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힌 문을 두드려 보았다

그곳에는 아무도 없는지

문은 열리지 않았다

 

있는데 없는 척 하는 건지

아무도 들이고 싶지 않은 건지

 

시간이 흐르고 문이 살짝 열렸다

바깥을 두리번 거리는 두 눈에는

어둠이 내린 거리만이 비쳤다

 

다시

닫힌 문

두드려 볼까

그냥 지나갈까

 

억지로 열 수 없는 마음 문

열리기를……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고양이 그림일기
이새벽 지음 / 책공장더불어 / 201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장군이는 집고양이고 흰둥이는 길고양이였다가 이제 반은 집고양이가 되었다. 길고양이를 기르는 사람도 있던데, 그건 새끼일 때부터 키워서 사람을 잘 따르는 걸까. 조금 자란 다음에는 사람이 잘해주면 고양이가 잘 따르는 걸까. 사람도 하나하나 다르듯 고양이도 하나하나 다르겠다. 그래도 사람이 마음을 주면 고양이도 알겠지. 고양이만 그런 건 아니구나. 동·식물은 다 그렇겠다. 말이 통하고 통하지 않고는 상관없다. 처음에 장군이는 집에서 지내고 흰둥이는 바깥에서 지내서 왜 그런가 했다. 장군이는 처음부터 사람과 살고 흰둥이는 길에서 힘들게 살다 사람 집 마당에 눌러앉게 되었다. 그럴 수도 있구나. 사람이 만나게 되는 이야기도 여러 가지가 있듯 사람과 고양이가 만나게 되는 이야기도 여러 가지겠다.

 

 흰둥이라는 이름이지만 검은 점이 있다. 그림이 재미있다. 고양이를 사람처럼 그리기도 했다. 그게 어색하지 않다. 고양이와 살면 그렇게 보일지도 모르겠다. 흰둥이는 바깥에서 다른 고양이와 싸우고 와서 아프면 사람한테 위로해 달라고 한다. 그 모습이 또 귀엽다. 다른 고양이가 흰둥이한테 싸움을 건다. 흰둥이는 마당뿐 아니라 다른 곳에도 영역이 있을까. 비가 오거나 추우면 집 안에 들어가게 해 달라고 한다. 죽 집 안에 있어도 괜찮을 텐데 그러지 않다니. 돌아올 집이 있고 먹이를 힘들게 구하지 않는다 해도 자유롭게 살고 싶은 걸까. 흰둥이를 따라 장군이도 어딘가에 나갔다 오기도 했다. 처음부터 장군이가 흰둥이와 친하게 지내지는 않았다. 흰둥이는 다른 고양이하고는 싸우려 하지만 장군이하고는 친하게 지내려 했다. 장군이는 그런 흰둥이를 구박했다. 그림도 재미있지만 실제로 그런 모습 보면 재미있겠다. 그런 걸 재미있게 여기면 안 될까.

 

 집에서만 사는 고양이는 고양이가 어떤지 잘 모르겠다. 그래서 요새는 사람을 잘 따르는 고양이(개냥이)도 있는 걸까. 장군이는 흰둥이가 쥐를 잡아오거나 오줌으로 영역 표시하는 걸 따라 하는데 조금 엉뚱했다. 장군이는 쥐가 아닌 쓰레기를 주워오고 영역 표시라기보다 그냥 오줌을 눴다. 사람이 그런 걸 다 보다니. 못 볼 수도 있을 것 같은데. 장군이는 흰둥이가 다른 고양이와 싸우는 모습을 보기도 했는데, 어쩌다 그 자리를 떠나지 못하고 있었던 건 아닐까 싶다. 재미있는 게 하나 생각났다. 어두워서 흰둥이가 장군이를 못 알아보고 공격하자 장군이가 화를 낸 일이다. 흰둥이는 장군이를 못 알아봐서 미안해 하는 모습이었다. 이런 걸 보면 흰둥이가 착한 것 같다. 자신이 그 집에 나중에 들어가서 그런 걸까, 아니면 장군이랑 친구가 되고 싶어서였을까. 장군이하고는 영역 싸움을 하지 않아도 괜찮아서 그랬나 보다. 장군이가 흰둥이를 구박한 적도 있지만 시간이 흐른 뒤에는 친구가 되었다. 장군이도 흰둥이가 있어서 좋았을 것 같다.

 

 고양이 둘과 사람이 오래 살았다면 좋았을 텐데 장군이가 차에 치였다. 깔린 걸까. 담장 위에서 길로 내려가지 않았다면 괜찮았을 텐데. 두마리 있던 고양이가 한마리가 되니 쓸쓸했다. 보는 사람도 그런데 여기 나오는 사람은 더했겠다. 흰둥이도 이상했겠지. 늘 보이던 장군이가 갑자기 사라져서. 다는 몰라도 조금은 알아챘을 것 같다. 흰둥이도 조금 우울해 보였다. 함께 살던 고양이가 나이를 먹고 죽어도 슬플 텐데 사고로 갑자기 죽으면 더 슬프겠다. 흰둥이는 좀 오래 살기를 바란다.

