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에는 부드러운 바람과 꽃이

여름에는 뜨거운 햇볕과 짙은 풀빛이

가을에는 새파란 하늘과 알록달록한 나뭇잎이

겨울에는 조용하지만 세상을 덮을 듯 내리는 함박눈이

함께 놀자고 부른다

 

마음을 들뜨게 하는 따스한 봄 기운과

그늘만 찾게 하는 뜨거운 여름 땡볕과

자주 걷게 하는 시원한 가을 바람과

집 안에만 있게 하는 차가운 겨울 공기와

가끔 함께 놀아도 괜찮겠다

 

봄은 봄대로

여름은 여름대로

가을은 가을대로

겨울은 겨울대로

저마다 좋다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나는 잠깐 설웁다 문학동네 시인선 90
허은실 지음 / 문학동네 / 201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살구색보다 조금 진할까요. 시집 색깔 말이에요. 이런 색 시집 안에는 어떤 시가 담겨 있을까 했습니다. 제가 할 수 있는 말은 별로 없어요. 처음부터 이런 말을 하다니. 지난해 이 시집이 나왔을 때 여러 사람이 좋다고 하길래 저도 한번 보고 싶다 생각했습니다. 허은실, 이름은 처음 들었어요. 제가 책을 읽지 않은 거고 다른 책이 벌써 나왔더군요. 산문집이. 저는 들어본 적 없는데 팟캐스트에서 작가를 한다는 건 알았습니다. 신기하게도 제가 그런 걸 어디선가 들었네요. 보통 라디오 방송이었다면 한번 들어봤을지도 모르겠지만, 팟캐스트여서 듣지 못했습니다. 시인이면서 라디오 방송 작가를 하는 사람도 있더군요. 허수경, 이병률 두 사람밖에 생각나지 않는데 아마 더 있을 겁니다.

 

 

 

에덴화원

꽃 배달 트럭 안에

축하 화환과

근조 환환이

맞절하고 있다

 

토요일 오후

꽃 싣고 달리는

꽃집 주인은

돈 벌어 좋은

꽃집 주인

 

-<농담>, 68쪽

 

 

 

 언젠가 라디오 방송에서 이 시(<농담>) 이야기 잠깐 들었습니다. 축하 화환과 근조 화환을 다른 사람이 보고 시인 허은실한테 말했더니, 언젠가 그걸 시로 쓰겠다고 했대요. 그 말 한 사람 누구였는지 잊어버렸습니다. 연기하는 사람인데, 제가 텔레비전을 안 봐서. 그 연기자 아버지는 예전에 드라마에서 봤습니다. 아버지 이름으로 찾아보면 바로 나오겠군요. 시인은 다른 사람한테서 들은 이야기로 시를 쓰기도 하겠지요. 시만 그런 건 아닙니다. 소설도 쓰겠습니다. 꽃은 기쁜 일뿐 아니라 슬픈 일에도 쓰이는군요. 다른 나라에서는 죽은 사람이 누운 관 속에 꽃을 넣기도 하지요. 한국도 장례식장에 가서 사진 앞에 꽃을 두겠습니다. 무덤에 갈 때도 꽃을 가져가는군요.

 

 

 

발이 푹푹 빠지는 허방

검은 아가리 속으로

당신은 비명도 없이

 

사라진다  (<Man-hole>에서, 101쪽)

 

 

 

 이 시집 전체 분위기를 하나로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잘 모를 때 이런 말을 하는군요. 4부는 어쩐지 슬픕니다. ‘너무 많은 사람들이 사라져가요’ 거든요. 이 제목 자체가 아프기도 슬프기도 합니다. 사라지는 사람을 알아채지도 못하고, 저마다 사는 것 같기도 해요. 지금은 이웃과 친하게 지내는 사람이 많지 않습니다. 옆집 사람이 바뀌어도 바로 모를 거예요. 앞으로는 혼자 사는 사람이 많이 늘겠습니다. 혼자 산다고 쓸쓸하지는 않겠지만. 저는 그래도 쓸쓸함을 느끼는 사람도 있겠군요. 그런 걸 어떻게 하면 좋을지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이웃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할 수도 없어요. 그걸 바라지 않는 사람도 있으니까요. 오며가며 잘 지내는지 인사하는 건 괜찮겠습니다.

