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서 그는 바다로 갔다
김탁환 지음 / 북스피어 / 201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은 누구나 혼잡니다. 가까이에 누군가 있어서 외로움을 느낄 틈이 없는 사람이 아주 없지 않을지 몰라도, 그런 사람도 어느 날 문득 ‘외롭다’는 생각을 할 거예요. 그래서 사람은 때로 홀로 때로는 누군가를 만나 마음을 나누기도 합니다. 그런 것을 힘들게 생각하는 저도 인터넷에서 누군가와 이야기를 나누면 기분이 좋습니다. 안 좋은 생각에 빠져 우울할 때도 가끔 있지만, 그런 건 책을 보면 바로 사라지기도 합니다. 저는 책을 만나면 괜찮지만, 책이 아닌 사람을 만나야 앞으로도 살아야겠다 생각하는 사람도 있을 거예요. 어쩌면 세상에는 그런 사람이 더 많을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런 사람을 잘 알아보는 사람이 있다면 좋을 텐데. 시간이 지나고 나서야 깨달을 때가 많지 않나 싶어요. 김탁환도 그런 것 같습니다. 아니 기다려주리라 믿었겠지요, 김관홍이. 조금만 참으면 자주 만날 수 있다 생각했겠지요. 사람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 마음 다 모릅니다. 우울함이나 외로움은 누군가 어떻게 해줄 수 있는 게 아니기는 해요. 자기 스스로 거기에서 벗어나려고 해야 하는데 그건 쉬운 일이 아닙니다.

 

 지난해 《거짓말이다》를 보고 세월호 참사 때 중요한 일을 한 민간 잠수사를 알게 됐습니다. 김탁환은 <416의 목소리>라는 팟캐스트를 할 때 민간 잠수사 김관홍을 만나고 소설을 썼어요. 제가 이 책을 보고 생각한 건 다른 사람한테 이야기 듣고 어떻게 소설을 쓸까 하는 거였습니다. 아니 그런 생각도 했지만 소설을 쓰려고 자료 찾기뿐 아니라 많은 걸 본다는 걸 알았습니다. 여기에 소설 이야기가 많아서 이런 생각을 한 것 같은데. 그렇다고 이 책이 《거짓말이다》를 쓰는 이야기만은 아닙니다. 그렇게 보이기도 하지만. 《거짓말이다》에 나오는 민간 잠수사 나경수 모델이 민간 잠수사 김관홍이라지요. 김관홍은 그 소설이 나오는 것을 못 보고 세상을 떠났습니다. 김탁환이 소설을 쓰고 싶다 했을 때 김관홍은 2016년 7월에 책을 내달라고 했는데. 김관홍이 세상을 떠나고 한국에는 여러 가지 일이 있었습니다. 김관홍이 살아서 그런 것을 다 봤다면 마음이 조금은 나아지지 않았을까 싶기도 해요. 아직 세상이 아주 달라진 건 아니지만, 조금씩 바뀌겠지요.

 

 소설 《거짓말이다》를 보고 민간 잠수사가 세월호 희생자를 배 안에서 모시고 온 일을 힘들게 여기고 마음 아파했다는 걸 알았습니다. 민간 잠수사는 희생자한테 감정이입을 한 거겠지요. 사람을 구하는 일이었다면 좀 나았을지, 산 사람이 아닌 죽은 사람을 모시고 나와야 했습니다. 그런 모습을 보고 죄책감을 느낀 건 아닐지. 그때 그런 마음이 한국사람한테는 다 있었겠지요. 민간 잠수사는 보통 사람보다 더 가까이에서 희생자를 만났습니다. 저는 어두운 물속에서 희생자를 찾는 게 어떤 건지 모릅니다. 그건 해 본 사람만이 알겠지요. 민간 잠수사한테 돈을 많이 준다는 말이 떠돌기도 하고 희생자 식구가 보상금을 받는 것을 안 좋게 여긴 사람도 있었습니다. 자신이 그런 일을 겪는다면 그런 말 못할 텐데, 자기 일이 아니기에 그런 거겠지요. 세월호 희생자 식구나 민간 잠수사는 돈보다 처음부터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았기를 바랐을 겁니다. 아무리 시간이 흘러도 피해자 식구 마음은 아플 거예요. 남의 아픔이라고 해서 자신과 상관없다 여기기보다 함께 아파하면 좋겠습니다.

