나기가 있었는데, 나츠메를 만나고 나쁜 요괴가 거기에 왔다는 걸 알고 그 요괴를 쫓는 부적을 써서 쫓아달라 한다. 부적을 그리는 건 타키와 타누마가 함께 했다. 나츠메가 나쁜 요괴한테 부적을 붙이려 했지만 잘 안 됐다. 그걸 이나나기가 했다. 요괴가 부적에 손을 대면 자신도 그 주문에 걸린다. 이나나기도 여관 밖으로 튕겨나갔다. 그래도 이나나기는 여관에 안 좋은 일이 일어나는 걸 막아서 기뻐했다. 야옹 선생이 와서는 그 부적은 그게 붙은 요괴한테만 영향이 있다고 했다. 이나나기는 여관으로 들어갈 수 있었다. 부적은 요괴를 여관 밖으로 쫓고 다시는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거였다.

 

 난 책을 보면 그 이야기를 잘 알려주고 싶기도 하다. 내가 말하는 것과 실제 보는 건 다를 텐데. 나츠메는 우인장에 있는 이름을 돌려받기를 바라는 요괴가 있다는 요괴들 소문을 듣고 그 요괴를 찾아간다. 경호원인 야옹 선생도 함께. 나츠메 앞에 나타나는 요괴는 자기 이름이 우인장 맨 앞에 있다고 한다. 그 말을 듣고 나츠메는 레이코 이야기를 해달라고 한다. 레이코는 우인장을 만든 나츠메 할머니다. 예전에 레이코는 혼자 숲에 다녔다. 사람이 별로 없는 조용한 곳을 찾으러. 그 요괴 소라노메도 혼자 있기를 좋아했다. 그래도 레이코가 마음 쓰여서 레이코가 어떤지 지켜봤다. 얼마 뒤 숲에 다른 여자아이가 왔다. 이름은 소코였다. 레이코는 요괴들이 하는 말을 듣고 소코가 있는 곳에 찾아와서 거기 있지 말고 집에 가라고 한다. 소코는 다음날도 그 다음날도 찾아왔다. 그때마다 레이코는 소코 옆에서 낮잠을 잤다. 레이코는 요괴가 소코한테 나쁜 짓 못하게 하려고 그랬겠지.

 

 어느 날 소코가 자기 이름을 말하고 레이코한테 이름을 가르쳐 달라고 한다. 레이코가 쉽게 가르쳐주지 않자, 둘이 싸워서 자신이 이기면 이름을 가르쳐 달라고 한다. 싸움이라고 했지만 그건 별거 아니다. 돌맹이로 바위에 있는 삼각무늬 맞추기, 달리기 이런 거였다. 소코는 거의 이기지 못했다. 시간이 흐른 뒤 소코가 드디어 이겼다. 레이코는 자신이 나츠메 레이코라 말했다. 소코는 조금 놀랐다. 나츠메 레이코는 옆마을에 사는 조금 이상한 여자아이 이름이었다. 레이코는 소코한테 자기 이름을 말하고 싶기도 하고 말하고 싶지 않기도 했던 것 같다. 다음날부터 소코는 숲에 오지 않았다. 이렇게 끝나면 슬프겠지. 소코가 그동안 숲에 오지 못한 건 몸이 아파서였다. 레이코가 더는 그곳에 가지 않았을 때 소코가 왔다. 소라노메는 소코 옆에서 레이코가 기다렸다는 말을 했지만 소코한테 그 목소리는 들리지 않았다.