 

 몇 번이나 한 말인데 이번에도 해야겠습니다. 허은실 첫번째 시집 그렇게 잘 만나지 못했습니다. 시는 다 알지 못해도 괜찮다고 하지요. 얼마전에 본 책에서는, 시는 바라보기만 해도 된다고 했습니다. 그 말도 맞는 것 같아요. 허은실이어서 같은 성인 허수경 시인이 조금 생각나기도 했습니다. 허수경 시인 시를 많이 만난 것도 아닌데 그랬습니다. 여기 담긴 시를 보니 알듯 말듯 했어요. 이 말도 처음이 아니군요. ‘설웁다’는 서럽다는 말과 같겠지요. 그런 일은 누구한테나 잠깐이면 좋겠습니다.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화성으로 날아간 작가
레이 브래드버리 지음, 김보은 옮김 / 다른 / 2017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과학소설을 별로 읽지 않아서 레이 브래드버리 이름은 몰랐다. 다른 소설이라고 잘 읽은 건 아니구나. 이런 걸 생각하면 여전히 내가 모자라구나 싶다. 레이 브래드버리는 어릴 때부터 책을 읽고 소설을 쓰고 작가가 되기로 마음먹었다. 어렸을 때 잠깐 다른 아이들이 레이 브래드버리가 좋아하는 것을 비웃어서 그것을 찢고 버렸다가, 자신이 왜 남들 눈을 마음 써야 하지 하고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다시 모았다. 그러고 보니 그런 일 어디선가 본 것 같기도 하다.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친구가 이상하다고 하자 그것을 좋아하지 않게 되는 모습. 남이 하는 말에 휘둘리지 않는 게 좋다. 어릴 때는 그게 쉽지 않다. 자신만 이상한 사람이 되고 싶지 않을 테니 말이다. 모든 어린이가 남들과 같기를 바라는 건 아닐 거다. 그 안에는 자신만의 세계를 지키고 나이를 먹고도 그걸 버리지 않는 사람이 있을 거다. 레이 브래드버리는 자신의 세계를 지킨 사람이다. 그런 사람 이름이 나중에 세상에 널리 퍼지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내가 작가 이름을 한번도 안 본 건 아닐 거다. 소설 《화씨 451》 이야기는 들어봤다. 몇해 전엔가는 그 책 한번 읽어볼까 하는 생각을 했는데 시간이 흐르고 잊어버렸다. 언젠가 만날 수 있을까. 다른 책을 먼저 만나다 보면 또 잊어버릴지도 모르겠다. 이런 말을 먼저 하다니. 레이 브래드버리는 낱말을 쓰고 그걸로 떠오르는 소설을 썼다. 레이 브래드버리는 그게 쉬운 듯 말했는데 누구나 그렇게 할 수 있는 건 아니다. 낱말을 늘어놓는다고 쓸 글이 떠오를까. 그래도 이 말을 한 건, 나도 가끔 낱말을 적기도 해서다. 그걸 적는다고 바로 뭔가 쓰지는 못한다. 내가 적는 낱말은 많지 않다. 어떤 말이 떠오르는 날에는 그걸 쓰고, 떠오르는 게 없으면 예전부터 생각한 것을 쓰려 하지만 그것도 힘들다. 쓸 때도 있지만 못 쓰고 다른 걸 쓰기도 한다. 그럴 때가 더 많다. 레이 브래드버리도 어떤 건 바로 쓰고 어떤 건 시간이 흐른 뒤에 썼다. 레이 브래드버리는 쓰려는 게 많고 난 별로 없다.

 

 글쓰기를 말하는 책을 본다고 바로 글을 쓴다거나 글을 잘 쓰지는 못한다. 레이 브래드버리를 ‘단편의 제왕’이라 하는가 본데, 레이 브래드버리는 어렸을 때부터 글을 썼다. 이런저런 놀라운 생각을 글로 썼겠지만 성실하기도 하다. 그래서 글을 많이 썼겠지. 레이 브래드버리는 단편소설뿐 아니라 시나리오 그리고 희곡도 썼다. 레이 브래드버리는 어렸을 때 영화도 많이 봤다. 자신의 소설은 영화와 비슷하다는 말도 한다. <모비딕> 시나리오를 쓸 때는 아일랜드에 갔다. 아일랜드에 갈 생각이 없었는데 그런 일이 일어나고 그곳 생활이나 사람이 잠재의식에 남아 있었다. 레이 브래드버리는 무의식이 많은 것을 흡수했다고 말했다. 다른 사람도 그럴 테지만, 그걸 깨우고 꺼내는 사람이 있기도 하고 그대로 잠재우는 사람이 있는 거겠지. 작가는 깨우고 파내겠다.

