괜찮은 사람
강화길 지음 / 문학동네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떤 소설이든 사람을 말할 텐데 마땅한 제목은 떠오르지 않고, 책 제목과 해설 제목에 ‘사람’이 있어서 나도 ‘사람’을 넣었다. 예전에도 말했지만 아직도 단편소설 보는 건 쉽지 않다. 하나만 깊이 보는 것도 괜찮을 텐데 그러지도 못하고, 다 어중간하게 보는구나. 맨 앞에 실린 소설 <호수─다른 사람>은 여러 번 보았다. 여러 번 봤다고 새로 알게 된 게 있느냐 하면 그런 건 없다. 이번에도 이한이 여자친구 민영을 때린 것 같고 진영은 그런 이한을 두려워하는 것처럼 보인다. 예전에는 ‘다른 사람’을 진영이 생각하는 걸로 느꼈다. 누군가한테 맞는 여자와 진영(민영)은 다르다고. 하지만 그건 다른 사람 이야기가 아니었다. 민영은 확실하지 않지만 진영은 사귄 남자 친구한테 맞았다. 그걸 보고 누구나 그렇게 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해설에서는 이한이 진영이나 여자를 때린 사람과 다른 사람이다 말했다. 그렇게 볼 수 있을지도. 사람을 아무렇지 않게 때리는 사람이 있지만 모든 사람이 그런 건 아니다. 힘든 일을 겪은 사람은 모든 사람을 믿지 못하기도 한다. 예전에 봤을 때도 무슨 말인지 몰랐는데 지금도 모르겠다. 남자아이가 진영과 우는 민영한테, “야. 너도 세컨드지? (29, 41쪽)” 하는 말이다.

 

 장난이다, 실수였다 하는 말을 믿을 수 있을까. 하는 사람은 그렇다 해도 받아들이는 사람이 싫다면 그건 폭력 아닐까. 남이 듣기 싫어하는 말을 하고도 장난이다 하는 사람 있다. <호수─다른 사람>에서 민영은 이한이 실수로 자기 팔을 세게 잡았다는 듯 말했다. <괜찮은 사람>에서 남자는 갑자기 불이 나가 실수로 여자를 밀었다고 말한다. 이것도 첫번째 소설과 분위기가 비슷하다. 무언가 일어날 것 같은. 돌아오는 봄에 결혼하기로 한 두 사람은 남자가 샀다는 집을 보러 가는 길이다. 여자는 남자 때문에 다치고 몸이 편하지 않은데도 함께 차를 탔다. 다른 사람은 이한과 이 남자를 괜찮은 사람이다 말한다. 여자와 민영은 어떻게 생각할까. 남이 괜찮다 한다고 자신도 괜찮다 여길까. 작가가 소설을 읽는 사람이 어떻게 생각하기를 바라고 쓴 건지 모르겠지만, 두 소설을 보다보면 이한과 남자가 괜찮은 사람 같지 않다. 어쩌면 그건 그 사람한테 있는 한부분일지도. 그것만 보고 괜찮지 않은 사람이다 생각하지 않기를 바란 걸까.

 

 사람이 들어가는 소설은 <니꼴라 유치원─귀한 사람>과 <눈사람>이 있다. 두 소설은 조금 다르지만. ‘니꼴라 유치원─귀한 사람’은 아이가 들어가기 힘든 니꼴라 유치원에 다니고 귀한 사람이 되기를 바라는 이야기다. 그렇기는 한데 소문 때문에 의심하기도 한다. ‘나’는 자신이 공부를 못해서 힘들었던 것을 생각하고 자기 아들은 어렸을 때부터 이것저것 가르쳤다. 어쩐지 ‘나’는 자기 아들이 귀한 사람 대접 받기를 바라는 것보다, 니꼴라 유치원을 다닌 아들을 낳고 기른 ‘나’ 자신이 귀한 사람 대접을 받고 싶어하는 것처럼 보였다. 세상에는 아이로 자기 꿈을 이루려는 사람도 많겠지. <눈사람>은 지금 어른이 된 기채가 형과 살던 열한살 때 일을 떠올리는 이야기다. 여기에 나오는 벌레는 정말 벌레일까. 열한살 아이가 본 환상일까. 은영이라는 여자아이는 기채가 만들어낸 환상이었다. 형은 어릴 때 엄마 때문에 안 좋은 일을 당하고 자랐다. 엄마가 떠나고 둘만 남았을 때는 즐겁게 살고 형은 꿈도 있었다. 하지만 형은 형이 일하던 편의점 사장 때문에 빚을 지고 사람이 바뀌었다. 형도 동생도 참 안됐다는 생각이 든다.