 

 레이코는 소코와 함께 놀아서 나중에 요괴와 싸우고 요괴가 지면 종이에 이름을 적게 했다. 요괴한테 이름을 적게 하고 그 뒤로는 찾지 않았다. 그건 왜였을까. 가장 먼저 생각할 수 있는 건 상처받지 않으려고다. 이거 하나밖에 생각나지 않는다. 레이코는 깊이 생각하지 않고 요괴한테 이름을 적게 한 거 아닐까. 그저 그 요괴를 만났다는 증거 같은 걸 남기려고. 그건 하면 안 되는 건가 보다. 요괴 이름이 적힌 종이는 요괴 목숨과 같다. 하면 안 되는 거지만 그걸 할 수 있는 사람은 얼마 없는 듯하다. 레이코와 소코가 엇갈리지 않았다면 더 좋았을 텐데. 그랬다면 우인장은 없었을까. 레이코가 오래 친하게 지낸 사람이나 요괴가 없었다 해도 그때 그때 만난 요괴가 있어서 괜찮았을 거다. 다른 사람을 보고는 이렇게 생각하면서 난 그렇게 생각하지 못하다니.

 

 요괴를 볼 수 있고 요괴한테 안 좋은 일을 당한 사람은 요괴를 볼 수 있는 걸 안 좋게 여기기도 하지만, 요괴를 볼 수 없어도 요괴한테 관심을 갖고 보고 싶다는 사람도 있다. 타키 할아버지가 그랬구나. 남자아이는 아빠한테 요괴 도감을 받고 요괴를 좋아하고 만나고 싶다 생각했다. 그 아이는 요괴를 찾으려고 숲에 왔는데 야옹 선생을 만난다. 야옹 선생은 저도 모르게 아이한테 말을 한다. 아이는 그걸 무척 신기하게 여기고 야옹 선생한테 요괴가 지나가면 무지개가 생기는 폭포를 함께 찾자고 한다. 야옹 선생이 바로 요괸데. 그 아이는 언젠가 그걸 깨달을까. 나츠메는 비를 피하러 들어간 문 닫은 역 건물에서 마토바를 만난다. 거기에서 조금 신기한 일이 일어난다. 아니 어쩌면 조금 무서운 일일지도. 예쁜 새소리를 내던 요괴는 목만 있었을까.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화를 찍으며 생각한 것 - 고레에다 히로카즈 영화자서전
고레에다 히로카즈 지음, 이지수 옮김 / 바다출판사 / 201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레에다 히로카즈라는 이름은 알지만 영화는 한편도 못 봤습니다. 그리고 감독 이름을 모를 때 <걸어도 걸어도>나 <아무도 모른다>는 영화 제목은 들어본 것 같기도 합니다. 영화 감독 이름을 알게 된 게 언젠지 잘 생각나지 않습니다. 그렇게 오래되지 않았어요. 잘 모르는데도 이 책을 봤군요. 무슨 말을 하면 좋을지 몰라 미루다가 겨우 씁니다. 미룬 시간이 길지는 않았습니다. 그 시간은 책을 만난 시간에도 들어가겠지요. 책을 보면서 제가 영화를 봤다면 조금 더 잘 알아들었을지도 모를 텐데 했습니다. 《원더풀 라이프》는 책으로 보려 했는데 게을러서 아직도 못 봤습니다. 그 영화에는 배우도 나오지만 일반 사람도 나온다더군요. 올해 안에 책을 만날 수 있다면 좋겠지만 어떻게 될지 모르겠습니다.

 

 책을 보고 알게 된 게 있습니다. 고레에다 히로카즈는 텔레비전 다큐멘터리를 먼저 만들었더군요. 다큐멘터리를 만들다 우연히 <환상의 빛>을 드라마로 만들어 보면 어떠냐 하는 말을 듣고, 드라마가 아닌 영화로 만들었다고 합니다. 이 영화 한국에서는 몇해 전에야 했군요. 어쩌면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 이름이 더 알려진 뒤 다시 한 것일지도 모르겠습니다. <바닷마을 다이어리> 때는 이름 알았습니다.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 때 알았을지도. 이 말을 또 하다니. 고레에다 히로카즈가 <환상의 빛>을 드라마가 아닌 영화로 만들었는데, 드라마 만든 것도 있더군요. 그건 우연히 봤습니다. 아베 히로시가 나오는 <고잉 마이 홈>. 몇해 전에 봐서 어떤 이야기였는지 잊어버렸어요. 어쩐지 아쉽네요. 딱 하나 봤는데 그걸 기억하지 못하다니. 그 드라마 괜찮았던 것 같아요.

