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속임수
샤를로테 링크 지음, 강명순 옮김 / 밝은세상 / 2017년 4월
평점 :
품절
영국 스카보로경찰서에서 이름이 잘 알려지고 많은 형사가 우러러 보던 형사 리처드 린빌이 은퇴하고 자기 집에서 누군가한테 끔찍하게 죽임 당했다. 형사는 형사가 죽임 당하면 그것을 꼭 해결하려 한다. 그런 건 일본 드라마(원작은 만화나 소설일지도)에서 자주 봤다. 그건 어느 나라나 비슷할 것 같다. 경찰조직에는 안 좋은 것이 있을지라도 같은 일을 한다는 동료라고 생각할 테니 말이다. 스카보로경찰서 케일럽 반장이 리처드 린빌 살인사건 전담반을 맡았다. 런던 경찰국 강력계 형사인 리처드 딸 케이트는 아버지 사건이 어떻게 되는지 보러 온다. 스카보로경찰서는 작고 런던경찰국은 큰가 보다. 사건 관계자는 수사할 수 없다고 하지만 그걸 제대로 지키는 경찰 있을까. 아주 안 되는 건 아닐지도 모르겠다. 자기 감정에 치우치지 않으면 괜찮겠지.
형사는 범인한테 원한을 사기도 한다. 리처드가 형사였을 때 맡은 사건은 많았다. 리처드가 잡은 사람 가운데 데니스 쇼브가 있었는데, 데니스 쇼브는 언젠가 리처드한테 복수하겠다고 했다. 케일럽 반장은 데니스 쇼브를 용의자로 보고 찾았다. 하지만 데니스 쇼브가 리처드를 죽였을 것 같지 않았다. 데니스 쇼브와 별로 상관없는 리처드 옛날 애인 멜리사가 죽임 당하고, 리처드와 함께 일한 노먼은 더 일찍 죽임 당했다. 리처드 딸 케이트는 아버지한테 예전에 잠깐 사귄 사람이 있다는 걸 알고 깜짝 놀란다. 사람이 갑자기 죽으면 그 사람이 알리고 싶지 않은 비밀이 드러나기도 한다. 멜리사는 케이트와 만나기로 한 날 죽임 당했다. 케이트는 아버지와 멜리사 사이에 무슨 일이 있었는지 알고 싶어서 예전에 아버지와 함께 일한 노먼을 만나려 했는데 노먼은 벌써 죽임 당한 뒤였다.
다른 한쪽 이야기도 있다. 상관없어 보이는데, 상관없는 사람이 나올 리 없겠지. 조나스 크레인과 스텔라 크레인은 조나스가 일에 지쳐 잠시 쉬려 했다. 잠시 쉬러 간 곳은 전화도 인터넷도 안 되는 곳이었다. 그곳에 데니스 쇼브가 나타나 조나스와 스텔라 그리고 아이는 위험에 빠진다. 스카보로경찰서에서는 데니스 쇼브가 리처드를 죽였다는 식으로 신문에 냈다. 경찰이 짐작만으로 범인이라 말하다니. 데니스 쇼브는 나쁜 사람이기는 하다. 사귀는 여자를 자기 마음대로 조종하려고 아무하고도 연락하지 못하게 하고 자기 말만 듣게 했다. 이런 남자한테 걸려드는 여자가 있다니. 그 사람은 테리로, 테리는 어렸을 때 아이를 낳고 입양 보냈다. 테리 아이를 입양한 사람이 바로 조나스와 스텔라다. 조나스는 데니스 쇼브가 쏜 총에 맞고 스텔라와 창고에 갇혀 있었는데 스카보로경찰서 제인 형사가 구한다. 제인이 한식구를 구하게 한 건, 제인 식구가 경찰한테서 도움받지 못해서가 아닐까 싶다.
아무리 겉으로 좋게 보이는 사람이라 해도 잘못할 수 있겠지. 예전에 안 좋은 결정을 하지 않았다면 좋았을 텐데. 딸이 아버지와 친하다고 해도 아버지를 다 알 수는 없을 거다. 자식과 부모 사이만 그런 건 아니다. 함께 일하는 사람도 서로가 얼마나 힘든지 알 수 없다. 집안에 사정이 있어서 힘들다는 것만 알뿐이다. 동료를 생각하고 힘을 내서 도와주기도 어려울 것 같다. 힘든 사람이 말하는 이런저런 푸념이라도 들어주면 좋을 텐데, 그런 거 듣기 좋아하는 사람 별로 없겠다. 힘들어도 동료한테는 별 문제없는 것처럼 보이기도 했다. 실제는 무척 힘든데. 그런 모습은 여기에서 자주 보여주지 않는다. 그건 왤까. 숨기려고 그런 걸지도 모르겠다. 제목처럼. 책을 보는 사람은 속고 장애인 동생을 돌보는 제인 형사가 힘들겠구나 생각하게 한다(앞에서는 동생이라는 말도 없고 아들 같은 느낌을 주기도 한다).
여러 가지를 생각하게 한다고 했는데 별로 못 썼구나. 부모 사랑을 잘 받지 못하면 불안정해지고 누군가를 미워하는 사람이 되는 것 같기도 하다(부모한테 사랑 받았는데도 케일럽 반장은 알코올의존증이었구나). 테리가 부모한테 사랑을 받았다면 나쁜 남자를 만나는 일은 없었을 텐데, 범인도 어렸을 때 집에 안 좋은 일이 생기고 부모한테 사랑받지 못했다. 사람 삶은 한번 어긋나면 자꾸 어긋나기만 할까. 다시 바로잡을 수 있을 것 같은데. 그러려면 도와주는 사람이 있어야 하겠다. 아이한테는 그게 부모일 텐데 부모도 약한 사람이다. 자기 슬픔에 빠지기도 한다. 남 때문에 안 좋은 일을 겪어도 남을 미워하는 데 시간을 쓰기보다 자기 삶을 사는 게 더 낫다고 본다. 복수해도 덧없다.
희선
☆―
“자네는 늘 스스로 불행하다고 푸념하지만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주의 깊게 둘러보고 나면 자신의 생각이 얼마나 사치였는지 느낄 수 있을 거야. 우리가 지금 여기 앉아 이야기를 나누는 동안에도 세상에서는 불행한 일이 셀 수 없이 벌어지고 있지. 암에 걸려 사형선고를 받는 사람도 있고, 배우자를 먼저 떠나 보낸 사람도 있을 거야. 갑자기 일자리를 잃는 바람에 살 일이 막막해진 사람도 있겠지. 무척 많은 사람이 얼마나 힘든 형편 속에서 괴롭게 사는지 알아? 그들한테는 살아간다는 것 자체가 견디기 힘든 도전일 거야. 이 세상에서 날마다 장밋빛 삶을 사는 사람은 없어.” (198쪽)
“사람은 언제나 아름다운 모습만 보여주려고 하지. 삶이 아주 망가져갈 때조차도 어두운 실상을 보여주려고 하지 않아.” (57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