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여름가을이 가면 사람들은 하나 둘 잠에 빠지고

겨울이 갈 동안 일어나지 않았다

그곳에 사는 사람은 아무도 겨울을 몰랐다

 

언제나 겨울인 나라에 사는 설희는 바람결에

겨울이 없는 곳이 있다는 말을 듣고

그곳에 찾아가기로 한다

 

설희가 겨울이 없는 마을에 갔을 때는

마을 사람이 모두 잠든 겨울이었다

설희는 그 모습을 보고 그곳이 왜 겨울이 없는 곳인지 알았다

조금 실망했지만 설희가 살던 겨울 나라보다

참을 만했다

설희는 홀로 겨울을 났다

 

시간이 흐르고 바람이 부드워지고 햇볕이 조금씩 따듯해졌다

 

따스한 봄볕이 마을에 쏟아지자

사람들은 하나 둘 깨어났다

설희는 마을 사람한테 인사했다

다행하게도 사람들은 설희를 반겼다

 

따스한 봄

무더운 여름

시원한 가을이 가고

찬바람이 불었지만

사람들은 잠들지 않았다

 

마을 사람은 처음으로 겨울을 만났다

춥고 지내기에 힘들었지만

설희가 있어서 겨울을 견뎠다

 

그 뒤로도 사람들은 겨울을 났다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운다고 달라지는 일은 아무것도 없겠지만
박준 지음 / 난다 / 201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은 언제 울까. 어렸을 때는 아파서 울었을까. 하나도 생각나지 않는다. 또 나이를 먹으면 언제 우는지가 아니고 언제 울고 싶을까일 것 같다. 그냥. 소설에서 슬픈 이야기를 볼 때도 눈물이 나오고 슬프지 않아도 눈물이 나올 때 있다. 나이를 먹어서 울기 힘들면 슬프거나 감동스러운 소설이나 영화 드라마를 보고 울면 좀 나을까. 평소에는 생각하지 않다가 어느 날 갑자기 어린 시절을 떠올리고 울 때도 있겠지. 꼭 슬퍼서 우는 건 아닌데, 울음 하면 가장 먼저 슬픔이 생각난다. 어쩌면 그건 슬픔보다 다른 감정일지도 모르겠다. 누군가를 안타깝게 여길 때도 우는구나. 그나마 그런 울음은 괜찮다. 자신이 아닌 남을 위해 우는 거니. 그래도 가끔 자신을 안됐다 여기고 울어도 괜찮지 않을까. 나이를 먹는다고 다 어른은 아니다. 어린 마음을 갖고 있으면 어떤가.

 

 요새 난 조금 슬프다. 지금 내가 느끼는 것도 슬픔보다는 다른 감정일지도 모르겠지만 그것을 나타낼 말이 생각나지 않는다. 슬프다는 말밖에는. 시간이 흘러서 슬프다고 할까. 시간이 흐른다는 건 나이를 먹는다는 것이다. 내가 나이를 먹는 건, 아무것도 한 게 없어서 아쉽지만 슬프지는 않다. 언젠가 내가 죽는다는 것도 그리 슬프지 않다. 사람은 누구나 언젠가 죽는다 생각한다. 죽는 사람이 자신이 아닌 다른 사람일 때 슬프겠지. 이건 다른 사람도 마찬가지겠구나. 자기 삶이 얼마 남지 않아 슬퍼하는 사람이 아주 없지는 않겠지만, 남겨두고 가는 사람 때문에 조금 슬프겠다. 내가 갑자기 죽지 않고, 살다가 세상을 떠날 때쯤에는 남겨두는 사람 없을 것 같다. 나를 만난 적 없는 친구가 내 죽음을 안다면 조금은 슬퍼할까. 이상한 말로 흘렀다.