 

 하얀 벌레가 나오는 이야기가 하나 더 있다. 그건 <벌레들>이다. 예연과 희진 그리고 수지 세 사람은 균형을 맞추고 살았는데 균형이 깨진다. 셋은 그렇게 될 수밖에 없을까. 꼭 그렇지는 않을 거다. 형편에 따라 다르겠지. <당신을 닮은 노래>에서 딸은 스물아홉 암환자다. 엄마가 자주 하는 말은 딸이 자신을 닮았다는 건데, 이 말이 저주처럼 되기도 했다. 딸은 난소암 유전자를 갖고 있었다. 엄마가 그 말을 들었을 때 얼마나 충격이었을까. 하지만 그건 엄마 때문은 아닐 거다. 더 거슬러 올라갈 수도 있겠지. 그런 유전자가 있다 해도 병에 걸리지 않는 사람도 있을 텐데. <방>은 지금 세상과는 다른 곳에서 일어나는 일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현실이 아주 없는 건 아니겠지. 재인과 수연은 무언가 터진(핵폭탄 같은 느낌이 든다) 도시에 가서 돈을 벌기로 한다. 다른 곳에서는 함께 살수 없었지만 도시에서는 같은 방에서 살 수 있었다. 도시에서 돈을 벌어 좋은 방을 얻어 살기를 꿈꾼다. 수연 몸이 이상해지고 돌처럼 굳고, 재인은 그런 수연 옆에 머문다. 바깥은 전염병이 퍼지고, 아무도 도시에서 나갈 수 없었다.

 

 여기 실린 소설에서는 희망을 보기 어렵다. 읽는 사람한테 희망을 주는 소설도 있지만 어둠에 빠뜨리는 소설도 있다. 이건 내 느낌일 뿐일지도 모르겠지만 신기한 게 있다. <굴 말리크가 기억하는 것>을 어디선가 본 것 같은데, 그건 신분이 다른 인도 사람이 나오는 소설이 아닐까 싶다. 제목은 잊어버렸지만. 마지막 것은 좋아한 사람과 멀어진 이야기라고 해야 할까. 외국인 노동자도 잠깐 생각할 수 있겠다. 여기에는 남자 여자(굴 말리크와 타니 칸)가 나왔지만, 사람은 다 누군가한테 인정받고 싶어한다. 자신을 잃으면 좋아하는 사람도 친구도 멀어지겠지. 더 나아지려고 애쓰는 건 괜찮지만 그것 때문에 중요한 걸 놓치면 안 된다. 아쉽게도 사람은 소중한 걸 잃고 나서야 그걸 깨닫는다.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금까지하고는 아주 다르게 자신을 바꾸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난 나를 바꾸고 싶은 마음은 없다(이런 말을 바로 하다니). 난 그저 뭔가 하면 조금은 나아지겠지 하고 산다. 그런데 정말 난 어제보다 나아지는 걸까. 어쩐지 며칠 전이나 몇해 전 내가 더 나은 것 같기도 하다. 아니 그때도 뭔가 마음에 들지 않는 게 있었을 거다. 자기 자신을 아주 좋아하는 사람이 없지 않겠지만, 거의 자신을 다 좋아하지는 않겠지(나만 그런가).

 

 몇번이나 말했는데 난 정리를 못한다. 그렇다고 그걸 잘 하려고 애썼느냐 하면 그런 적은 별로 없다. 마음 속으로는 그거 잘 하면 뭐 해, 꼭 해야 해 해설까. 그것도 있겠지만 귀찮고 그거 할 시간이 별로 없다 생각해서다. 그걸 안 해도 사는 데 큰 문제는 없다. 그저 가끔 정리를 해서 방을 넓게 만들어야 할 텐데 할 뿐이다. 추우면 조금 따듯해지면, 더우면 조금 시원해지면 치울까 한다. 늘 미루는구나.

 

 먼저 해야 할 것과 나중에 해야 할 것을 잘 모르는 걸까. 아니 사람에 따라 먼저 해야 할 것과 나중에 해야 할 게 다른 거겠지. 가끔 나도 조금 부지런해지고 싶다. 마음뿐이라니. 정리하는 걸 여러 번 쓰는 걸 보면 이것 때문에 내 마음이 편하지 않은 건지도 모르겠다.

