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라야, 나 사실은 외계인이야.”

 

 “응, 그렇구나.”

 

 “별로 놀라지 않는구나.”

 

 “응, 어렴풋이 그렇지 않을까 했어. 유진이 널 처음 만난 곳은 산이고 전날 밤에 별똥별 같은 게 떨어졌잖아.”

 

 “그건 내가 탄 우주선이 지구로 떨어지는 거였어.”

 

 “우주선 고장난 거구나.”

 

 “응. 바로 고칠 수 없어서 잠시 지구인인 척하고 살기로 했어. 그곳에 소라 네가 왔어.”

 

 “내가 갔을 때 거기에 우주선 같은 건 없었는데, 그 우주선은 어떻게 됐어?”

 

 “우주선은 작게 만들어서 내가 가지고 있었어.”

 

 “그런 거 만화에서 봤는데, 너네 별에서는 진짜 그걸 할 수 있나봐.”

 

 “으응…….”

 

 “우와 멋지다. 근데 유진아 너 나한테 니가 외계인이라는 거 말해도 괜찮아? 그런 건 숨겨야 하잖아.”

 

 “그렇기는 한데, 넌 내 친구잖아.”

 

 “그 말 하고 이제 떠나는 거야?”

 

 “아직. 우주선 다 못 고쳐서 못 가.”

 

 “그동안 고쳤어?”

 

 “응.”

 

 “유진이 넌 그런 것도 할 수 있구나.”

 

 “우리 별 사람은 모두 어릴 때부터 우주선 만들기를 배워서 고칠 수도 있어. 자기 우주선을 스스로 만들고 어느 정도 나이를 먹으면 그걸 타고 어디로든 떠나.”

 

 “그렇게 떠나면 거기 남는 사람은 얼마 없겠다.”

 

 “떠났던 사람이 돌아오기도 하고 돌아오지 않기도 해.”

 

 “그렇구나. 유진이 넌 어떡할 생각이었어?”

 

 “난 여기저기 돌아보고 돌아가려 했어.”

 

 “그러면 언젠가 지구를 떠나겠구나.”

 

 “응.”

 

 “여기 떠나면 다시 만날 수 없겠다.”

 

 “아마 그럴 거야.”

 

 “우리 남은 시간 동안 즐겁게 지내자.”

 

 “그래. 고마워.”

 

 난 말할 수 없었다. 나 또한 지구인이 아닌 다른 별에서 왔다는 걸. 내가 지구에 왔을 때 이곳에는 지구 사람보다 다른 별 사람이 더 많았다.

 

 지구에서는 세계를 지구촌이라 하고 세계 사람이 다 같다고 여겼다. 그렇게 생각하면 우리는 모두 우주에 사는 사람이다.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당신의 신
김숨 지음 / 문학동네 / 201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기에는 <이혼>을 시작해 이혼한 여자가 <읍산요금소>에서 일하는 것과 한 여자와 아홉해 전에 헤어진 남편과 지금 남편이 만나는 이야기 <새의 장례식> 세 편이 실렸다. 세 가지 이야기에서 공통으로 나오는 건 ‘이혼’이다. 요즘은 결혼했다 헤어지는 사람이 많다고 하는데, 거의 성격이 잘 안 맞는다고 말하지 않던가. 이건 연예인이 자주 하던 말이구나. 오래전에는 결혼했다 헤어지기 힘들었을 거다. 헤어지는 일이 아주 없지 않았겠지만 지금하고는 많이 달랐다. 그때는 얼굴도 안 보고 부모가 정해주는 사람과 혼례를 올렸다. 그때 여자한테 이런 말을 했다. 결혼하면 귀머거리 삼년 벙어리 삼년이다고. 칠거지악이라고 해서 남편이 아내를 버릴 수 있는 일곱 가지 경우도 있었다. 다 유교에서 비롯한 거다. 왜 여자만 참아야 했는지. 그게 지금이라고 다를까. 결혼하고 아이까지 있는 사람이 남편과 헤어지고 싶다고 하면 많은 사람이 웬만하면 참고 살아라 할지도 모르겠다.

