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하겠습니다 - 일본군 위안부가 된 남한과 북한의 여성들
이토 다카시 지음, 안해룡.이은 옮김 / 알마 / 201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과 북한이 일본 지배에서 벗어나고 많은 시간이 흘렀습니다(언젠가도 비슷한 말을 했지만 이 말을 하지 않을 수 없네요). 예전에는 조선이었는데 한국전쟁이 일어난 뒤 남한과 북한으로 나뉘었군요. 광복이 되고 바로 일본이 저지른 일을 알고 친일 정리도 제대로 했다면 좋았을 텐데 그러지 못했지요. 그것을 제대로 하지 않아서 한국전쟁이 일어나고 독재나 군사정부가 나타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바로 못했다면 조금씩이라도 해야 했는데, 이제는 시간이 많이 흘렀다는 말을 할지도 모르겠네요. 시간은 사람 일과 상관없이 잘 흘러가고 이런저런 일을 잊게 합니다. 시간이 흘러도 예전에 일어난 일을 잊지 않게 하려고 역사책을 쓰는 사람이 있는 거겠지요. 시간에 조금이라도 이길 수 있는 게 있다면 기록일지도 모르겠습니다. 그것이 오래 남아야 그렇겠지만.

 

 광복이 되고도 오랜 시간이 지난 1991년에 김학순 님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였다는 걸 밝혔습니다. 예전에는 이것만 알았는데, 이 책을 쓴 이토 다카시가 김학순 님을 만나서 다른 것도 알게 됐습니다. 김학순 님은 딸 아들이 있었는데 다 죽었습니다. 어쩌다 그런 일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는 결혼하지 않고 자식도 없이 혼자 힘들게 사는 사람이 더 많았겠습니다. 이토 다카시는 일본 사람이어서 한국 사람은 만날 수 없는 북한에 사는 분도 만났습니다. 이걸 보고 저도 이제야 생각했습니다. 북한에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가 있다는 걸 말이에요(북한과 가까운 중국에도 있겠네요). 그때는 조선이었으니 어디에서나 여자(아이)를 끌고 갔겠지요. 일본 사람이 만나자고 했을 때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은 만나고 싶지 않았을지도 모르겠지만, 그것을 참고 만나고 말했습니다. 일본사람은 싫지만 자신이 겪은 일을 지금 사람한테 알리려고 그랬겠지요.

 

 가난한 집에서 태어나거나 부모가 없어서 힘들게 살던 사람은 돈을 벌 수 있다는 말에 속고 일본군 위안부가 됐습니다. 어떤 분은 한국(북한) 지도를 무궁화로 수놓고 일본은 나팔꽃으로 수놓았다고 끌려가서 고문받고 정신을 차려보니 후쿠오카였다고 합니다. 아무것도 아닌 걸로 사람을 끌고 가고 고문하다니. 일제강점기에는 그런 일이 많았겠지요. 일본군 위안부로 끌고 간 여자아이들이 조선사람이라는 걸 숨기려고 조선말을 쓰지 못하게 하고 일본 이름을 지어준 거겠지요. 말을 듣지 않는 사람은 죽이고 가슴을 도려내고 성기에 총을 쏘기도 했답니다. 그런 모습을 여자들한테 보게 하고 죽고 싶지 않으면 말을 잘 들으라 했어요. 일본사람이기에 그렇게 잔인한 짓을 한 걸까요. 전쟁이 그렇게 만든 것도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한국사람이 베트남 전쟁 때 잔인한 짓을 했다고도 하잖아요.

 

 이 책 빨리 보고 싶었는데 그러지 못했습니다. 빨리 보면 안 될 것 같아서였는지 보기 힘들어서 그랬는지. 둘 다가 아닐까 싶어요. 그렇다고 잘 말하지도 못하다니. 지금까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야기를 그렇게 많이 본 건 아닙니다. 김숨은 많은 자료를 보고 《한 명》을 썼던데, 그거 보는 것만으로도 힘들었겠다는 생각이 지금 듭니다. 소설 쓰기는 더 쉽지 않았겠지요. 몇달 전에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만나고 그 이야기를 담은 김금숙 만화 <풀>을 만났습니다. 어쩌면 그것을 봐서 이 책도 본 건지도 모르겠네요. 이 책은 한국사람이 아닌 일본사람이 썼다는 데 뜻이 있습니다. 일본에도 자기 나라 역사를 제대로 알고 많은 사람한테 알리려는 사람 있을 거예요. 그런 사람이 많다면 좋겠습니다. 아니 많지 않아도 그런 사람이 끊이지 않고 나오기를 바랍니다.