 

 정리도 한번에 하기보다 조금씩 하는 게 낫겠지(여러 번 말하는구나). 이렇게 생각하고 ‘내일부터 하자’고 한 게 얼마나 될지. 물건 정리도 못하고 마음 정리도 못하는 것 같다. 그 말을 알고 생각해도 어떻게 하는 건지 잘 모르겠다. 가끔 무언가를 질질 끄는 것 같기도 하다. 그런 걸 덜 생각하거나, 아예 생각하지 않아야 할 텐데. 생각하면 답이 나오는 것도 있지만, 답이 없는 것도 있다. 정리는 내가 움직이면 된다. 이렇게 쉬운 답이 있는데도 잘 못하다니. 다시 이걸로 돌아갔구나.

 

 어제보다 오늘 좀 낫기를 바라는 건 글이다. 글은 조금씩만 나아지는 것 같다. 그렇다 해도 그만두지 않는 게 중요하겠지. 내 마음도 자꾸 자라기를 바란다.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날마다 널 찾아도 넌 보이지 않고

대체 넌 어디 있는 거야

사람들은 네가 가까이에 있다고 하지만

내 곁에는 거의 없는 것 같아

그럴 때는 바깥으로 나가 보라고

그 말 생각하고 나도 그렇게 해 봤지만

네 머리카락도 보이지 않았어

 

이런 말을 하면 조금이라도 나타날까 했는데

여전히 나타나지 않다니

보이지 않아도 난 날마다 널 찾을 거야

그러다 보면 널 닮은 무언가를 찾기도 하겠지

아니 그것도 너일 테지

넌 하나가 아니고 아주 많다고 들었어

네가 많아도 찾기는 어렵겠지만

적은 것보다는 낫겠어

 

널 잘 보려면 눈을 크게 떠야 할까

마음을 열어야 할까

작은 것도 그냥 스쳐가지 마라고

그래, 그거였어

 

어쩌면 넌 숨쉬고 사는 것일지도 모르겠어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봄에는 연분홍 바람이 불고

여름에는 풀색 바람이 불고

가을에는 빨갛고 노랗고 새파란 바람이 분다

 

겨울에 부는 바람은 무슨 색일까

투명하고

하얗고

잿빛에

시린 파랑이기도 하다

 

철마다 다른 바람 색깔

그리고 냄새

바람은 철마다 다른 냄새도 싣고 온다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나는 강아지로소이다
이노우에 히사시 지음, 송태욱 옮김 / 현암사 / 2017년 10월
평점 :
절판


 

 

 언젠지 잘 생각나지 않지만 나쓰메 소세키 소설 《나는 고양이로소이다》를 보았다. 그때 잘 봤다면 좋았겠지만 잘 못 봤다. 고양이가 사람을 바라보고 이야기 하는 것인데. 그 고양이는 사람 편을 들지는 않겠다는 생각이 든다. 사람이 사람을 보면 불쌍하다는 생각을 가지기도 할 텐데, 고양이가 사람을 보면 그런 마음은 덜하겠지. 고양이나 동물이 사람을 보면 우스꽝스러울지도 모를 일이다. 별거 아닌 일에 고집을 내세우고 서로가 더 많이 사지려 싸우는 모습이. 사람은 남보다 자신이 더 잘살려고 하지 않을까. 누구나 그런 건 아니지만. 가지지 못한 사람을 생각하고 조금 더 가진 사람이 자신이 가진 걸 내놓거나 돕기도 한다. 사람이 서로를 불쌍하게 여기면 세상이 좀더 좋아질 텐데.

 

 사람이 사람을 불쌍하게 여겨서 객관성이 없어질 수 있다고 말하고 뒤에서는 그래야 세상이 좀더 괜찮아진다고 하다니. 나도 왜 그렇게 말했는지. 사람이 사람을 풍자 하는 이야기가 아주 없지 않을 거다. 그런 이야기에서도 날카로운 비판을 느낄 수 있겠지만 동물이 사람을 보는 것과는 좀 다르지 않을까 싶다. 《나는 고양이로소이다》 별로 생각나지 않는데 이런 말을 하다니. 이 책 제목을 보면 나쓰메 소세키 소설이 떠오르지 않을 수 없다. 본래 제목은 ‘돈 마쓰고로의 생활’이지만. 나쓰메 소세키 소설에 나오는 고양이는 이름 없지 않던가. 돈 마쓰고로는 이름이 있다. 스페인 귀족이 쓰는 ‘돈’이 붙어 있다니 재미있다. 그 이름은 돈 마쓰고로가 사는 집주인이고 소설가인 마쓰자와가 지었다. 돈 마쓰고로가 태어난 곳은 그 집이 아니고 지구과학 선생 집이다. 돈 마쓰고로 형제 둘은 기를 사람이 있었는데 돈 마쓰고로는 못생겨서 키울 사람이 없다 했다. 처음부터 이런 말이. 사람은 겉모습을 보고 동물을 고르기도 한다. 지구과학 선생 부인은 어떻게 할까 하다가 돈 마쓰고로를 나무 상자에 넣어 강물에 띄워 보낸다.