 

 한국 배우 배두나가 일본 영화에 나온다는 말은 들었습니다. <공기인형> 이야기는 잡지에서 봤는데 잘 알고 본 건 아닌 듯합니다. 공기인형이 뭔지 몰랐습니다. 그때 관심을 가지고 봤다면 좀더 알았을지. 지금 생각하니 그때는 일본 문화를 잘 몰랐네요. 일본말에 관심을 갖고 일본 소설(추리, 미스터리)을 보고 어느 정도 알게 됐습니다. 그래도 고레에다 히로카즈가 쓴 이 책을 보고 공기인형은 알았습니다. 예전에 SF인가 하는 생각을 했으니. 그건 <공각기동대> 때문이 아닐지. 공각기동대가 어떤 건지 잘 모르지만. 고레에다 히로카즈가 배두나 칭찬을 많이 했어요. 배우는 카메라를 생각하고 연기를 하는군요. 다큐멘터리라 해도 모두 실제 모습은 아니다 합니다. 그걸 찍는 사람은 카메라가 있다는 걸 알고 움직입니다. 영화 <아무도 모른다>는 다큐멘터리처럼 보인다고도 하던데. 고레에다 히로카즈는 엄마가 아이를 버린 것보다 남은 아이들이 어떻게 지내는지 담고 싶었답니다.

 

 텔레비전 드라마와 영화는 다르겠지요. 영화는 한정된 시간 안에 보여줘야 해서 찍기 힘들겠습니다. 아니 찍은 뒤 편집을 잘 해야겠군요. 고레에다 히로카즈는 영화를 디지털 카메라뿐 아니라 필름 카메라로도 찍으면 좋겠다고 했습니다. 그러게요. 뭐든 새로운 게 나오고 그게 편하면 예전 것은 거의 사라지지요. 저는 둘 다 있는 게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 데이터는 쉽게 사라질 수도 있잖아요. 요즘은 음악도 CD가 아닌 음원이라고 하더군요. 앨범을 만들면 그 안에서 잘 알려지는 건 한두곡뿐이군요. 지금은 많은 곡을 만들지 않고 나중에 곡을 모아서 앨범을 내도 괜찮겠습니다. 그러고 보니 다른 나라는 싱글을 여러 장 내고 앨범을 냈군요. 필름 카메라 이야기 하다 이런 말을 하다니. 영화하고 상관없는 말이군요.

 

 예전(좀 오래전)에는 영화를 가끔 봤는데 지금은 거의 안 봅니다. 텔레비전 방송으로 해주는 것도. 저는 안 본다 해도, 앞으로도 영화 만들기를 바랍니다. 그것을 보고 꿈을 갖고 위로 받는 사람도 있겠지요. 영화를 보고 여러 가지 생각도 하겠습니다.

 

 

 

희선

 

 

 

 

☆―

 

 <아무도 모른다>는 칸 국제영화제에서 여든 번에 가까운 취재를 받았는데, 가장 인상깊었던 건 “당신은 영화 등장인물을 판단하지 않습니다. 아이를 버린 어머니조차 단죄하지 않지요.” 하는 지적이었습니다. 저는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영화는 사람을 판가름하려고 있는 게 아니고 감독은 신도 재판관도 아닙니다. 악인을 나오게 하면 이야기(세계)는 알기 쉬울지도 모르겠지만, 그러지 않아서 오히려 관객은 이 영화(<아무도 모른다>)를 자신의 문제로 여기고 일상으로 끌어들여 돌아갈 수 있지 않을까요…….”

 

 이 생각은 지금도 바뀌지 않았습니다. 영화를 본 사람이 일상으로 돌아갈 때 자신의 일상을 보는 방식이 바뀌거나 일상을 비평하는 기회가 되기를 언제나 바랍니다.  (190~19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