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에 도서관에서 책을 빌리고, 왜 ‘문화의 날’은 한달에 한번뿐일까, 날마다 하면 안 되나 하는 생각을 잠깐 했다가 다시 한달에 한번이 낫겠다 했다. 좋은 날, 특별한 날은 한달이나 한해에 한번이면 된다.

 

 날마다가 축제, 라는 말을 한 사람도 있지만. 이건 평소에 어깨에 힘 빼고 날마다 즐겁게 살라는 말은 아닐까. 별일 없는 나날이어도 잘 보면 조금 다를 거다. 다른 걸 알아보면 좋겠지만, 그것도 어쩌다 한번 알아채도 괜찮다. 날마다 무언가를 찾으려고 마음을 곤두세우고 다니면 지친다. 다른 때는 스쳐지나가는 걸, 어느 날 우연히 만나면 기쁠 거다.

 

 한국에는 달마다 명절이 있었는데 지금은 많이 줄었다. 그건 농작물과 상관있었다. 예전에 지내던 명절이 사라진 건 농사 짓는 사람이 적어서겠다. 지금은 달마다 무슨 날이라고 하면서 물건을 사게 한다. 그날을 챙겨야 하는 건 아니지만, 그날을 특별하게 여기는 사람도 있겠지. 장사 하는 사람이 만들어 낸 날이겠지만, 심하지 않게 즐기면 괜찮겠다.

 

 누구한테나 특별한 날은 있다. 그건 바로 자신이 이 세상에 온 날이다. 부모가 없어서 그날을 제대로 모르는 사람도 있겠지만, 많은 사람이 알겠지. 시간이 흐르고 나이를 먹으면 그날도 특별하게 여기지 않지만. 그날은 자신이 축하받아야 할까, 자신을 낳아준 부모한테 고맙다고 해야 할까. 둘 다 하는 게 좋겠다. 부모가 없는 사람은……. 부모가 없다 해도 그 사람을 낳은 사람은 있다. 부모가 되지 못하는 사람은 있지만, 누군가의 자식이 아닌 사람은 없다. 부모가 없으면 자신을 낳은 누군가를 생각하면 되겠지.

 

 자신이 태어난 날을 누가 알고 축하하지 않더라도 섭섭하게 여기기보다 자신이 축하하면 어떨까. 나도 그러지 못했는데 앞으로는 그래야겠다. 특별한 날이라고 해서 꼭 누군가와 함께 보내야 할까. 함께 보낼 사람이 있다면 함께 보내고, 혼자라면 혼자 즐기자. 내가 없어서 이런 말을 하는구나.

 

 지금까지 살아보니 이거 아니면 저거보다, 이건 이것대로 저건 저것대로 좋다는 걸 깨달았다(하나를 정해야 하는 것도 있겠지). 특별한 날이 한달이나 한해에 하루여도 괜찮고 날마다를 특별한 날처럼 지내도 괜찮겠다. 날마다 특별한 날이다 생각한다면, ‘특별한 날’ ‘더 특별한 날’ ‘더더 특별한 날’ 이라 구분 짓는 것도 재미있겠다.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여기 봐, 나야. 나하고 친구 하자.”

 

 도서관에 가서 책을 빌리려고 책장 앞에 서면, 제목이 마음에 들어 한번 보고 싶은 책, 나중에 빌려 볼까 하는 책, 바로 빌려서 보고 싶은 책이 나를 부른다. 빌려 볼 책은 벌써 정했는데, 보고 싶은 책이 더 있으면 좀 아쉽다. 나중에 읽어야지 하는 생각을 하고 보는 것도 있지만 시간이 흐르면 잊기도 한다.

 

 “미안해, 한번 만나려 했던 책아.”

 

 끊임없이 나오는 책을 보면 출판사 잘 안 되는 거 맞나 싶기도 하다. 아주 많은 출판사에서 잘되는 곳은 그리 많지 않을지도 모르겠다. 한해에 책 한권 내지 못하는 곳도 있다고 들었다. 그런 곳은 한해를 어떻게 나는 걸까. 예전에 나온 책이 조금씩 팔릴지,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문을 닫을지. 작은 곳이어도 꿋꿋하게 오래 책을 내는 곳 있겠지. 그런 곳은 일하는 사람이 적어서 몇 사람이 오래 일할 것 같다. 그래도 책 한권을 만들어 내면 뿌듯하겠다.