 

 일본이 전쟁에서 지고 이런저런 증거를 없애려고 많은 사람을 죽였지요. 거기에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도 있었습니다. 살아남은 분이 있어서 우리가 그때 일을 아는 거네요. 그분들 이제 몇 분 남지 않았습니다. 일본은 여전히 자신들한테 책임이 없다 말합니다. 돈을 받고 그 일을 했다거나 억지로 끌고가지 않았다고 했어요. 그때 여자아이를 끌고 간 사람이 증언하면 좋을 텐데, 그런 일은 쉽게 일어나지 않고 그런 사람도 거의 죽었을 것 같네요. 돈이 중요한 건 아니지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분들이 바라는 건 일본이 진심으로 사과하는 겁니다. 그 분들이 아직 살아있을 때 일본이 사과해야 할 텐데요. 우리는 이런 아픈 역사 잊지 않아야 합니다.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베른트 하인리히, 홀로 숲으로 가다
베른트 하인리히 글.그림, 정은석 옮김 / 더숲 / 2016년 9월
평점 :
절판


 

 

 미국 사람 소로는 지금보다 더 옛날에 숲으로 갔다. 소로는 그때 도시도 복잡하다 느꼈을까. 지금 도시는 그때보다 더 사람이 많고 복잡할 거다. 도시에 사는 사람도 숲에 간다, 빌딩숲. 숲이라는 말이 들어가도 나무와 새 여러 동물이 사는 숲보다 안 좋다. 마음이 복잡할 때는 걸으면 좋을 거다. 어디를 걸어도 괜찮지만 숲을 걸으면 훨씬 좋다. 이렇게 말해도 난 산(숲)에 거의 가지 않는다. 몇해 전에는 다른 곳에 가는 길에 갔는데. 가끔 나무가 많은 곳에라도 가 볼까 하지만 그러지 않는다. 길가에도 나무가 있으니까. 피톤치드가 나오는 숲은 어떤 느낌인지 잘 모른다. 몰라도 좋을 것 같은 느낌이 든다. 가끔 숲에 가는 건 좋아도 살지는 못할 것 같다. 아니 아주 외진 곳이 아니라면 괜찮겠다. 본래 사람은 만나지 않으니 말이다. 우편배달이 잘 되는 곳이라면 좀 낫겠다. 다른 건 못해도 편지를 쓸 수 있을 테니 말이다. 며칠전에 조용한 섬은 어떨까 하는 생각을 잠깐 했는데, 섬은 우편배달이 잘되지 않아 안 되겠다 생각했다. 어딘가에 갈 것도 아닌데 이런 생각을 하다니. 그냥 생각해 볼 수도 있는 거 아닌가 싶다.

 

 이 책에 실린 글은 요즘이 아니고 예전이다. 1990년대. 그때와 지금 아주 많이 다를 거다. 베른트 하인리히가 그때 살던 숲은 지금 어떨까. 숲이 아직 있을까. 그때 농장이었던 곳이 숲이 되었다니 지금도 있을지도 모르겠다. 한국에도 산이 아닌 평평한 숲이 있을 텐데 그런 곳은 못 가 봤다. 사람이 숲에 가면 사람은 좋아도 거기 사는 동, 식물은 그걸 어떻게 생각할까. 옛날보다 사람이 늘어난 뒤에는 숲이 많이 사라지고 동, 식물이 살 곳도 줄었다. 이런 걸 생각하면 자기 좋자고 숲에 가서 살면 안 되겠다는 생각도 든다. 동, 식물은 사람이 있든 없든 알아서 살겠구나. 만약에 사람도 숲에 산다면 그 숲에 사는 동, 식물과 함께 살아야 한다. 서로한테 해를 끼치지 않고. 숲에 가기로 한 사람이 이것저것 많이 가지고 가지 않겠구나. 숲에서 얻을 수 있는 거로 먹고 살겠지. 베른트 하인리히도 많은 것을 가지고 가지 않았다. 갈 때는 큰까마귀 새끼와 함께 갔다. 큰까마귀 이름은 잭이었는데, 잭은 나중에 떠난다. 잭이 떠나서 아쉽기도 했다. 숲에 가서 그렇게 되지 않았을까 싶다. 언젠가 큰까마귀가 나오는 동화 본 것 같은데 제목은 생각나지 않는다.

 

 어느 날 갑자기 숲에 가서 살아야겠다 생각하고 행동할 사람이 얼마나 될까. 그런 사람이 많으면 안 되겠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고 마음먹고 행동으로 옮긴 게 대단해 보이기도 한다. 베른트 하인리히는 대학에서 스물다섯해 넘게 학생을 가르쳤다. 어느 날 베른트 하인리히는 모든 걸 두고 메인 주 메인 숲으로 간다. 혼자여서 그럴 수 있지 않았을까. 그렇다고 식구가 아주 없지 않았다. 딸과 아들이 있었다. 혼자가 아니고 한식구가 다 숲에 간 적 있을까. 아무리 오래전에 인류가 자연에서 살았다 해도 지금 사람은 그때처럼 살 수 없다. 동물이나 나쁜 날씨를 피할 수 있는 집이 있어야 하고 먹을거리도 있어야 한다. 베른트 하인리히가 자급자족한 건 아니다. 오두막이 있는 숲에서 차를 타고 나가면 사람이 사는 곳이 나왔다. 메인 주는 베른트 하인리히가 미국에 오고 살기도 했다. 어릴 때 숲에 산 적이 있어서 다시 숲에 가고 싶었던 거겠지. 이 책을 보고 베른트 하인리히를 부러워하는 사람도 있겠지. 복잡한 도시를 떠나 나무가 많은 숲으로 갔으니 말이다.

