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젠가는 이 날이 찾아오리라 생각했다. 아침에 눈에 떴을 때, 문득 ‘아 오늘이구나’ 했다. 다행하게도 아파서 고생하지는 않았다. 다만 한달쯤 전부터 무언가 먹어도 맛을 느낄 수 없었다. 먹고 싶다는 마음도 들지 않아 물만 마셨다. 사람이 물만 마셔도 한달은 살 수 있다던가, 아니 보름인가. 그렇다 해도 난 그것과는 달랐다.

 

 한때는 정리를 못해서 집안이 좀 엉망이었다. 그런 집에 누가 찾아오는 것도 싫고 나도 딱히 어딘가에 가고 싶지 않았다. 늘 정리해야지 해야지 하면서 못하다가 마음먹고 했다. 한번에 하지 않고 오랜 시간을 들여서 조금씩 했다. 그랬더니 어느 순간 집안이 조금 나아졌다. 그래도 책은 버리지 못했다. 가지고 있는 것을 더 늘리지 않으려 애썼다.

 

 무엇이든 한번에 하기보다 꾸준히 조금씩 하는 게 낫다. 하루하루 사는 것도 그것과 다르지 않다. 지금까지 내가 이룬 건 별거 없다. 그저 내가 하고 싶어서 한 것밖에는. 그게 누군가한테 아주 조금이라도 도움이 됐을까. 그것도 모르겠다. 아니 한사람 있다. 그건 바로 나 자신이다. 내가 한 게 나한테라도 도움이 됐다면 괜찮은 거 아닌가. 아쉬움이 아주 없는 건 아니다. 좀더 잘해서 인정받을 수도 있었을 텐데. 거기에서 자유로워지고 싶다 했으면서도 끝내 벗어나지 못했나 보다.

 

 앞으로 하루가 열다섯시간쯤 남았다. 열다섯시간 동안 뭘 할 수 있을까. 내 소식을 기다리는 친구한테 짧게라도 마지막 편지를 써야겠다. 편지쓰기는 내가 평생동안 한 거다. 답장 받는 것도 좋았지만 쓰는 것만으로도 좋았다. 마지막 편지라고 하면 그걸 받는 사람이 놀라겠지만 어쩔 수 없다. 마지막 인사를 할 시간이 있다는 게 어딘가. 아무 말도 하지 못하고 마지막 날인지도 모르고 떠나는 것보다는 낫다.

 

 사는 동안 좋은 일도 힘든 일도 있었다. 누구나 그런 시간을 보내고 자라고 단단해지겠지. 하루하루 지낼 때는 느리게 가는 시간이었는데 뒤돌아보니 순식간이구나. 내가 혼자라도 그리 쓸쓸하지 않았다는 걸 알았으면 좋겠다. 나한테는 편지 쓸 친구와 책이 있었다. 그것만으로도 괜찮았다.

 

 

 

희선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7-10-20 19:0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10-21 23:01   URL
비밀 댓글입니다.
 

 

 

 

 책상을 새로 사는 건 언제일까. 학교에 들어갈 때거나,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올라갈 때,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올라갈 때. 새 집에 살게 되어도 책상 살 것 같다. 지금까지 난 책상 새로 산 적 없다. 처음 쓴 것은 친척 어른이 사준 거지만, 그 뒤에는 사지 않았다. 난 책상을 그렇게 중요하게 여기지 않은 것 같다. 커다란 책상을 가지고 싶다고 한 사람도 있던데.

 

 어렸을 때 친척 어른이 사준 책상은 의자에 앉는 거로 책꽂이에 서랍도 있다. 중, 고등학교에 다닐 때 거기 앉아서 공부하거나 편지 썼다. 어쩐지 그 책상 앞에 그렇게 오래 앉아 있었던 것 같지 않다. 왜 그런가 생각해보니 거의 학교에 있어서였다. 나중에는 책상보다 물건 올려두는 것이 되었다. 그렇다고 내가 책을 읽지 않고 편지를 쓰지 않은 건 아니다.

 

 내가 책을 읽기 시작한 건 고등학교를 마치고다. 책 읽을 때야말로 책상이 있어야 하는데, 그때는 책상이 아닌 쓰지 않는 상 위에서 책을 봤다. 의자가 아닌 바닥에 앉아서 이것저것 했다. 기억이 다 나지 않지만 그랬던 것 같다. 상도 없어서 베개를 다리에 올려놓고 책을 보거나 편지 쓴 적도 있다.