 

 오래전에는 남자 여자를 똑같이 생각하지 않았다. 서양에서는 여자와 아이를 재산으로 여긴 적도 있으니. 한국은 그런 적 없었을까. 양반은 어땠을지 몰라도 노비는 그랬을 것 같다. 노비는 남자 여자 다 재산이었겠다. 양반은 자신보다 더 좋은 집안과 연을 맺으려고 딸을 시집 보냈을지도 모르겠다. 노비는 마음대로 결혼하기 어려웠을까, 결혼하고 싶은 사람과 했을까. 이건 잘 모르겠구나. 마음대로 결혼하지 못했을 것 같다. 양반보다는 자유로웠을 것 같지만. 신분제도가 없어지고도 다들 아들을 낳으려고 했다. 딸을 낳으면 이름도 제대로 지어주지 않고 학교에 갈 나이가 되어도 보내지 않았다. 모두가 그런 건 아닐지도 모르겠지만 그런 사람 많았겠지. 지금은 그런 시대가 아니다. 시대가 바귀었다 해도 여전히 유교 관념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가부장제라 해야 할까.

 

 여자든 남자든 사람이라는 건 다르지 않다. 그런 말이 있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결혼뿐 아니라 이혼도 여자한테 더 안 좋다. 이제는 많이 없어졌겠지만 예전에는 여자가 결혼하면 일을 그만두어야 했다. 이혼했다고 하면 일자리 구하기도 쉽지 않다. 이건 <읍산요금소>에 나오는 여자가 떠오르고 <이혼>에서는 민정의 선배가 그랬다. 읍산요금소에서 정산원으로 일하는 여자는 남편과 헤어질 때 돈을 벌지 못해서 아이 친권과 양육권을 놓아야 했다. 아이는 부모가 헤어지는 게 아무렇지 않았나 보다. 자기 친구 부모도 헤어졌다는 말을 했다. 여자도 꼭 아들과 살고 싶은 마음이 없어 보였다. 그럴 형편이 아니어서 아예 그런 생각을 못한 것일지도 모르겠지만. 드라마 같은 데서는 아이를 누가 기를지 여자와 남자가 오래 싸우기도 하던데. 이 소설에서는 참 담담하게 나왔다. 두번째 이야기에서 여자가 왜 남편과 헤어졌는지 말하지 않는다. 왜 였을지. <이혼>이나 <새의 장례식>에 나오는 것과 비슷한 까닭이었을까. <이혼>과 <새의 장례식>이 똑같지 않겠지만 아주 다르지 않을지도.

 

 부부가 헤어지는 까닭에는 한쪽이 바람을 피운다거나 폭력을 휘둘러서일 때가 많을까. 생각나는 건 이것밖에 없다. 폭력이라고 해서 때리는 것만은 아닐 거다. <이혼>에서 민정은 중요한 일이 있을 때마다 혼자였다. 배우자를 혼자 내버려두는 것도 폭력이 아닐까. 그때 민정의 남편 철식은 비정규 노동자 사진을 찍었다. 가까이 있는 사람 아픔은 보지 않고 남의 아픔만 보았다. 그런 사람 많지 않나 싶다. 천재 작가 같은 사람은 집안 일은 하나도 마음 쓰지 않고 자신이 하고 싶은대로 한다. 어쩐지 세상 사람은 그런 사람한테는 너그러운 것 같기도 하다. <새의 장례식>에서는 폭력이 대물림 되는 이야기를 하는 것 같기도 하다. <이혼>에도 민정의 엄마가 아버지한테 맞고 살았다는 게 나오는데, 민정의 오빠들은 괜찮을까. 갑자기 그게 알고 싶구나. 아들이 꼭 아버지를 닮는 건 아닐지 모르겠지만 그것보다 아버지가 한 걸 그대로 하는 아들이 더 많을 듯하다. 아버지와 닮은 아들은 자신이 싫지 않을까. 죽이고 싶다고 생각한 아버지를 닮은 것이. 나라면 그럴 것 같은데.

 

 남편이 아버지 같기를 바라는 사람이 없지 않겠지만, 그것보다 아내가 뭐든 받아주는 엄마 같기를 바라는 사람이 많은 것 같기도 하다. 남편을 아들이라 여기는 사람도 많다. 왜 그래야 하지. 그렇게 해도 서로 좋다면 별 문제 없겠구나. 두 사람 사이가 어떻든 그건 남이 상관할 일이 아니다. 하지만 그걸 바라지 않는 사람도 있을 거다. 결혼은 많이 생각하고 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 서로 의지하기 전에 먼저 홀로 서야 한다. 사람은 그렇게 단단하지 못하구나. 많은 걸 깨달을 때쯤에는 나이가 많겠지. 그러면 결혼의 환상을 버려야겠구나. 어쩌다가 내가 이런 말을. 나도 잘 모르는데. 서로가 남자 여자라는 것을 떠나 한 사람이라는 걸 생각하면 낫겠다.