 

 이 책을 보고 박준 누나가 사고로 죽었다는 걸 알았다. 누나가 있다는 건 시집에서 봤는데, 그 시집이 나왔을 때는 어땠을까. 그걸 몰라도 그 시집에서 슬픔을 느낀 건 그것 때문일까. 박준은 누나랑 사이가 좋았나 보다. 누구나 자기 형제와 친하게 지내지는 않는다. 세상 사람 아니 부모는 형제 사이가 안 좋으면 이런 말을 한다. 하나밖에 없는 형제니 잘 지내라고. 하나밖에 없다고 해서 꼭 친하게 지내야 할까. 남은 만나고 싶지 않으면 만나지 않아도 된다 하는데 왜 형제는 그러면 안 되는 거지. 좋은 사이로 돌아가기에는 아주 멀리 갔을 수도 있지 않은가. 남이 보기에는 별거 아닌 일도 자신은 아주 크게 느낄 수 있다. 어떤 일이 쌓여 사이가 멀어졌다면 그냥 그대로 두면 좋겠다.

 

 난 딱히 먹고 싶은 게 떠오르지 않고 좋아하는 것도 바로 말하기 어렵다. 먹어본 게 별로 없어서 그런가 하는 생각을 잠깐 했는데, 지금부터라도 맛있는 것을 찾아먹어야겠다는 생각은 없다. 지금도 난 과자를 더 좋아한다. 박준 이야기를 보면서 나랑 비슷한 것도 있지만 다른 게 많구나 했다. 이건 박준만 그런 건 아니겠구나. 박준은 많은 곳은 아닐지라도 어딘가에 가고 그 지역 음식 먹는 걸 좋아한다. 난 어딘가에 다니는 거 싫어한다. 차 타는 것도 힘들고, 밖에서 밥 사 먹는 건 지금도 못한다. 이상하게도 밖에 나가면 별로 먹고 싶지 않다. 잠깐 다닌 게 힘들어서 그런가. 어렸을 때는 좀 달랐던 것 같은데. 집에 아주 오래 있어서 그렇게 된 걸지도. 또 쓸데없는 말을. 좋은 것을 말해야 하는데 별로 좋지 않은 걸 말했다. 어딘가에 가고 많은 사람을 만나는 것만이 좋을까. 그건 아니다 생각한다. 그걸 좋아하는 사람은 그러면 되고 그걸 좋아하지 않는 사람은 안 해도 된다. 넓은 세상을 보고 넓게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더 혼란스럽게 여기는 사람도 있을 거다. 내가 그렇구나.

 

 하루하루는 천천히 가도 한주 한달 한해는 참 빨리도 간다. 어쩐지 올해(2018)는 시간이 더 빨리 가는 것 같다. 지난해뿐 아니라 올해도 울고 싶은 날이 많다. 해마다 그랬던가. 책 제목처럼 울어봤자 달라지는 일은 아무것도 없는데. 앞에서도 비슷한 말 했는데 또 하다니. 살다보면 좋은 일도 일어나고 안 좋은 일도 일어난다. 그건 나만 그런 건 아니다. 많은 사람이 힘든 일 괴로운 일을 겪고 다들 남몰래 울기도 하겠지. 그렇게 생각하는 게 낫겠다. 어느 누구의 아픔도 슬픔도 작지 않다. 이것도 잊지 않아야겠다.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남극 2041
로버트 스원.길 리빌 지음, 안진환 옮김, W재단 / 한국경제신문 / 201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몇해 전에 북극 얼음이 녹아서 북극곰이 살 곳이 많이 없어졌다는 말을 들었다. 그 말을 들은 게 언젠지 모르겠는데 시간이 많이 흘렀다. 지금은 어떨까. 북극 얼음이 자꾸 녹으면 북극곰은 사라질지도 모르겠다.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아야 할 텐데. 북극 땅을 세계 곳곳에서 개발하기도 했나 보다. 그런 곳까지 하다니. 그런 것도 몰랐다. 여러 나라가 땅을 나눈 것 같기도 하다. 그럴 수가. 그곳에 사람 살지 않던가. 이제는 사람도 살기 어려운 곳이 됐을 것 같다. 먹을 게 없어서. 그곳 사람은 거의 동물을 잡아서 먹지 않을까. 북극곰도 먹을 게 없고 사람도 먹을 게 없을 것 같다. 아니 사람은 돈으로 먹을거리를 사 먹겠다. 북극에도 자본주의가 들어갔을까. 이런 걸 생각하다니. 아주 추운 북극에 사는 사람은 그곳이 아닌 다른 곳에 가고 싶을지도 모를 일이다. 그곳을 지키고 사는 사람도 있다면 좋을 텐데. 아니 그곳에 사는 사람만 지켜야 하는 건 아니다. 세계 사람이 해야 한다. 남극을 지키는 것도.