 

 언제부터 작은 책상을 쓰게 됐는지 모르겠는데, 한사람이 쓰는 밥상 만한 책상이 집에 있어서 그걸 펴고 책 읽고 편지를 썼다. 잘 때는 접어두었는데 몇해 전에 물난리가 나고 그게 물에 빠지고는 판이 휘었다. 휘어서 가운데가 들어갔지만 못 쓸 정도는 아니었다. 몇해 동안 잘 썼는데, 올해 다리 하나가 빠졌다. 나사못으로 다리를 움직이지 않게 해서 썼다. 그것이 시간이 가니 나사못이 자꾸 빠지고 더는 못 쓰게 됐다. 이걸 어쩌나 하다가 인터넷에서 찾아봤다. 몇해 전에 찾았을 때는 없었는데(못 찾은 거겠지), 이번에는 값싸고 마음에 드는 거 하나 찾았다.

 

 무언가 새로 시작하거나 새 집에 살게 된 건 아니지만, 내가 쓸 작은 책상을 새로 사서 기쁘다. 이름이라도 지어줄까, 그냥 책상이라고(개 이름을 그냥 개라고 지은 소설이 생각난다). 앞으로는 그것을 펴고 책을 읽고 글을 쓰겠다. 이것저것 쓸 게 많이 떠오르면 좋겠다.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괴괴한 날씨와 착한 사람들 문학과지성 시인선 495
임솔아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인 임솔아는 시 쓰고 소설을 쓴다니 어쩐지 부럽네. 소설은 아직 못 만났지만, 언젠가 만날 수 있을지. 임솔아 시집을 보고 생각한 건, 여전히 시를 잘 모르겠다야. 잘 못 알아듣는 내가 문제겠지. 어떤 시는 보다보면 영상이 떠오르기도 하는데, 그게 뚝 끊기기도 해. 문득 이런 거 자주 본다는 걸 깨달았어. 그건 꿈이야. 꿈에서는 여기 갔다 저기 갔다 정신없기도 하잖아. 그렇다고 그게 아주 상관없는 건 아니기도 하지. 이렇게 말해도 난 내 꿈이 말하는 게 뭔지 잘 모르겠어. 어떤 때는 꿈이 잘 생각나지만 어떤 때는 꿈이 하나도 떠오르지 않아. 좋은 꿈 꾼 것 같은 날도. 그땐 좀 아쉬워. 다른 거 하는데 꿈속 장면이 떠오를 때도 있어. 아침에 꾼 꿈이 밤에 갑자기 생각나는 거지. 그냥 그뿐이야. 그걸 떠올린다고 무언가를 알지도 않고 선명하게 떠오르지도 않아. 꿈은 그래도 시는 바로 사라지지 않겠군.

 

 

 

오늘은 내가 수두룩했다.

스팸 메일을 끝까지 읽었다.

.

.

.

 

오늘은 내가 무수했다.

나를 모래처럼 수북하게 쌓아두고 세어보았다.

혼자가 아니라는 말은 얼마나 오래 혼자였던 것일까.  (<모래>에서, 1연과 9연 10~11쪽)

 

 

 

 ‘오늘은 내가 수두룩했다.’는 말을 보니, 자신 안에 자신이 아주 많다고 한 말이 떠올랐어. 그런 뜻으로 쓴 걸지. 자신 안에 자신이 많으면 더 괴로울까. 남이 들어올 자리를 만들어야 한다고도 하는데. 자신 안에 자신이 많다는 건 자신만 힘들다 생각하는 것인지. 그게 그렇게 나쁠까. 이런 말은 시집하고 하나도 상관없군. 이런 일이 한두번이 아니기는 해. 어떤 때는 좋은 말이 좋게 들리지만 어떤 때는 좋은 말이 거짓처럼 들리기도 해. 거짓처럼 들리는 건 내 마음이 안 좋아서 그런 거겠지. 뭐든 좋게 보려고 하면 다 좋게 보이고 안 좋게 보려고 하면 다 마음에 들지 않을 거야. 언제나 좋게 보고 생각할 수 있다면 좋을 텐데, 가끔 어우둔 내가 내 마음속에서 속삭여.

 

 

 

살의를 느꼈나요? 기자는 물었다. 필리핀의 열두 살 킬러는 머리를 긁적이다 고개를 저었다.