 

 “즐겁게 책 만드세요. 작은 출판사.”

 

 천천히 책을 다 보고 도서관에 가면 빌린 책이 보고 싶어서 집에 빨리 온다. 집에 와서 바로 책을 보느냐 하면 그러지 못한다. 빌린 책은 다 보려 하지만 아주 가끔 잘 사귀지 못하는 책도 있다. 책을 잘 못 보는 건 책 탓이 아니고 내 탓이겠지. 어떤 책이든 잘 볼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책, 네 마음은 언제나 열려 있을 텐데, 난 그러지 못하는구나.”

 

 책은 나 한사람이 아닌 많은 사람한테 말을 건다. 그래도 책을 만날 때는 책과 나 둘뿐이다. 책을 만날 때는 무슨 말을 해야 할지 걱정하지 않아도 괜찮다. 책이 하는 말에 귀를 기울이면 된다. 책이 하는 말을 듣고 마음속으로 생각하기도 하지만. 그런 건 괜찮겠지.

 

 “책아, 내가 만나고 싶을 때 언제나 거기 있어서 고마워.”

 

 “뭘. 나도 내가 하는 말 듣는 사람이 있으면 좋아.”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지독한 하루 - <만약은 없다> 두번째 이야기
남궁인 지음 / 문학동네 / 201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두운 밤 불을 밝히고 누군가 오기를 기다리는 일은 어떨까. 길을 떠난 사람이 갈 곳이 없어 잠시 쉬어 갈 곳을 찾다 불 켜진 곳을 보면 마음이 따듯할 것 같다. 그게 편의점 불빛이라 해도 말이다. 누군가 찾아와 쉬었다 가기를 바라고 불을 밝힌 곳도 있지만, 밤에 갑자기 아파서 찾아오는 사람을 기다리는 곳도 있다. 그곳은 바로 응급실이다. 응급실에서는 밤에 사람이 적게 오는 걸 더 반길 것 같다. 늦은 밤에도 불을 밝혔다 해서 그곳이 다 사람을 반기는 곳은 아니다. 아니 응급실이 있어서 아픈 사람은 좀 나을지도 모르겠다. 그곳이 없으면 날이 밝기를 기다렸다 병원에 가야 할 테니. 몸이 아주 안 좋은 사람은 날이 새기도 전에 세상을 떠날 거다. 응급실에 간다고 해서 모두 사는 건 아니다. 응급실 의사는 아픈 사람을 보고 먼저 목숨을 이은 다음 검사를 한 다음 전문의사를 부른다.

 

 사람이 벼락을 맞는 일은 아주 일어나기 힘든 일이다. 언젠가 어떤 사람은 벼락을 맞고도 살았다는 말을 들었는데, 어쩌면 그건 벼락이 아니고 전기가 몸을 뚫고 나간 건지도(그것도 살아나기 힘든 일이구나). 일어나기 힘든 일이 일어난 건 그 사람이 잘못해서는 아닐까 싶기도 하다. 날씨가 안 좋은 날 바깥에 있어서 그런 일이 생긴 건 아닌지. 산꼭대기에서 벼락 맞은 사람을 소방대원이 데리고 왔다. 날씨가 아주 좋지 않아 헬기는 뜨지 못하고 소방대원 세 사람이 산꼭대기에서 벼락 맞은 사람을 데리고 내려왔다. 그냥 온 것도 아니고 산을 내려오면서 죽 심폐소생술을 했다고 한다. 사람이 죽었다는 걸 알아도 소방대원은 심폐소생술을 해야 할까. 심장이 멈췄지만 심폐소생술을 하면 살지도 모른다고 여긴 걸까. 병원에 가니 의사가 보고는 벼락 맞은 사람은 죽었다고 했다. 소방대원 세 사람은 멍 하고 힘이 빠졌겠다. 옮기는 게 힘들었다 해도 그 사람이 살았다면 좋았을 텐데.