 

 북극이나 남극에 갈 일은 없지만 그곳이 사라지면 지구 전체에 영향을 미칠 거다. 남극 오존층에 구멍이 난 걸 안 건 1980년대다. 지금 생각하면 예전이지만 1980년대에 안 건 아쉬운 일이다. 더 빨리 알았다면 오존층 구멍을 막으려고 더 일찍 애썼을 테니 말이다. 세계가 힘을 합쳐 남극 오존층 구멍을 작게 했다. 그걸 한 것처럼 다른 것도 할 수 있을 거다. 중국은 걱정이다. 한국에 미세먼지가 많아진 건 중국 탓은 아닐까 싶기도 하다. 미세먼지뿐 아니라 바다에도 영향을 주는 듯하다. 지금 생각하니 중국에 공장을 짓는 게 다 중국사람이라 할 수 없겠다. 중국에 지은 한국 공장도 많을 거다. 사람은 어떤 게 돈이 된다 싶으면 우르르 몰려간다. 그런 게 먼저 없어져야 할 텐데 쉬운 일은 아닐까. 고래가 아주 많을 때 고래를 잡고 그밖에 물고기도 잡았다. 물고기를 얼릴 수 있게 되고 물고기를 더 많이 잡았다. 냉장고에 쓰이는 프레온가스는 오존층에 아주 안 좋은 거였다. 처음에는 몰랐겠지. 사람이 편하게 살려고 만드는 건 지구에는 좋지 않은 것 같다.

 

 지구온난화가 빨라진 건 석탄을 때고 석유를 찾고 플라스틱을 만든 뒤가 아닐까. 산업혁명이 일어났을 때부터. 지구 환경을 생각하는 사람이 나타나서 다행이지, 그런 사람이 없었다면 지금 지구는 어떻게 됐을까 싶다. 아무리 지구에 있는 석탄이나 석유라 해도 그건 시간이 흐르면 사라진다. 그것도 몰랐겠지. 바다에 사는 물고기도 사람이 많이 잡아서 줄어들고 사라졌다. 지구에 가장 위험한 적은 사람(인류)이구나. 예전에는 모르고 지구에 좋지 않은 걸 썼겠지만, 이제는 바뀌어야 한다. 지구온난화로 사라지는 땅도 있고 기후 난민이 생기기도 했다. 그건 남의 나라 이야기가 아닐지도 모른다. 한국도 북극 남극 얼음이 녹으면 물에 잠기는 곳 있겠지. 우리가 사는 곳에서 환경을 생각하고 움직이면 북극이나 남극에도 영향이 간다. 환경을 생각하지 않은 게 먼저 영향을 미쳤구나.

 

 이 책을 쓴 로버트 스원은 어릴 때 로버트 스콧이 남극을 탐험한 영화를 보고 자신도 탐험가가 되기로 마음먹는다. 남극점에 가려는 모습을 보고는 다른 걸 배워야 할지도 모르겠다. 도전일까, 조금 미친 짓을 하려는구나 하는 거. 그래도 로버트 스원이 남극점에 가려고 했을 때는 아문센이나 섀클턴 그리고 로버트 스콧이 남극점에 갔다 오려고 한 때보다 나았다. 오래전에는 거기 갔다가 돌아와야 했지만, 로버트 스원은 돌아오지 않고 남극점에 가기만 했다. 로버트 스콧이 남극점으로 간 길을 따라 걸었다. 가는 것만이라 해도 남극에서 무거운 썰매를 끌고 걷는 건 쉽지 않았다. 로버트 스원은 남극점에 갈 때는 환경을 생각하지 않았다. 시간이 흐른 뒤에 남극을 지켜야겠다 생각했다. 2041년에는 남극 보호 규정이 바뀐다고 한다. 지금까지는 남극을 개발할 수 없었는데, 죽 그대로 두면 좋겠다. 남극에서는 전쟁이 일어난 적이 없다. 평화로운 땅이지만 그곳 날씨는 평화롭지 않다. 그건 남극이 가진 멋이다.