 

 옛날 이야기에서 아이를 강물에 띄워보내기도 하던데. 소설가 마쓰자와 둘째딸 가즈코가 강물에서 돈 마쓰고로를 구하고 꾀를 내어 돈 마쓰고로와 함께 살게 된다. 돈 마쓰고로가 소설가 집에 간 건 아주 잘된 일이 아니었나 싶다. 그 집에는 책이 많았다. 신기할지도 모르겠지만 돈 마쓰고로는 사람이 하는 말을 알아듣고 글도 읽었다. 돈 마쓰고로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에도 가서 공부했다. 대단한 개다. 사람과 공부한 건 아니고 건물 바깥에서 몰래 들었다. 돈 마쓰고로는 아는 게 많았다. 돈 마쓰고로가 사는 소설가 집 둘레에는 경찰견을 하다 은퇴한 셰퍼드 킹과 시바개 헤이키치가 있었다. 킹하고는 벼락부자가 어떤지 이야기를 나눈다. 킹은 돈 마쓰고로가 여러 가지 이야기를 하자 마음에 들어한다. 돈 마쓰고로 몸에 성흔이 있는 걸 보고 선택받은 개라 했다. 성흔이 있는 개라니 재미있구나.

 

 돈 마쓰고로가 누드 극장에서 주인이 경찰한테 잡혀가 어찌해아 할지 모르던 푸들 오긴을 돕는 거나, 꼬리와 귀가 잘릴 처지에 놓인 불테리어 조타로를 도와주는 건 괜찮았는데, 그 뒤 일은 좀 커진다. 오긴과 조타로가 어딘가에 팔려가서 둘을 구하려고 돈 마쓰고로가 텔레비전 방송에 나가고, 돈 마쓰고로 말을 들은 개들이 찾아온다. 개 가운데는 돈 마쓰고로 만큼 재주가 있는 개가 여럿이었다. 실제 사람을 유괴한 건 아니지만 정치가 아들과 딸을 유괴했다는 편지를 보내고 몸값을 받아내려 했다. 몸값을 어디에 쓸 거냐면 병원 짓는 데 쓴다는 거다. 돈 마쓰고로와 여러 개가 생각한 건 사람이 행복하게 사는 거였다. 사람이 행복하면 개도 행복하다고. 이건 맞는 말일지도 모르겠다. 사람은 자기 기분이 좋으면 길을 지나가는 개를 보고도 웃지만, 화가 나면 애꿎은 개한테 화풀이를 한다. 무섭게 보이는 개한테는 그러지 않겠지만. 어쩐지 돈 마쓰고로가 생각하고 하려는 일이 어린이 같은 느낌이 들었다. 지금 생각하니 혁명가한테는 어린이 같은 면이 있지 않나 싶다. 처음부터 안 될 거야 생각하면 혁명은 일어나지 않겠다.

 

 여기 나오는 돈 마쓰고로는 개가 잘 살게 하려고 혁명하려 한다. 아니 개만 생각하지 않는다. 사람과 개가 다 행복하게 살기를 바랐다. 서당 개 삼년이면 풍월을 읊는다는데, 실제 개는 어떨까. 말은 달라도 개가 사람 마음을 알 것 같다. 개만 그런 건 아니겠다. 동물한테도 감정이 있을 거다. 동물을 함부로 대하지 않으면 좋겠다. 사람은 마음대로 개털을 깎고 옷을 입히고 귀나 꼬리를 자르기도 한다. 개는 그것을 싫어하지 않을까. 개가 짖지 못하게 하려고 성대 수술을 시키는 사람도 있다. 잔인한 사람이다. 사람만 생각하지 않기를 바란다. 지구는 사람만 사는 곳이 아니다.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