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꿀벌과 천둥
온다 리쿠 지음, 김선영 옮김 / 현대문학 / 2017년 7월
평점 :
음악을 좋아하지만 클래식은 그렇게 자주 오래 들어보지 못했다. 우연히 피아노나 바이올린 첼로 연주곡을 들으면 좋다 여기기도 하는데, 더 알려 하지 않다니. 그건 왜인지 모르겠다. 알고 싶은 때도 있었던가. 예전에 음악을 들어보려고 CD를 산 적 있다. CD 열장에서 들어본 건 몇장 안 된다. 클래식에 아주 조금 관심을 가진 적이 있다는 게 어딘가. 나만 그런 건 아니겠구나. 그건 자주 오래 들어야 귀에 익을 거다. 대중음악은 몇번 들으면 익숙해지는데. 음악이나 운동은 듣고 보기보다 자신이 하는 게 더 재미있다. 클래식을 오래 자주 듣지 못하는 건 내가 연주할 수 있는 악기가 없어서가 아닐까 싶기도 하다. 피아노를 오래 배웠다면 나았을까. 여기에서 마사루는 음악과 운동은 비슷하다고 말하기도 한다. 언젠가 내가 피아노 배우는 건 돈이 많이 드니 타자를 배웠다고 했는데, 여기 나오는 어떤 소설가(온다 리쿠 생각이기도 하겠지)는 치아노 치는 것과 컴퓨터 키보드 치는 걸 비슷하게 여겼다. 재미있구나.
언제 이 책을 알았던가. 어떤 분이 온다 리쿠가 쓴 책이 나오키상을 받았다는 글을 썼다. 그때 피아노 콩쿠르 이야기라는 것을 알고 재미있겠다 생각했다. 2017년 6월말엔가는 이 책이 일본 서점대상도 받았다는 거 알았다(더 일찍 알았던가). 일본 서점대상 후보였던 《츠바키 문구점》 드라마를 보고 온다 리쿠가 상 받는 모습을 우연히 봤다. 그걸 알고 얼마 지나지 않아 책이 한국에 나왔다. 《츠바키 문구점》도. 이 책 《꿀벌과 천둥》도 드라마나 만화영화로 만들면 괜찮을 텐데. 만들까. 책만 봐도 괜찮기는 하다. 그때 책 한권 더 알았다. 그건 《오후도(앵풍당) 이야기 櫻風堂ものがたり 》(무라야마 사키)로 책방이 나오는 거다. 책방과 사람이라 해야겠지. ‘오후도(앵풍당)’가 책방 이름이다. 이것도 따듯한 이야기가 아닐까 싶다. ‘츠바키 문구점’은 편지고 ‘오후도 이야기’는 책방이라니. 내가 이런 걸 좋아하는구나. 나뿐 아니라 많은 사람이 좋아하겠다. 이 두 책 공통점이 하나 있다. 나무가 나온다는 거. 츠바키 문구점은 동백나무고 오후도 이야기는 벚나무다. 이건 오후도라는 한자를 봐서 생각한 거고 책에 벚나무가 나오는지 그건 나도 모른다. 책방 앞에 있을 것 같다.
온라 리쿠는 일본 서점대상을 두번째로 받았다. 처음 받은 건 《밤의 피크닉》이다. 이 책 예전에 읽기는 했다. 그때 좋게 여긴 건 고등학교 행사로 밤을 새워 걷는 거였다, 처음에는 뛰었던가. 그때는 그게 좋게 보였지만 지금은 힘들겠다는 생각이 든다. 나이를 먹어서 그런가. 그 책을 보고 온다 리쿠 책을 여러 권 만나기는 했는데 그렇게 잘 보지 못했다. 미스터리처럼 보이면서도 아주 미스터리는 아니기도 했다. 난 잘 읽지 못했다 해도 한국에는 온다 리쿠 책을 좋아하는 사람 많다. 이번 책 《꿀벌과 천둥》은 지금까지 나온 것과는 좀 달라 보이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온다 리쿠만의 분위기를 좋아하는 사람은 별로다 할지도 모르겠지만, 반대로 나는 괜찮았다. 이 책으로 온다 리쿠를 처음 만나는 사람도 있겠지. 나오키상은 일본 대중소설에 주는 상이다. 그래선지 책은 읽기에 어렵지 않다. 클래식에 피아노 콩쿠르를 많은 사람이 아는 건 아니겠지만, 그런 것을 한번 엿보는 것도 괜찮다.