 

 이 책을 읽고 배운 건 책 많이 읽고 꾸준히 쓰기다. 글쓰기 책에서 꼭 하는 말이 그 말이기는 하다. 레이 브래드버리는 바로 저렇게 말하지 않았지만, 그런 뜻으로 한 말 같았다. 뮤즈를 붙잡아두는 방법을 말하는 곳에서. 뮤즈란 영감이라고 할 수 있겠지. 이건 어딘가에서 갑자기 나타나는 게 아니고, 자기 안에 있는 것이 나오는 것일 거다. 실제 경험을 할 수도 있고 책을 보고 경험을 쌓을 수도 있다. 레이 브래드버리는 어린 시절을 떠올리고 글을 썼다. 그 말을 보고 어린 시절을 멋지게 보냈구나 했다. 그런 게 없다 해도 괜찮다. 모든 작가가 다 자기 이야기를 쓰는 건 아닐 테니 말이다. 어쩌면 다른 모습으로 자기 이야기를 쓰는 걸지도 모르겠다. 레이 브래드버리도 자신의 어린 시절을 그대로 쓴 건 아닐 거다. 자신을 사로잡고 놓지 않는 걸 쓰기도 했다. 거기에는 자신이 좋아하는 것뿐 아니라 미워하는 것도 있었다.

 

 레이 브래드버리는 2012년에 아흔한살로 세상을 떠났다. 레이 브래드버리는 정말 화성으로 갔을까. 난 달로 가고 싶다. 달은 지구에서 보는 것보다 멋지지 않을지라도. 언젠가 인류는 화성에 갈 수 있을지, 그곳에 가면 레이 브래드버리를 만날 수 있을지도.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웃게 하는 말

울게 하는 말

기쁘게 하는 말

슬프게 하는 말
힘 나게 하는 말

힘 빠지게 하는 말

감동하게 하는 말

화 나게 하는 말

 

말에는 사람 마음을

들었다 놓았다 하는 힘이 있다

 

말말말

 

달리는 말에서 떨어지지 않으려면

고삐를 잘 잡아야 한다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난 늘 자신이 없다. 자신이 없다는 건 나를 믿지 못하는 거겠지. 자신을 좋아하는 것과 자신을 믿는 건 같은 걸까. 아니 똑같은 건 아닌 듯하다. 자신을 좋아하는 건 자신이 어떻든 받아들이는 거고 자신을 믿는 건 자신이 하려는 걸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거 아닐까. 하고 싶은 것과 할 수 있는 건 좀 다른 것 같지만. 뭐든 하고 싶어서 하면 어떨까 싶다. 꼭 잘 해야 하는 건 아니겠지.

 

 무엇이든 전문으로 하는 사람과 좋아서 하는 사람이 있다. 운동 음악 그림 글……. 전문으로 하는 사람은 얼마 되지 않을 거다. 전문으로 해도 평가에 마음 써야겠지. 아니 모두가 그런 건 아니겠다. 평가나 등수에 마음 쓰지 않고 즐기는 사람도 있겠다. 운동 같은 건 1등만 생각할 때가 많기는 하지만, 다른 건 등수를 정하기 어렵지 않을까 싶다. 음악 그림 글은 그것을 듣고 보고 읽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생각하니 말이다.

 

 어쩐지 앞뒤가 맞지 않는 말 같기도 하고 지금까지 한 말을 또 한 것 같기도 하다. 무언가를 전문으로 하지 않더라도 그걸 하다보면 잘 하고 싶은 마음이 생기겠지. 어떤 것이든 그럴까. 그건 나도 잘 모르겠다. 잘 하지 못해도 즐긴다면 괜찮겠지만, 실력이 늘지 않으면 아쉬울 것 같다. 모든 게 그런 건 아니겠구나. 운동은 잘 될 때도 있고 잘 되지 않을 때도 있다. 잘 될 때와 잘 되지 않을 때가 있는 건 다른 것도 마찬가지일까. 이것도 잘 모르겠다. 난 대체 무슨 말이 하고 싶은 거지.

 

 제목으로 돌아가 어떻게 하면 글 쓰는 자신이 붙을까. 나는 아직도 나를 잘 모른다. 어떻게 하면 나아질지. 그것을 잘 알고 공부하는 사람도 있을 텐데. 난 그냥 하는 것밖에는 모르겠다. 무엇을 이루어야겠다는 건 없다. 그저 글을 쓰기만 해도 좋다(이 말 여러 번 했구나). 글 쓰는 두려움이랄까 못 쓰겠다는 마음이 들지 않았으면 좋겠다. 그런 마음은 언제까지고 사라지는 게 아닐까.

 

 꼭 글을 써야 하는 사람도 아닌 내가 이러는 건 조금 이상할까. 그럴지도 모르겠다. 어쩌면 내가 여기 있다는 걸 말할 수 있는 게 글밖에 없어설지도. 글 쓰는 자신이 붙을 때까지, 무언가를 깨달을 때까지 글 쓰고 싶은데 어떻게 될지 나도 잘 모르겠다. ‘꼭 하겠다’ 가 아니다니. 이것도 자신 없는 모습이구나. 자신 없는 나도 나다.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