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희망장 ㅣ 행복한 탐정 시리즈 4
미야베 미유키 지음, 김소연 옮김 / 북스피어 / 2017년 5월
평점 :
탐정소설을 여러 권 봤는데도 난 사립탐정 하면 살인사건만 해결하는 사람으로 안 것 같다. 이렇게 생각한 건 명탐정 코난 때문은 아닐까 싶기도 하다. 코난 겉모습은 초등학교 1학년이지만 실제로는 고등학생인 쿠도 신이치다. 코난은 대체 몇해나 초등학교 1학년인지. 언젠가는 성탄절 일이 나오기도 했는데, 그러고도 해가 바뀌지 않다니. 이 말은 예전에도 했다. 어쨌든 코난이 가는 곳에서는 언제나 사람이 죽었다. 범인을 알아내는 건 코난이지만 말을 하는 것처럼 보이는 건 어른이다. 코난이 고등학생으로만 보여도 스스로 말했을 텐데. 하지만 코난이 쿠도 신이치 모습으로 돌아가도 문제다. 아직 그 방법을 알아내지 못했지만 검은 조직한테선가 쫓겼다. 아니 죽은 걸로 되어 있던가. 코난이 쿠도 신이치가 되면 이건 끝나겠지. 언제 끝날까. 코난만 보고 탐정을 그렇게 생각한 건 아닌 것 같다. 탐정이 나오는 책에서는 거의 사건을 조사하고 어떤 탐정은 경찰한테 도움을 주기도 했다. 요코미조 세이시가 만든 탐정 긴다이치 고스케도 있구나. 탐정이라고 해서 사건만 해결하는 건 아니다. 무언가 알아봐 달라거나 사람을 찾아달라는 일도 한다. 어떤 탐정은 동물을 찾았던 것도 같다.
스기무라 사부로를 뭐라고 하면 좋을까. 《누군가》 《이름없는 독》 《십자가와 반지의 초상》에 나왔을 때는 탐정이 아니었지만 탐정 같은 일을 조금 하다, 아내와 헤어지고는 사립탐정이 된 사람. 이 책 뒤에 실린 편집후기를 보니 미야베 미유키는 처음부터 스기무라가 혼자가 될 것을 생각했다고 한다. 내가 그걸 느낀 건 《십자가와 반지의 초상》에서였는데. 아니 그것보다 스기무라가 처가와 자신이 어울리지 않는다는 식으로 말했다. 결혼하고 시간이 흘렀는데도. 스기무라가 나오는 책 많이 나온 것 같았는데 이번이 네번째다. 아내가 바람을 피워서 헤어졌다고 하지만 꼭 그것 때문만은 아닌 것 같기도 하다. 아내 아버지 집안하고 문제도 있지 않았을까. 처가와 가까이에서 살지 않았다면 좀 나았을 것 같기도 한데 나도 잘 모르겠다. 스기무라는 결혼하기 전에는 출판사에서 어린이 책을 만들었다. 결혼하고는 아내 아버지 회사 사보 만드는 곳에서 일했다. 그게 결혼하는 조건이었다. 조건이 붙은 결혼은 처음부터 안 좋은 걸까. 스기무라 집안에서는 결혼을 반대하고 연락을 끊었다. 미야베 미유키 책에는 이런 사람이 가끔 나오는 것 같기도 하다.
일본에는 이름이 잘 알려진 탐정이 정말 있을까. 소설에는 그런 사람이 나오기도 하는데. 탐정은 혼자 하는 사람이 있고 회사에서 일하는 사람이 있는가 보다. 스기무라는 큰 회사에서 조사원으로 일하면서 자기 탐정사무소를 열었다. 아는 사람이 소개해서 일을 맡았다. 마지막에는 그 일이 돈이 될까 하는 생각을 했다. 이런 생각을 하다니. 그러고 보니 앞에 나온 책에서도 어쩌다 보니 무언가를 알아봤구나. 네가지에서 세번째 <모래 남자>는 스기무라 사부로가 탐정 일을 하기로 한 일이 나온다. 여기에는 단편이라고 말하기에는 긴 이야기 네편이 실렸다. 첫번째 <성역>은 스기무라와 가까운 곳에 사는 사람이 자기 집 밑에 살던 사람이 죽었다는 말을 들었는데 우연히 길에서 그 사람을 보고 어떻게 된 일인지 스기무라한테 알아봐 달라고 하는 이야기다. 스기무라는 탐정에 어울린다. 예전에는 그런 생각 못했는데, 뭐랄까 사람들한테 이것저것 잘 물어보고 가끔 거짓말도 한다. 형사는 형사다 하는 게 보인다고 하는데 스기무라는 평범한 얼굴이어서 사람들이 경계하지 않는가 보다.