 

 로버트 스원이 남극점에 간 뒤에 민간인이 남극에 갈 수 있게 됐다고 한다. 로버트 스원은 남극점뿐 아니라 북극점에도 갔다. 난 그런 사람이 있다는 것도 몰랐지만 많은 사람이 알았을까. 남극에 사람이 많이 가도 괜찮을까 했는데, 남극을 보고 거기를 그대로 두어야 하다 생각하는 사람이 늘어난다면 거기에 가는 사람이 많아도 괜찮겠지. 쓰레기는 가지고 돌아오길. 앞으로는 환경에 좋은 에너지를 쓰고 어떤 거든 한번만 쓰지 않고 다시 쓰고 살려 써야 한다. 남극을 지키려면 세계가 힘을 모아야 한다. 남극을 그대로 두면 다른 곳도 괜찮지 않을까 싶다.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침에 일어나면 바로 컴퓨터를 켜고 글을 쓰는 사람도 있다고 하더군요. 저는 잠에서 깨면 기분이 무척 안 좋습니다. 예전에 날마다 아무거나 떠오르는대로 써 보라는 글을 보고 저도 해 보려고 했지만 못했습니다. 일어나면 기분이 아주 안 좋아서. 언젠가 만화에서 그런 사람 보고 세상에는 저런 사람도 있구나 했는데, 지금 생각하니 저도 비슷하군요. 저는 무서운 모습을 누군가한테 보이지 않지만. 만화여서 그런 식으로 나타낸 거군요. 저는 일어나고 시간이 조금 지나야 괜찮습니다.

 

 어쩌면 이런저런 생각을 할 수 있을 때보다 잠에서 덜 깼을 때 쓰는 글이 더 솔직할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그때는 정말 아무것도 생각나지 않는걸요. 아니 생각나지 않는다기보다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습니다. 운동을 시작하기 전에 준비운동 하잖아요. 저는 글을 쓸 때도 준비운동 같은 거 해야 하는가 봐요. 하지만 그렇게 해도 쓸 게 떠오르지 않습니다. 어떤 말이 떠오르거나 쓸 게 떠오른 적도 있지만 이젠 정말……. 저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걷기 좋아합니다. 옛날 사람은 걷고 글을 썼다고도 하지요. 그런 걷기는 얼마나 해야 할지. 이런 말 예전에도 했군요. 가끔 저도 뭔가 생각나지 않을까 하고 걸은 적 있습니다. 그때 떠오른 건 아무것도 없어요. 아니 하나 있는데 그건 아껴뒀습니다. 아껴뒀다기보다 어떻게 쓰면 좋을지 모르는 건지도. 언젠가 쓸 겁니다. 천천히. 제 마음속에 좀 더 두었다가. 그걸 늘 생각하지는 않지만. 무언가 쓸 게 하나 정도는 있었으면 해서. 그걸 쓰면 다른 게 떠오를지 알 수 없어요. 써야 다른 것도 생각날 텐데.

 

 앞에서 걷기 말하다가 떠오른 게 하나 있어요. 걸어도 그냥 걷지 않고 이것저것 살펴보는 겁니다. 그러지 않고 걷기만 해도 마음에는 좋겠지만. 둘레를 봐도 쓸거리 찾기는 힘들겠군요. 제가 그랬습니다. 그래도 이런 쓸데없는 걸 썼네요. 늘 번뜩이는 게 있으면 좋겠지만 그런 일은 가끔입니다. 가끔이라도 있으면 좋을 텐데요. 그러면 좀 더 괜찮은 글을 쓰지 않을지.

 

 지금까지 글을 쓰면서 난 왜 글을 쓰려는 걸까 했는데, 여전히 답은 잘 모르겠어요. 누군가한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건지, 누군가 저를 알아주기를 바라는 건지. 지금은 둘 다 일지도. 이런 거 말고 다른 건 어떤 게 있을까요. 모든 것을 뛰어넘는 것. 그게 뭔지 알고 싶기도 합니다. 어쩌면 그런 건 없을지도 모르겠군요. 그냥 쓰고 싶어서 쓰는 것일지도.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먼길을 떠난 사람이

돌아오기를 기다리는 마음

 

먼길을 떠난 사람이

돌아갈 곳을 생각하는 마음

 

아무리 작은 불빛이라도

믿음 바람 사랑이 있다면

꺼지지 않으리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