 

 김탁환이 떠올리는 김관홍을 보니 쓸쓸했을 것 같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김관홍이 사람 만나기 좋아하고 남한테 도움이 되는 일을 하려 했지만. 전 김관홍이 무언가 열심히 하려고 하기보다 다른 거 생각하지 않고 잠시 동안 쉬었다면 어땠을까 싶어요. 아니 김관홍은 쉴 수 없는 성격이었을지도 모르겠네요. 이제는 김관홍이 덜 쓸쓸하기를 바랍니다. 저세상에서 세월호 희생자를 만나 이야기 나누지 않았을까요. 이런 일 있을지 없을지 모르겠지만, 만났기를 바랍니다. 제가 산 사람이어서 이런 생각을 했군요. 시간이 나면, 만나고 이야기 해야지 하지 말고 생각났을 때 바로 하는 게 좋습니다. 사람 일은 한치 앞을 알 수 없잖아요. 누군가한테 말해서 마음이 풀리기도 하지만 자기 마음을 잘 들여다보기도 중요합니다. 저도 잘 못하지만. 다른 사람을 만나지 못할 때는 편지를 쓰면 어떨까요.

 

 지난 2014년 4월 16일에는 한국사람이 모두 마음을 다쳤습니다. 그것은 쉽게 낫지 않으리라고 봅니다. 힘들다 해도 그 일 잊지 않아야 해요. 다시는 같은 일이 일어나지 않게 해야 합니다.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늘 부지런하게 지내던 사람이 어느 날 게으름을 부렸더니 그것도 괜찮더라 하면 좋을 텐데 난 그렇지 않다. 어렸을 때는 좀 달랐던 것 같기도 한데 지금은 게으르다. 게을러서 이것저것 많이 못한다. 하기 싫어서 안 하는 거기도 하다.

 

 중학생 때였나 이런 말을 들었다. 자신이 좋아하는 걸 하려면 싫어하는 것도 해야 한다는. 그때는 이 말 좋게 들려서 내가 하고 싶지 않은 것도 하려 했다. 언제부턴가 그 말 맞을까 했다. 아니 꼭 그렇게 해야 해 했다. 지금 생각하니 내가 그 말 잘못 알아들은 것 같다. 그 말은 단순하게 하기 싫은 걸 하면서 언젠가 하고 싶은 걸 하려고 참는 게 아니고, 자신이 좋아하는 걸 해도 하기 싫은 게 있다는 말은 아닐까. 내가 이걸 예전에 깨닫고 하고 싶은 것만 한 건 아니다. 어렴풋이 그런 생각을 하고 지금까지 왔다. 나처럼 하면 아무것도 안 된다. 이런 창피한 말을. 사실이 그러니 안 할 수 없다. 난 그저 나로 살까 한다.

 

 앞에서 한 말과 게으른 게 무슨 상관일까 하겠다. 그러게 말이다. 좋아하면 다른 거 생각하지 않고 거기에 빠져서 할 테지만 늘 그럴 수는 없다. 이건 나만 그런가. 좋아도 난 왜 이렇게 못하지 하는 생각에 빠지고, 그럴 때는 더 게을러지는 것 같다. 잠시 게으름 부리고 나면 다시 하고 싶은 마음이 생긴다. 빨리 많은 걸 하려고 하기보다 시간을 두고 조금씩 천천히 하는 게 좋다.

 

 사람마다 속도는 다르다. 사는 속도일까. 누군가는 빨리 해도 쉽게 지치지 않을지도 모르겠지만, 누군가는 천천히 해야 끝까지 할 수 있기도 하다. 그렇다고 빨리 할 사람은 빨리 하고, 천천히 할 사람은 천천히 하라는 건 아니다. 빠르든 느리든 힘을 한번에 쓰지 않고, 다른 사람과 견주지 않아야 한다.

 

 예전에는 게으른 것을 안 좋게 여기기도 했는데 지금은 앞으로 나아가려면 게으르기도 해야 한다고 말한다. 난 아주 천천히 가지만, 조금씩이라도 날마다 하면 괜찮다고 생각한다.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여름이 오고 해가 질 무렵이면 잠시 걷기도 했는데 며칠 동안은 시간이 나지 않아 걷지 못했다. 날마다 하던 걸 하지 않으니 몸이 굳는 것 같아 해가 저물고 한참이 지난 밤에 걷기로 했다.

 

 준비를 하고 난 밖에 나갔다. 어두운 밤인데도 낮의 열기가 다 가시지 않았다. 어느 쪽으로 갈까 하다 길을 건너 아파트 옆길을 걸었다. 아파트 둘레에는 나무가 있어서, 밤에 보는 나무도 괜찮다. 아니 조금 무서워 보이던가. 그건 가로등이 없을 때겠지. 내가 걷는 곳에는 가로등이 제대로 들어왔다.