 

 어릴 때는 소방대원이 불만 끈다고 생각했다. 언제부터 소방대원은 사람을 구하는 일까지 하게 됐을까. 처음부터 그랬을 것 같다. 지금 소방대원은 불끄는 일보다 사람 구하는 일을 더 많이 한다고 한다. 소방서에 장난전화 하는 사람 정말 많을까. 그런 건 하지 않았으면 한다. 집에 벌이 한마리 들어왔다고 전화를 하고, 강아지가 아프다고 응급차를 보내달라는 사람도 있단다. 어디선가는 응급차를 택시로 이용하는 사람도 있다는 말을 했는데, 한국에도 그런 사람 있구나. 지금 아주 급한 것도 아닌데 지방에서 서울 병원에 가야겠다면서 응급차를 보내달라는 사람도 있었다. 잘 모르고 한 일이다 여기고 그냥 웃어야 할까. 그러면 안 되겠지. 지금은 소방대원도 그리 많지 않을 거다. 일하다 죽을 수도 있고 사람을 구해도 외상후스트레스장애에 시달리기도 한단다. 누군가를 구하고 싶어서 그 일을 하다 무척 힘들다는 걸 알고 그만두는 사람도 많을 것 같다. 장난이나 별거 아닌 일로 119에 전화하지 않으면 좋겠다.

 

 응급실 풍경을 실제 본 적은 없다. 본 적은 없지만 그곳이 싸움터와 다르지 않을 것 같다는 상상이 간다. 다쳐서 왔다가 나중에 나아서 돌아가는 사람도 있지만, 병원에 가고도 죽는 사람도 있다. 사고가 나도 누구는 죽고 누구는 살기도 하다. 그건 뭐라 해야 할까, 운이 좋고 나쁘다 해야 할까. 응급실 의사는 사람을 살리면 마음이 조금 뿌듯하지 않을까. 응급실에서 난동을 부리는 사람도 있겠지. 칼에 찔린 조직폭력배 같은 사람과 여러 사람이 몰려와서는 배를 그냥 꿰매달라고 했다. 시간이 조금 지나고 칼에 찔린 사람은 다른 데서 피가 엄청나게 나왔다. 남궁인이 치료를 하려고 하자 다른 사람이 그걸 방해하고 때리기도 했다. 그런 거 보니 의사가 안됐다는 생각이 들었다. 밤에는 술을 마신 사람도 많이 만나고 이런저런 욕도 많이 듣겠지. 응급실 의사도 가끔 심리치료를 받아야 하지 않을까 싶다. 어쩐지 한국에서는 스스로 이겨내라고 할 것 같다.

 

 지난번에 나온 《만약은 없다》를 볼 때도 죽은 사람을 여럿 보았는데 이번에도 다르지 않았다. 병원에 있으면 세상에는 아픈 사람만 있는 것 같다. 세상에 나온 지 두달밖에 되지 않은 아기를 때린 사람도 있었다. 아무리 자기 아이가 아니라 해도 그렇지 어떻게 아기한테 그럴 수 있는지 그 아기는 제대로 자랄 수 있을까. 응급실에 가서 제대로 치료받는 사람도 있지만, 의사가 제대로 못 볼 때도 있다. 그럴 때는 의사는 신이 아니다 생각해야 할까, 의사가 얼마 없을 때 아픈 사람이 밀려와서 일어난 일이다 여겨야 할까. 남궁인은 자신이 잘못한 것도 여기에 적었다. 책으로 보고 여러 가지 병을 아는 것과 실제 보는 건 다를 거다. 의사가 조금 더 마음을 써서 아픈 사람을 봤으면 좋겠다. 언젠가 의사는 아픈 사람 얼굴이 아닌 아픈 곳만 본다고 하는 말을 들었는데, 의사가 아픈 사람이 어떻게 생겼는지 얼굴을 봤으면 한다.

 

 지금은 응급의학과 의사뿐 아니라 외과의사도 많이 줄었다고 한다. 힘들어서 그렇겠지. 의사라는 일을 자부심을 가지고 하면 좋을 텐데, 그것보다 돈을 더 벌려고 하는 것 같다. 그런 사람 그렇게 많지 않겠지. 뜻을 가지고 의사가 되려는 사람이 많다고 믿고 싶다. 아픈 사람이 마음 편하게 마주할 수 있는 의사가 많아지기를 바란다.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짧으면서도 긴 하루

나무는 하루를 한해처럼 산다지

 

나무는 나무 시간을 살고

사람은 사람 시간을 살겠지

 

너와 내 시간도 다르게 흐를까

하지만 하루하루 쌓아가는 건 비슷하겠지

 