 

 개나 고양이 그밖에 동물과 사는 모습을 보면 좋기는 해도 난 그렇게 못하겠다. 좋아하기만 하면 안 되니 말이다. 밥 잘 챙겨주고 함께 놀기도 해야 할 거 아닌가. 아프면 병원에도 데려가야 한다. 아프지 않고 잘 지내는 것도 있을지도. 햄스터는 작아서 그렇게 힘들지 않다. 예전에 햄스터를 보고 가끔 이런 생각을 했다. 사람이 좁은 곳에 갇혀 살면 얼마나 답답할까 하는. 햄스터는 바깥에서 살기 어렵겠지만, 작은 통 안에만 있는 게 불쌍하게 보였다. 다람쥐나 쥐 같은 건 어떻게든 산다. 고양이나 개는 좀더 크다. 동물과 함께 살려면 책임감뿐 아니라 용기도 있어야 할 듯하다. 자신보다 먼저 죽었을 때를 맞이할 용기. 어쩌면 나중에 느낄 슬픔보다 함께 해서 얻는 기쁨이 더 클지도 모르겠다. 어떤 사랑이든 그렇겠다.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로의 야생화 일기 - 월든을 만든 모든 순간의 기록들
헨리 데이비드 소로우 지음, 제프 위스너 엮음, 배리 모저 그림, 김잔디 옮김, 이유미 감 / 위즈덤하우스 / 201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헨리 데이비드 소로는 월든 호수에서 지내면서 쓴 《월든》으로 이름이 잘 알려졌어. 내가 아는 게 그것뿐이군. 그거 말고 다른 책도 쓴 듯한데 못 봤어. 세금 때문에 감옥에 갇힌 적도 있다고 들었어. 《월든》은 예전에 봤지만 하나도 생각나지 않아. 책을 좀더 잘 보려고 했을 때 봤다면 더 좋았을지도 모르겠지만, 다르지 않았을 것 같기도 해. 아직도 책을 잘 못 봐서. 언제쯤이면 책을 잘 볼 수 있을지 모르겠어. 늘 겉만 핥다 끝날지도. 그렇게라도 여러 가지 책을 보고 얕고 넓게 아는 것도 괜찮을 텐데, 그것도 쉽지 않은 일이야. 얕고 넓게 알려면 이것저것에 관심을 가지고 부지런히 책을 만나야겠지. 알아도 할 수 없는 게 있군. 욕심을 가지면 마음만 앞서는 것 같아. 난 천천히 보고 싶어. 그냥 게으르게 지내겠다는 말이군.

 

 지금은 책을 보면 많은 걸 알 수 있어. 식물 동물 같은 것을 알아보고 쓴 책도 많아. 소로가 살던 시절에는 식물을 연구한 책이 그리 많지 않았어. 아주 없지 않았지만. 소로는 월든 호수에서 두 해를 지내고 1850년부터 자신이 사는 콩코드에 어떤 식물이 있는지 관심을 가졌어. 소로는 일기를 쓰고 거기에 콩코드에서 본 식물도 썼어. 이 책은 소로가 쓴 일기에서 콩코드에서 만난 풀과 꽃과 나무가 나오는 부분만 따로 엮었어. 이렇게 하는 거 쉽지 않을 텐데. 일기는 거의 열해쯤치를 봐야 하거든. 소로는 일기도 썼군. 여기에는 식물 이야기밖에 없지만 소로는 자신이 만나는 사람 이야기도 썼대. 사람 이야기가 아주 없는 건 아니군. 소로는 어떤 사람이 보여준 꽃을 어디에서 봤는지 물어봤어. 그건 소로가 만나지 못한 거였어. 자주 다니는 길이라 해도 못 보고 지나가는 것도 있겠지. 옛날에는 더 했을 것 같아. 수풀이 우거져서.

 

 여기에 나온 꽃 풀 나무에서 아는 건 별로 없어. 한국에 있는 것도 있고 없는 것도 있어서겠지. 애기똥풀은 어디에나 있는 걸까. 영어로는 다르게 말하겠지만. 만약 소로가 19세기가 아닌 지금 사람이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을 잠깐 했어. 꽃모양이나 나무를 글로 나타내기보다 스마트폰 카메라로 찍었을 것 같아. 소로는 그런 거 좋아했을지. 소로는 꽃이 피는 때도 늘 적어뒀어. 시간이 흐르고 그 꽃이 피는 게 한주쯤 빨라졌대. 지구온난화는 그때도 일어났군. 소로가 살았을 때 본 꽃이나 풀에서 지금은 없는 것도 있을 것 같아. 어떤 것은 알려지기도 전에 사라지고, 어떤 것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을지도 모르겠어. 모르는 것을 알아내는 게 중요할지 지금 아는 걸 지키는 게 중요할지. 둘 다 중요할 것 같은데, 하나만 정하기 어렵겠어.