이야기는 제6회 요시가에 국제 피아노 콩쿠르가 열리는 두주 동안을 그렸다. 1, 2, 3차 예선에 본선까지 두주나 하다니. 제1차 예선에는 아흔 명이 참가한다. 제2차 예선에 나갈 수 있는 건 스물네 명이고 제3차 예선에는 열두 명 본선에는 여섯 명이 나간다. 어쩐지 심사하는 사람이 힘들 것 같다. 심사위원에서 몇 사람 이야기도 하지만, 피아노 콩쿠르에 참가하는 네 사람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펼쳐진다. 예선을 치르기 전에 참가등록 하는 부분도 나온다. 그때 파리에서 가자마 진이 뽑힌다. 가자마 진은 열여섯 살로 아버지가 양봉일을 해서 여기저기 옮겨 다녔다. 지금까지 가자마 진은 정규음악교육을 받지 않고 이름이 잘 알려진 피아니스트 유지 폰 호프만 제자라는 걸로 콩쿠르에 참가했다. 클래식은 학교 같은 걸 좀 따지지 않나 싶다. 새로운 사람이 나타나길 바라면서도 음악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했다 하면 서류 면접에서 떨어뜨린다. 가자마 진이 한 피아노 연주는 아주 색달랐다. 그것을 좋아하는 사람도 있고 싫어하는 사람도 있었다. 피아노 연주를 소리가 아닌 글로 나타내는 건 쉽지 않을 텐데 음악을 몰라도 책을 보다보면 음악이 들리는 듯하다. 신기한 일이다.
앞에서 가자마 진밖에 말하지 못하다니. 가자마 진뿐 아니라 에이덴 아야나 마사루 카를로스 레비 아나톨은 천재다. 천재는 아니라 해도 자신만의 음악을 하려는 다카시마 아카시도 있다. 클래식은 어렸을 때부터 하고 그때 재능을 알 게 될 거다. 다른 건 하지 못하고 그것만 해서 힘들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그거 하나에 시간을 다 쏟아부어도 프로가 될까 말까 하고 어렸을 때는 천재였다 해도 시간이 흐르면 평범해지는 사람도 있다고 한다. 네 사람 아니 피아노 콩쿠르에 나오는 모든 사람 가운데서 가장 자유로운 건 가자마 진이다. 마사루는 연주 잘하고 잘생기고 벌써 스타였다. 아야는 어렸을 때는 천재로 피아노 연주 활동을 했는데 어머니가 세상을 떠나고 피아노 연주 활동을 그만두었다. 다카시마 아카시는 피아노를 전공했지만 자신은 천재가 아니다 여기고 악기점에서 일했다. 피아노 연주에서는 멀어졌지만 여전히 미련이 남아서 콩쿠르에 참가하기로 했다.
두주는 긴 시간일까 짧은 시간일까. 두주 동안 소설에 나오는 사람은 조금씩 바뀐다. 자란다고 해야겠지. 가장 많이 달라지는 건 에이덴 아야 같다. 아야는 가자마 진이 하는 피아노 연주를 듣고 자신도 피아노 연주를 하고 싶다 생각한다. 마사루는 어릴 적 친구 아야를 만나 기뻐했다. 아카시는 앞으로도 음악을 하려 한다. 음악은 천재만이 하고 즐기는 건 아니다. 평범한 사람은 자기 나름대로 즐기면 된다. 이건 어떤 일이나 마찬가지다. 책을 보면서 음악을 듣는 듯한 느낌 괜찮다. 음악, 클래식을 그렇게 어렵게 생각하지 않아도 괜찮겠지. 피아노 연주하는 사람 이야기가 많지만, 그것을 할 수 있게 하는 무대 매니저 조율사 이야기도 조금 나온다. 그밖에 더 많은 사람이 뒤에서 일하겠지. 음악은 누구나 듣고 즐길 수 있다.
희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