 

 

 

희선

 

 

 

 

☆―

 

 “나는 당신의 신이 아니야. 당신 영혼을 구원하려고 찾아온 신이 아니야. 당신의 신이 되려고 당신과 결혼한 게 아니야.”  (<이혼>에서, 6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기 둘레를 정리하듯 마음도 정리해서 깨끗하게 하면 좋겠지요. 그건 어떻게 하면 될까요. 그런 것을 했다는 말이 적힌 책을 언젠가 본 것도 같은데 만나지는 못했습니다. 그저 다른 사람이 그런 책을 읽고 쓴 글을 본 게 아닐까 싶어요. 그런 걸 본 게 언젠지도 모르겠습니다. 청소를 하니 마음도 깨끗해졌다는 말이었던 것 같아요. 청소를 수행이라 했던가.

 

 몇해 전부터 새해가 오면 이번에는 꼭 좋은 버릇을 들여야지 합니다. 좋은 버릇이란 정리하는 거예요. 정리보다 치우고 버리기라고 하는 게 낫겠습니다. 전 버리는 거 잘 못해요. 그나마 다행하게도 뭔가 많이 사지 않아요. 언젠가 공책이나 편지지 펜을 사두었다고 했는데, 그건 자리를 많이 차지하지 않습니다(아주 많지 않다는 거군요). 그런데도 제 방은 좁네요. 본래 방이 넓지 않습니다. 넓지 않아서 어떻게 정리하면 좀 나을지 잘 모르겠어요. 잘 몰라서 그냥 내버려뒀습니다. 이러면 안 되는데, 가끔 방을 둘러보고 난 평생 이렇게 어지러운 데서 살다 죽겠구나 합니다.

 

 제가 제대로 정리하지 못한 건 늘 책 읽는 걸 먼저 해서예요. 그러면서도 책은 별로 못 읽었군요. 이거 하루나 이틀 안 한다고 어떻게 되는 것도 아닌데. 지금은 이렇게 쓰는 것도 하는군요. 다른 것도 하고 책 읽고 글도 쓰는 사람도 있는데. 왜 저는 그렇게 못할까요. 버릇이 들지 않아서군요. 한번에 하기보다 조금씩이라도 해야겠습니다. 물건은 할 수 있는 한 사지 않고, 버려야 할 건 마음먹고 버리면 좀 낫겠지요. 이번에는 정말 그럴 수 있어야 할 텐데.

 

 청소도 즐겁게 할 수 있을까요. 학교 다닐 때 청소 하는 시간 그렇게 좋아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그게 그렇게 힘든 건 아니었지만. 날마다 그렇게 해서 교실이 깨끗했던 거겠습니다. 초등학생 때는 바닥에 초 칠하고 마른 걸레로 닦았어요. 무슨 일이 있을 때면 학생들이 모두 복도로 나와 닦기도 했습니다. 어쩐지 지금은 그런 거 학생한테 시키지 않을 것 같네요. 그게 좋은 건지 안 좋은 건지. 저는 학교에서 청소했지만 집에서는 아무것도 안 했으니 별 도움은 안 되었네요. 그렇다고 청소를 한번도 안 한 건 아닙니다. 가끔 마음 내키면 했어요.

 

 방뿐 아니라 제 마음도 정리해서 가볍게 하고 싶습니다. 가볍다는 말은 어울리지 않을지. 어떤 것을 바라느냐 하면 쓸데없는 생각 안 하고 무엇이든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인생에서 너무 늦은 때란 없습니다 엽서책
애나 메리 로버트슨 모지스 지음 / 수오서재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지스 이름을 다 쓰면 ‘애나 메리 로버트슨 모지스’다. 참 길기도 하다. 이름에 어머니 아버지 성도 들어간 걸까. 거기에 누군가의 이름도 하나 들어갔겠지. 모지스와 가까운 사람 이름이. 예전에 본 책에서는 모지스가 일흔다섯에 그림을 그렸다고 했는데 여기에는 일흔여섯에 그림을 그렸다고 나온다. 한살 차이지만 어떤 게 맞을까. 하나는 만이고 하나는 한국 나이로 센 걸까. 어쨌든 모지스는 일흔이 넘고 그림을 시작했다. 그렇다고 모지스가 그때 갑자기 그림에 관심을 가진 건 아니다. 모지스는 어릴 때부터 그림에 관심을 가졌다. 하지만 모지스가 태어난 때는 1860년이다. 그때는 여자가 마음대로 그림을 그릴 수 없었다. 그렇다고 그림을 그린 사람이 아주 없지는 않았겠다. 모지스는 가정부 일을 하다 결혼하고 아이를 낳고 살았다. 그러다 일흔이 넘었을 때 관절염에 걸려서 자신이 좋아하는 수놓기를 할 수 없게 됐다. 그때 딸이 모지스한테 그림을 그려보면 어떻겠느냐고 했다. 모지스는 물감으로 그림을 그리기 전에 털실로 그림을 그렸다. 수를 놓았다고 해야겠구나. 그것을 하기 전에 그림을 그린 적이 있다고도 한다.