 

 숲에는 동물과 식물이 많았다. 베른트 하인리히는 흑파리와 흰발생쥐 때문에 애를 먹기도 했다. 흰발생쥐, 이름은 예쁜데. 겨울에 폭풍우가 몰려오고 베른트 하인리히는 오두막에만 있어야 했는데 그걸 기대했다. 폭풍우가 왔을 때 베른트 하인리히는 오두막 안에만 있지 않고 잠깐 바깥에도 나갔다. 눈이 많이 쌓인 숲에 홀로 있는 기분은 어떨까. 바깥이 추울 때는 따듯한 집 안에서 이불을 덮고 책을 보면 참 좋겠다. 베른트 하인리히가 숲에 간 건 여름이다. 여름에서 가을 겨울을 나고 봄을 맞았다. 가을에는 단풍이 무척 예뻤다. 단풍잎이 깔린 길을 걷는 기분도 무척 좋겠다. 봄이 오자 새들이 돌아왔다. 그런 모습 바라보는 것도 놀라웠겠다.

 

 멀리서 보면 조용할 것 같은 숲이지만 거기에는 많은 목숨이 산다. 그들 질서에 따라. 사람이 멋대로 그것을 깨뜨리면 안 되겠지. 숲에 가도 이것저것에 손대지 않고 조용히 쉬었다 오면 괜찮겠다.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몸을 움츠리게 하는 눈보라

몸을 펴게 하는 꽃보라

 

쉽게 길을 내주지 않는 눈보라

다른 세상 같아 오래 머물고 싶게 하는 꽃보라

 

앞이 보이지 않게 하는 눈보라

앞을 보지 못해도 괜찮은 꽃보라

 

어지럽게 흩날리는 눈

어지럽게 흩날리는 꽃잎

눈보라

꽃보라

 

눈천지

꽃천지

눈천지

꽃천지

 

다르지만 닮았다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연이 여러 번 이어지면 조금 이상하겠다. 그게 정말 우연인지 우연처럼 꾸민 건지 생각하는 사람은 없겠다. 그런 거 소설에서 본 것 같기도 한데. 현실에도 있을까. 아주 없지 않을지도. 아니 첫만남은 우연일 거다. 그 우연을 잡고 운명으로 만드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그저 스쳐지나는 사람이 있는 거겠지.

 

 인연도 우연에서 생기는 거다. 그걸 오래 이어가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좋아하는 사람은 운명이라 하는데 친구는 운명이 아닐까. 그렇게 말하면 좀 무거울지도. 친구도 가벼운 사이는 아니다. 이건 처음부터 아는 건 아니겠다. 어릴 때는 누구하고나 쉽게 친구가 되는 걸 보면 말이다. 자라면서 친구가 가벼운 사이가 아니다고 깨닫는 걸지도.

 

 친구가 그렇게 가볍지 않은 사이라 해도 친구는 다른 사이보다 더 쉽게 멀어지기도 한다. 한때 아주 친하게 지냈다 해도. 친구는 식구나 좋아하는 사람과는 다른 관계일 수밖에 없다. 아는 사이도 아닌 사이보다는 덜 하겠지만, 어떤 일이 일어났을 때 생각하는 건 식구, 친척, 좋아하는 사람 그다음이 친구가 아닐까 싶다. 어쩐지 그런 느낌이 든다.

 

 조금 쓸데없는 생각이구나. 앞에서 말한 건 그저 내 생각일 뿐이다. 나와 다르게 생각하는 사람이 더 많을지도. 그저 식구와 좋아하는 사람 그리고 친구는 다르다. 그렇게 생각하면 괜찮겠다. 어떤 사이든 소중하게 여기고 이어가야겠지.

 

 이제 만나지 않는다 해도 자신이 친구를 가끔 생각하듯 친구도 자신을 생각할 거다. 어딘가에 자신을 생각하는 친구가 있다 생각하면 마음이 따듯하겠다.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노란 민들레는 많이 봤지만, 하얀 민들레는 말로만 들었다

올해 처음으로 겨우 하나 봤다

우연히...

고양이는 어쩐지 나를 노려 보는 듯하다

벚꽃이 피었을 때는 비가 내리고 올해는 미세먼지가 심하다는 말을 들어서

벚꽃은 별로 못 봤다

며칠 전에 하늘을 보니 작은 구름이 있었다

저렇게 작은 구름도 있나 보다 하고는 걷다가 아까 본 구름 혹시 달이 아닐까 했다

다시 하늘을 올려다 보니 달이 맞았다

달을 담은 첫번째 사진에서 오른쪽에 하얀 줄 같은 게 보이는데 그건 비행기다

무슨 비행긴지 잘 모르지만...

가끔 하늘을 보면 작은 비행기 같은 게 날면서 비행기 구름을 만들기도 한다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