 

 바깥에 나가면 나도 꽃이나 나무를 봐. 하지만 내가 사는 곳에 어떤 꽃이 피고 나무가 있는지 잘 몰라. 이름 모르는 풀도 있어. 이 책을 보니 나도 풀이나 꽃 나무를 더 잘 보고 싶기도 해. 가끔 오랫동안 다니고도 그게 있는지 몰랐던 것을 보면 반가워. 소로도 꽃을 보면 반갑게 여겼어. 봄에는 꽃냄새가 좋다는 말을 많이 했어. 식물에도 냄새가 안 좋은 게 있어. 그건 식물이 자신을 지키려고 그러는 거지. 소로는 지금 시대 별로 좋아하지 않을 것 같아. 월든 호수에서 살기도 하고 식물에 관심을 많이 가져서 말이야. 지금은 차가 많이 다니고 길이 무척 복잡해서 식물 보기 어렵지. 소로가 19세기 사람이었기에 이런 글도 썼을 거야. 지금 사람이었다면 자연보호 운동을 했으려나. 내가 별 생각을 다 했군.

 

 봄여름가을뿐 아니라 겨울에 만난 식물 이야기도 있어. 겨울에 쓴 건 그리 많지 않지만. 겨울에 봄을 느끼고 봄에는 벌써 가을을 느끼기도 했어. 봄여름가을겨울이라 해도 꼭 그때만 있는 건 아니기는 해. 자연을 바라보면 많은 것을 느낄 수 있겠지. 작은 것 하나라도 잘 보면 놀라울 거야. 앞으로는 조금 천천히 걸어야겠어. 이것저것 둘러보려고.

 

 

 

희선

 

 

 

 

☆―

 

 생명이 살아가는 터전일 때만 자연은 아름답다. 아름답게 살리라 다짐하지 않는 이에게 자연은 아름답지 않다.  (26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언제나 글을 써야 하는 건 아니지만 쓰다보니 자꾸 쓰게 됐다. 글을 자꾸 써도 쓸거리는 잘 떠오르지 않는다. 그런데도 글을 써도 괜찮을까. 가끔 쓸데없는 걸 쓴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내 기분이 안 좋다는 건 할 수 있는 한 쓰지 않으려 하는데, 그걸 어기고 쓰기도 한다. 이건 책 읽고 쓸 때도 생각한 거구나.

 

 무엇을 쓸지 떠오르지 않는다는 말은 여러 번 썼구나. 이 말도 쓰지 않아야 할 텐데. 그거라도 쓰고 싶은 유혹에 넘어갈 때가 있다. 이번에도 그랬다. ‘나도 이것저것 떠오르면 좋겠다’ 는 말이 떠올라서 그걸 써야겠다 한 거기도 하다. 이건 쓸 게 떠오른 게 아닐까. 어떤 사람이 쓸 거 생각한 게 많다고 말하면 부럽다. 어떻게 하면 쓸 게 많을까. 책 영화 음악 그림을 보고도 쓸거리를 떠올리는 사람 있겠지. 그것도 부럽다. 부럽다 생각하기보다 뭐든 쓰는 게 나을지도. 그래서 이렇게 쓴다.

 

 요새는 쓸 게 더 생각나지 않는 것 같다. 예전에는 가끔 떠오르기도 했는데, 떠오르면 바로 썼느냐 하면 그러지 않았다. 생각하고 시간이 많이 지난 다음에 쓰기도 했다. 시간이 흐른 다음에라도 쓰면 좋을 텐데, 잊어버리기도 한다. 어쩌면 잊어버린 건 얼마 안 될지도. 쓸 게 없다면서도 글을 쓰려는 건 왤까. 나도 내 마음을 잘 모르겠다. 이거라도 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걸지도.

 

 어떤 것을 잘하는 사람한테는 이런 말을 하기도 한다. ‘~신한테 사랑받는다’ 고. 타고난 재능을 가진 사람은 정말 있다. 다행하게도 세상에는 그런 사람만 있지 않다. 어쩌면 세상에는 평범한 사람이 더 많을지도. 평범하지만 자신이 하고 싶은 걸 열심히 해서 잘하는 거겠지. 열심히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다르게 보고 여러 가지로 생각해야 한다. 즐겁게 하기도 있다.

 

이런 말 처음은 아니지만, 자신이 좋아하는 것이라 해도 아주 잘하지 않아도 괜찮다. 잘하기보다 즐기기가 먼저다. 처음 안 것도 아닌데, 나도 잘하고 싶다는 마음이 앞섰을지도. 앞으로는 글쓰기 더 즐겁게 해야겠다. 쓸 게 없는 것도 좋게 여기고 쓸거리를 찾아야겠다.

 

 

 

희선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8-05-08 12:5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5-09 04:12   URL
비밀 댓글입니다.
 

 

 

 

잔바람에도 흔들흔들

거센 바람에도 흔들흔들

 

바람을 잘 흘려 보내려면

잘 흔들려야 한다

 

바람에 맞서는 용기도 멋지고,

바람에 맞춰 몸을 눕히는 것도 멋지다

 

이런저런 바람에

흔들리고

몸을 눕혀도

꺾이지 않기를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