 

 불이 모두 꺼진 어린이집 옆을 걷는데 희미하게 전화벨 소리가 들렸다. 어린이집에서 좀더 앞으로 걸어가면 아파트로 들어가는 어귀 왼쪽에 공중전화가 있다. 내 생각대로 전화벨 소리는 거기에서 나는 거였다. 길에는 아무도 없었다. 난 전화를 받을까 말까 망설이다 무서워서 그곳을 빨리 지나갔다. 집에는 다른 길로 왔다.

 

 꿈을 꾸었다. 지난 밤에 산책할 때 일어난 일 그대로였다. 한가지 다른 건 내가 전화를 받은 거다. 집에 걸려오는 전화도 잘 받지 않는 내가 꿈속에서는 아무렇지 않게 전화를 받다니. 전화를 건 사람이 누군지는 알 수 없었다. 잠에서 깨고는 꿈을 거의 잊어버렸다. 하지만 전화를 받은 내가 즐거워했다는 건 생각났다. 난 무엇이 즐거웠던 걸까.

 

 밤 산책은 겨우 하루 하고 그만뒀다. 전화벨 소리가 들리면 마음 쓰일 거다. 그 공중전화는 다른 데서 걸 수 없다. 혹시 내가 모르는 세상에서 걸려오는 걸까. 공중전화가 없는 곳으로 걸을까도 생각했는데 하지 않기로 했다. 밤에 밖에 나가면 전화가 올지 오지 않을지 알고 싶을 것 같다. 그러다 난 그 전화를 받을지도 모른다.

 

 얼마전부터 한밤에 공중전화에 걸려온 전화를 받은 사람이 어디론가 사라진다는 소문이 들리고, 밤이면 바깥에서 모든 공중전화가 한꺼번에 울리는 듯한 소리가 들렸다.

 

 

 

*더하는 말

 

 난 밤늦게 깨어있기만 하고 밖에 나가지 않는다. 밤에 돌아다니는 거 싫어한다. 아파트 어린이집 공중전화는 집을 나가 길을 건너면 있다. 쓰다보니 아주 없는 것보다 실제 있는 곳을 쓰는 게 낫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몇해 전에 이걸 생각하고 전화를 받는 걸로 하려 했는데 이번에 썼더니 전화를 받지 않는 게 됐다. 얼마전에도 이걸 써 보려고 생각했는데, 아주 다른 이야기가 떠올라서 그걸 먼저 썼다(그건 뭘까, 이렇게 말하면 모르겠구나. 거기에 전화를 거는 게 나온다). 이걸 다 쓰고 나중에는 전화 받는 걸 쓰면 어떨까 했다. 언젠가 그걸 쓸지 안 쓸지 나도 모르겠다. 이런저런 생각은 나는데 정리가 잘 안 된다. 머릿속으로 정리하고 쓰기보다 그냥 쓰는 게 나은 것 같다. 시작하기 힘들지만.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좋아하는 것은

 

 물음이 뭐 이래, 내가 물어본 거지만. 며칠전에 자면서 생각했던 건데, 자고 일어나서는 생각하기보다 써야 했다 했어. 그때 이것저것 생각하고 그걸 써야지 했거든.

 

 내가 좋아하는 것에는 뭐가 있을까. 그런 거 벌써 쓰기도 했어. 편지쓰기, 우표, 책읽고 쓰기. 아니 책 이야기는 그렇게 많이 못한 것 같기도 해. 말하려 해도 아주 괜찮은 건 별로 없지만. 요새 책 별로 못 읽고 있어. 이거 쓰느라고.

 

 얼마전에 말한 건데 난 라디오 듣기 좋아해. 이것도 어렸을 때부터 하고 지금도 하는 거야. 어렸을 때는 좋아하는 방송이 있었는데 지금은 그냥 들어. ebs 라디오 방송 개편하기 며칠전에 이런 생각을 했어. 윤덕원이 하던 <시 콘서트> 조금밖에 못 들은 거 아쉽다고. 문득 그런 생각을 했는데 ebs FM 라디오가 개편한 첫날 낮 2시에 방송을 하더군. 윤덕원이 말이야. 방송 제목은 <인생 라디오>야. 그때 무척 신기했어. 다른 건 시간이 될 때 들어도 <인생 라디오>는 챙겨들어.

 

 윤덕원이 누구, 할지도 모르겠네. 나도 잘 아는 건 아니야. 윤덕원은 브로콜리너마저라는 밴드 해. 그걸로 알게 됐다기보다 앞에서 말한 <시 콘서트> 듣다가 알고, 브로콜러너마저에도 조금 관심 가진 것 같아. 처음에 윤덕원은 <시 콘서트>에 하루만 나와서 주제에 맞는 시를 가지고 와서 읽었어. 그것도 늘 들은 건 아니고 들을 수 있을 때 들었어. 그때 그 방송한 사람은 강성연이고 방송 이름도 달랐던 것 같은데, 찾아보니 1부는 <어른을 위한 동화>고 2부는 <시 콘서트>였어. 강성연이 아이를 낳으려고 쉬게 되고는 윤덕원이 했어. 그걸 알았는데도 잘 못 들었어. 아침에 해서. 다시 라디오 방송하게 돼서 반가웠어.