하루 사이에 바뀌는 것도 있겠지만

그게 끝은 아닐 거야

하루하루 사는 힘은 작지 않아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새해가 오면 해야겠다 하는 것 가운데 다른 나라 말(거의 영어) 공부하기 있으세요. 지금 생각하니 저도 예전에 그런 생각 했던 것 같아요. 저한테 영어 쓸 데가 있는 것도 아닌데 영어 잘 알면 좋겠다는 생각을 막연히 하고 영어 잘 아는 사람이 부럽기도 했어요. 지금도 다르지 않군요. 가끔 영어 공부 해 볼까 하는 생각이 불쑥불쑥 들기도 합니다. 전에 일본말만으로도 벅차다고 했는데. 어쩌면 그걸 잘 하면 누군가 나를 좋아할지도 몰라 하는 마음이 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영어뿐 아니라 글을 잘 쓰면 나를 좋아할까, 하는 생각도 합니다. 그렇지 않다는 걸 아는데도 그러네요. 그래도 뭔가 잘 하는 사람을 많은 사람이 좋아하기도 하잖아요. 저는 제가 잘 모르는 많은 사람이 저를 좋아하기를 바라지는 않습니다. 그저 친구가 저를 떠나가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그런 걸로 사람을 잡을 수 없을 텐데. 제가 자신이 없어서 그러는군요.

 

 언젠가 본 책에서 영어 공부를 하려면 중학교 교과서로 시작하라고 하더군요. 이건 기초부터 하는 거겠습니다. 그 말 듣고 중학교 교과서 구해서 해 볼까 하는 생각 잠깐 했네요. 영어는 늘 생각뿐입니다. 지금은 영어뿐 아니라 프랑스말, 중국말, 스페인말, 노르웨이말……, 여러 나라 말을 아는 사람이 있어서 중역이 많이 줄어들었습니다. 중역이 안 좋은 건 아니겠지만, 옛날에는 그렇게라도 책을 보면 기뻤겠지요. 영어가 아닌 다른 나라 말 잘 알아도 잘 모르는 건 영어로 나온 책도 보지 않을까 싶습니다. 영어 잘 알면 이 세상에 나온 책 많이 볼 수 있겠군요. 한국말로 나오는 것도 그렇게 많이 못 보면서 이런 생각을 했습니다.

 

 지금 제가 말하려는 건 일본말이에요. 영어는 잘 모르고 가끔 생각할 뿐입니다. 한국 사람이 익히기 쉬운 말에서 하나가 일본말이 아닌가 싶어요. 일본하고 한국 사이 때문에 일본이나 일본말 싫어하는 분도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저도 일본을 다 좋아하는 건 아니예요. 어렸을 때 잠깐 이런 생각했어요. 일본말 공부를 해서 일본 사람한테 한국 소설을 알게 해야겠다는(한국을 좋아하게 만들어야지였던가). 그때 일본말 공부 아주 잠깐 하고 그랬습니다. 좀 큰 꿈이지요. 지금은 그저 일본말로 쓰인 만화나 소설을 보면 된다 생각합니다. 2017년에는 별로 못 봤습니다. 몇해 전부터 일본말로 쓰인 소설 한달에 한권 보려고 했는데. 이것도 마음먹고 해야 하는데, 다른 책을 먼저 보다보면 한달이 훌쩍 가 버렸습니다. 한달이 끝날 때쯤에는 다음 달에는 꼭 두권 보자 했어요. 그렇게 2017년을 보냈습니다.

 

 일본말에 관심 가진 건 더 예전이지만, 일본말을 자주 듣게 된 건 2007년부터예요. 제가 일본말을 읽을 수 있게 된 건 언젠지 잘 모르겠어요. 만화영화를 아주 많이 보다 성우 블로그를 찾아보기도 했어요. 그런 걸 하던 어느 날 보니 무슨 말인지 알겠더군요. 그걸 바로 잘 읽은 건 아니고 더듬더듬. 그것도 참 신기했어요. 공부해야지 하고 한 사람보다 더 오랫동안 만화영화 보고 난 뒤였습니다. 만화영화 <원피스>를 다시 보니 만화책으로 보고 싶더군요. 한국말로 나온 거 보다보니 일본에서는 그게 더 빨리 나온다는 거 알았습니다. 예전에 일본말 공부했다면 좋았을걸 하고는 기초책 조금 봤어요. 그렇게 하고 오랜 시간 뒤에 정말 일본말로 나온 <원피스>를 만났습니다.