 

 일흔이 넘으면 세상을 다 산 것 같고 살 날이 얼마 없다고 여길 것 같다. 아무리 자신이 좋아하는 것이라 해도 그때 시작하는 건 쉽지 않을 거다. 하지만 모지스를 보면 그런 말 못하겠다. 일흔이 넘고 그림을 그리고 꽤 오랫동안 그림을 많이 그렸다. 난 어쩐지 모지스가 그림을 그려서 오래 산 건 아닐까 싶다. 오래 살아서 모지스는 자식을 먼저 떠나 보내야 했다. 그때는 마음 아팠겠지만 자식은 자신이 먼저 죽어서 다행이다 여기지 않았을까 싶기도 하다. 모르는 마음을 생각하다니. 떠나는 사람보다 남는 사람이 더 슬플 것 같다. 그런 슬픔을 그림으로 견디지 않았을까. 슬퍼도 무언가 자신이 할 게 있다면 조금은 낫겠지. 그 일이 일어났을 때는 아무것도 못하겠지만. 나이를 먹어서도 자신이 좋아하는 걸 한다면 좋을 것 같다. 그때도 먹고살 일을 걱정해야 할지도 모르겠지만.

 

 

    

 

    

 

    

 

    

 

 

 

 몇해 전에 읽은 책에 모지스 그림을 엽서나 성탄 카드로 만들었다는 말을 보았는데 한국에서도 이렇게 엽서책으로 나왔다. 지금은 세상에 없지만 이렇게 그림을 남기고 많은 사람한테 희망을 주다니 대단하다. 사람은 누군가한테 도움이 되고 싶어하기도 한다. 모지스는 그런 일을 해서 기뻤겠다. 아니 꼭 그런 걸 해야 하는 건 아니다. 자기 삶을 끝까지 사는 것도 괜찮다. 이런 말 빼놓지 않고 하는구나. 내가 그럴 것 같아서 그렇겠지. 무엇을 하는 데 나이는 상관없다. 어린 나이에 해야 잘할 수 있는 것도 있지만 그저 즐기려고 하는 건 언제 해도 괜찮다. 아니 하다보면 잘하고 얼마 안 되는 사람이라도 좋아할지도 모른다. 누가 좋아하지 않으면 어떤가, 자신이 좋아하면 되지. 이 말도 나한테 하는 거구나. 요새 또 자신을 잃고 나는 대체 뭐 하고 사는 건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가끔 그런 생각에 빠졌다 다시 하고 싶은 걸 한다. 그걸 할 수밖에 없어서. 잘 하려고 하기보다 즐겁게 해야겠다 생각하지만 생각대로 되지 않기도 한다.

 

 올해는 엽서보다 편지지를 더 쓰려고 했는데 이걸 사서 이 엽서도 가끔 쓰겠다. 그림을 보는 것도 괜찮고 한장씩 뜯어서 누군가한테 소식을 전해도 괜찮다. 이런 생각도 했다. 엽서를 뜯지 않고 한주에 한장씩 쓰고 그걸 한사람한테 주면 어떨까 하는. 그걸 받는 사람이 부담스러워하지 않는다면. 난 이런 걸 먼저 생각하다니. 친구한테 쓰는 건 괜찮겠지. 친군데 그걸 부담스럽게 여길까. 난 그냥 한장씩 뜯어서 쓸 생각이다. 문구점에서는 예쁜 엽서 보기 어려운데 이렇게 모지스가 그린 편안한 그림으로 엽서를 만들어서 좋다. 올해도 즐겁게 편지를 써야겠다. 많지 않아도 편지를 쓸 사람이 있어서 다행이다. 그런 친구가 없었다면 책 읽고 쓰기밖에 못했겠다.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칙칙폭폭 기차는 잘도 달린다

거칠 것 없는 씩씩한 모습이다

기차를 탄 사람도 모두 즐거워 보인다

다들 어딘가로 떠나는 거겠지

 

아주 오랜만에 고향으로 돌아가는 사람

일 때문에 다른 지방에 가는 사람

문득 기차에 올라 탄 사람

모두 즐거운 건 아닐지도

어쩔 수 없이 기차를 탄 사람도 있겠지

그래도 기차는 달린다

꿈, 희망, 바람, 걱정……, 많은 것을 태우고

 

기차가 멈추면

두고 내리는 게 없기를

마음도 잘 챙기기를

떠난 기차는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