 

 앞에서 윤덕원이 다시 방송하게 됐다고 했는데, 내가 모르는 방송한 적 있는 것 같더군. 내가 좀 그래, 들을 수 있으면 듣는. 이건 좀 방어하는 것인데, 어쩌겠어 내가 이렇게 된 걸. 예전에 즐겨듣던 라디오 방송 진행자가 바뀌면 무척 섭섭했거든. 많이 좋아하지 않아도 그런 일이 일어나면 섭섭한데, 그건 시간이 흐르면 괜찮기는 해. 지금은 섭섭한 마음을 느끼지 않으려고 아주 좋아하는 라디오 방송 만들지 않아. 그렇구나, 이거였어. 아주 좋아하는 작가가 없는 것도 그런 것 때문일지도 모르겠어. 말은 이렇게 해도 무슨 일 있으면 아쉽기도 해. 그런 일도 겪고 사는 거지.

 

 자신이 좋아하는 게 없어지거나 누군가와 헤어지는 일을 먼저 생각하기보다 그때를 잘 지내는 게 낫겠지. 나도 그럴까 해. 앞으로 윤덕원이 하는 <인생 라디오> 즐겁게 들을 거야.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며칠 전에 인터넷에서 값싸고 마음에 드는 작은 책상을 샀다고 했는데, 그때는 그걸 받기 전이었다. 나한테 온 걸 보니 크고 높다. 60×40×27cm인데 쓰던 건 이것보다 작다. 크기는 괜찮은데 좀 높다. 책 보기는 그럭저럭 할 수 있겠지만 뭔가 쓸 때는 안 좋을 것 같다.

 

 인터넷으로 보기에는 좋아도 실물을 보면 마음에 들지 않을 때가 많다. 그래서 인터넷으로 무언가 사는 건 꺼리기도 한다. 살 때는 인터넷이 있어서 좋구나 하고는. 내가 잘못했다. 쓰던 거 높이를 잘 재고 그것과 같은 것을 찾았다면 좋았을 텐데. 대충 재어 보고 사려는 게 그렇게 높지 않겠지 했다. 1, 2cm라도 높으면 쓰기에 아주 안 좋은데. 앞으로 어쩌면 좋을까. 무언가 두께가 있는 걸 깔고 앉을까. 처음으로 내가 산 작은 책상인데 잘못하다니.

 

 벌써 사고 받기도 했는데 좀더 작은 건 없었을까 찾아봤다. 하나 있었다. 그건 좀 비싸고 다리가 마음에 들지 않았다. 다시 살 수도 없는데 그런 걸 찾아보다니 나도 참 우습다. 난 한번 쓰면 그것을 오래 쓰려고 한다. 새 것이 좋기는 해도 사려고 보면 마음에 드는 게 없고 좀 괜찮다 여기고 사면 괜히 샀다 한다. 지금까지 그런 일이 많았던 건 아니다. 그냥 쓰던 거 다리 떨어지지 않게 조심해서 쓸걸.

 

 내가 잘못한 건 더 찾아보지 않고 결정한 거다. 이걸 살까 말까 하는 시간을 더 갖고 쓰던 것과 크기가 비슷한 게 없는지 더 찾아봐야 했다. 어쩌면 이런 잘못 앞으로도 할지 모르겠다. 그러지 않으려면 좀더 생각해야겠지. 조금 싸다고 바로 결정하면 안 된다(싸다 해도 만원이 조금 넘는다). 하루나 이틀 지나면 마음이 바뀌기도 한다. 시간이 가고 나서도 마음에 들면 그때 사야 한다. 며칠전 새벽에는 왜 이런 생각 못했을까.

 

 물건 사는 것만 그런 건 아니다. 어떤 걸 할 때도 막 불이 붙기도 한다. 그런 건 일찍 꺼진다. 천천히 불 붙고 그 열기가 오래 가면 좋겠지. 어쩌면 때와 곳에 따라 다를지도 모르겠다. 살면서 실패도 해야지 늘 잘되기만 하면 안 되겠다. 일곱번 쓰러져도 여덟번 일어나기니까.

 

 

 

*더하는 말

 

 하루 전날 글을 썼지만 바로 올리지 못했다. 안 좋은 일이 있어서. 이런 일은 어쩌다 한번 있을지도 모르겠다(얼마전에 한번 있었구나). 여기에 올리지 못하는 것뿐이고 글을 쓴다면 괜찮겠지.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