 

 꼭 <원피스> 일본에서 나온 걸로 봐야지 하는 생각은 없었어요. 보면 좋겠다 했을 뿐입니다. 저는 혼자 책 보고 익히는 거 잘 못해요. 이건 저만 그런 건 아닐지도 모르겠네요. 학교에 다니면 선생님이 설명해주잖아요. 글을 보고 혼자 잘 익히는 사람도 있겠지만, 선생님이 말로 해주는 걸 들으면 더 잘 기억하지요. 일대일로 배우고 성적이 많이 오르는 건 그래서겠군요. 과외 받아본 적 없지만. 저는 만화영화를 보고 듣고 일본말 익혔습니다. 재미있어서 보다가 그렇게 됐습니다. 일본말 조금 알아듣게 되고는 컴퓨터를 켜지 않고도 일본말 들을 방법 없을까 하다가 EBS 라디오가 생각났습니다. 그때 EBS 일본말 초급 중급이 밤 9시에 해서 듣기에 좋았어요. 책은 사지 않고 들었습니다. 그것도 여러 해(얼마나 들었는지 모르겠습니다). 우연히 알게 된 밴드가 있어서 일본에서 나온 CD도 샀어요. 지금은 CD 듣지 못하고 비싸기도 해서 사지 않지만. 일본말 초급 중급 하기 전에 하는 영어를 가르치는 방송을 듣기도 했어요. 진행하는 사람이 한국말을 영어로 하면 어떻게 되느냐 하면, 저는 마음속으로 영어가 아닌 일본말을 생각했습니다. 무척 열심히 한 건 아니지만 저 나름대로 공부했다고 말하고 싶은가 봐요.

 

 영어를 일본말처럼 익혀볼까 했지만 잘 안 되더군요. 드라마가 저랑 좀 안 맞아서 그랬을지도. CSI 같은 건 괜찮은데. 여전히 영어에 미련이. 쉬운 책이나 영어사전이라도 사서 볼까 하는 생각을 가끔 합니다. 일본말 오래 듣고 익혔지만 여전히 잘 몰라요. 그래도 얼마전에 신기한 일이 있었습니다. 몇해 전에 어떤 소설 앞부분을 공책에 옮겨 써두었어요. 그때 한국말로 옮겨 보려고 했는데 힘들어서 그만뒀습니다. 얼마전에 그거 다시 보고 했더니 예전보다 덜 힘들더군요. 아주 많이는 아니더라도 조금 늘었나보다 했습니다. 하지만 일본말로 쓰인 소설 읽는 속도는 여전히 느립니다. 한달에 한권이라도 보고 속도를 조금 내야 하는데.

 

 다른 나라 말은 관심이 있어야 하겠군요. 일본말은 한국말과 어순이 거의 같아서 익히기 쉽습니다. 한자 때문에 어렵게 느낄지도 모르겠지만, 그건 외우면 됩니다. 무엇을 외우느냐 하면 한자 읽는 거예요. 많이 듣다보면 저절로 기억합니다. 이상하게 예전에 듣고 익힌 건 기억에 남아 있는데 새로운 건 잘 남지 않기도 해요. 제가 외우려 해야 하는데 게을러서. 저는 게으릅니다. 게으른 제가 일본말을 익혔습니다. 말은 거의 안 하고 쓰기도 조금밖에 못하지만. 이런 제가 했으니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시간은 좀 들여야겠지요. 무엇이든 시간을 들이면 조금은 잘 하겠습니다(이 말 여러 번 하는군요).

 

 앞에서 제가 일본말을 말한 건 다른 나라 말 공부하는 것보다 조금 쉬워서였습니다. 자신이 공부하고 싶은 다른 나라 말이 있다면 즐겁게 하세요. 하다 말다 하면 안 되고 날마다 해야 합니다. 자신이 좋아하는 건 누가 못하게 해도 하겠지요. 다른 나라 말 안다고 어디에 쓰나 할지도 모르겠습니다. 다른 나라 말 알아들으면 재미있고 책을 볼 수 있잖아요. 일본말로 쓰인 책 보려면 마음을 먹어야 하는데. 일본은 책, CD 비싸요. 문고는 싸서 저는 거의 문고만 사서 봤습니다. 책이 비싸서 다른 나라 말로 나온 책만 빌려주는 도서관이 있다면 좋겠다고 생각했는데 그런 도서관 만들기 어렵겠지요. 영어로 나온 책은 도서관에 오던데. 지금은 힘들다 해도 시간이 많이 흐른 뒤에 그런 도서관이 시마다 하나쯤 생기면 좋겠습니다. 제가 이 세상에 없을 때라 해도 괜찮아요.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