난 스기무라 사부로가 탐정이 되고 뭔가 다른 일을 하려나 한 것 같다. 스기무라가 하는 일은 오래전에 어떤 일이 있었는지 알아보는 일(<희망장>)과 3·11 동일본대지진이 일어나고 사람 찾는 일(<도플갱어>)을 했다. 스기무라가 많은 사람한테 잘 알려져서 손님이 찾아오는 게 아니고 아는 사람이 스기무라를 소개했다. 시간이 흐르면 소문 듣고 오는 사람도 있을까. 이 다음 이야기도 나올지. 두번째 이야기 <희망장>에서 의뢰인은 스기무라한테 세상을 떠난 아버지가 오래전에 사람을 죽였다는 말을 한 게 마음에 걸려서 그 일을 알아봐 달라고 한다. 계획하고 사람을 죽일 때도 있겠지만 무언가에 씌어서 할 때도 있겠지. 사람을 죽이는 것만 그런 건 아닐지도 모른다. 무언가를 훔치거나 누군가한테 나쁜 짓하는 것도 그럴지도. 그럴 때는 참아야 하는데, 참지 못하면 일을 저지르고 만다. <도플갱어>도 비슷한가. 거기서도 충동으로 사람을 죽이고 지진을 이용해서 그것을 묻으려 했다. 히가시노 게이고 소설 《환야》에도 비슷한 게 나왔는데. 난 마지막에서 찾아달라는 사람이 지진이 일어난 걸 이용해서 다른 곳으로 달아난 건가 했다. 그렇게 생각하지 않고 봤다면 알아챘을지도 모를 텐데. 누군가의 마음을. 왜 이런 생각을 했느냐 하면 두번째 이야기는 앞에서 알아채서다. 하지만 세번째 이야기는 이런저런 생각을 했구나.
자신의 식구를 지키려고 사람을 죽이고 그것을 숨기고 살면 괴롭겠지. 죗값이라도 치렀다면 괜찮았을 텐데, 그것을 하지 못한 건 식구 때문이었을까. 스기무라 사부로가 나오는 이야긴데 지금까지 본 미야베 미유키 다른 소설이 떠오르기도 했다. 부모가 감당할 수 없는 아이가 나오는 소설, 여기에도 그런 게 나와설지도. 부모가 아이를 더 사랑한다 해도 어딘가 이상한 아이는 그대롤까. 그건 나도 잘 모르겠다. 그 아이를 생각하는 사람이 있다면 나을 것 같기도 한데, 부모는 그렇게 하는 거 힘들지도. 어떻게 저런 애가 자기한테서 나왔을까 해서. 여기 나오는 일은 큰일이라면 큰일일 수도 있고 우리 둘레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 같기도 하다. 스기무라 사부로는 앞으로도 그런 일을 맡아서 하겠지. 스기무라는 안타까운 일을 겪은 사람이 마음 쓰여도 자신이 해줄 수 있는 게 없다고 생각할 것 같다. 그건 가까운 사람도 마찬가지다. 다른 사람 말을 스기무라가 잘 들어주면 괜찮겠다.
희선
☆―
“할아버지는 나한테 왜 물건을 훔쳤냐고 묻지 않았어요. 그런 건 알고 있다면서.”
─미키오, 어쩐지 짜증이 나서 그랬지?
“바로 조금 전까지는 그럴 생각이 하나도 없었는데 정신이 들어보면 나쁜 짓을 하고 있을 때가 있다고 했어요. 그런 거, 할아버지는 안다고.”
─하지만 다시는 하지 마라. 아무리 짜증이 나도, 해서 안 되는 일은 절대로 해서 안 돼. 너만 한 나이일 때 그런 걸 제대로 배워둬야 하는 거란다.
“그러지 않으면 터무니없는 것에 씌어서 터무니없는 일을 저지르게 된다, 고.” (<희망장>에서, 204~205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