동생들이 굶고 있어서요, 방아쇠만 당겼을 뿐인데요.

미안하지 않았어요? 그 사람도 식구가 있었을 텐데.

제가 아니라면 다른 사람이 돈을 받았을 테죠.  (<살의를 느꼈나요>에서, 70~71쪽)

 

 

 

 문을 열어둔 가게에 쥐가 들어왔어. ‘나’는 쥐를 잡으려 하지만 쉽지 않아. ‘나’는 쥐를 보면 죽여야겠다 생각해. 이렇게 이어지는 시에 다른 이야기가 끼어들어. 열두 살 아이가 사람을 죽인. 그 아이는 동생이 굶어서 그랬다고 하는군. 이건 지금도 이 세상 어딘가에서 일어나는 일이야. 어린이가 전쟁을 하다니. 먹고사는 게 중요하지만 다른 것도 생각해야 할 텐데, 어릴 때부터 전쟁을 알면 사람 목숨이 소중하다는 걸 모를지도 모르겠어. 아무리 살의가 없다 해도 아무렇지 않게 사람을 죽여도 괜찮을지. 이거 조금 슬픈 이야기군. 나중에 ‘나’는 쥐를 잡았을까. 아니 잡기보다 죽였을지도.

 

 시 여러 편에 개 이야기가 담겼어. 임솔아는 개를 좋아하나 하는 생각을 잠깐 했어. 기르던 개가 죽은 적도 있는 듯해. 개나 고양이 같은 동물은 사람보다 먼저 세상을 떠나지. 그때 무척 슬플 거야. 시에서 말하는 개는 한마리일지 여러 마리일지. 어떤 때는 주인 없는 개를 만나기도 해. 그 개를 집에 데리고 가고 싶어하는 눈치였는데 그 뒤에 어떻게 됐을지. 여기에는 나중에 어떻께 됐을지 알고 싶은 시가 여러 편 있어. 그런 건 시를 보는 사람이 상상해야 하는 건가. 제목이 <아홉 살>인 시에서는 컴퓨터 게임을 말하는 것 같으면서도 아홉 살 아이가 개미를 죽이는 게 떠오르기도 했어. 마지막은 현실 같았어. “미안하지가 않다. / 약간의 사고와 불행은 나의 시민들을 더 성실하게 했다. (<아홉 살>에서, 43쪽)” 이런 일 정말 있지. 사람은 재해를 당하면 힘들어도 다시 살려 하잖아. 그런 게 좋아 보이기도 하지만. 막을 수 있는 일도 있을 텐데.

 

 여기 실린 시는 여러 번 봐야 조금 알 것 같기도 해. 다는 아니고 조금이야. 어떤 시든 한번보다 여러 번 만나면 더 좋겠지.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무날이 넘게 하루도 쉬지 않고 글을 썼는데, 백일 다 채울 수 있을까. 아무 일 일어나지 않는다면 억지로라도 할 수 있을 테지만. 올해 지나간 백일 정도는 별일 없이 지내기는 했다. 지나간 날은 운이 좋았던 게 아닌가 싶다. 앞으로도 운이 좋으면 좋겠지만 어떻게 될지 나도 잘 모르겠다. 그렇다고 지금 그만두겠다는 건 아니다. 할 수 있는 데까지 할 거다.

 

 책을 읽고 쓰는 게 하나하나 늘어나는 것을 보면 기분 좋다. 책을 보고 쓸 때는 조금 힘들고 잘 쓰지 못해서 아쉽지만. 날마다 쓰는 것도 잘 쓰지 못했지만 쉬지 않고 써서 기분 좋았다. 책 읽고 썼던 거 다시 따로 정리한 느낌이 조금 들기도 하지만. 내가 관심 갖고 쓴 게 아주 많이 다르지 않아서 그럴 거다. 이것저것에 관심을 가지는 것도 좋고 하나를 파고드는 것도 좋다고 생각한다. 내가 한가지를 깊이 파고든 건 아니지만. 이어지지 않고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것도 어느 순간 이어지기도 한다. 그런 거 소설에서 볼 수 있구나. 그런 소설은 정신차리고 읽어야 한다. 소설은 딱 맞아 떨어지기도 하지만 삶은 그렇게 안 된다. 그래서 글을 써서 정리하려는 걸까.

 

 날마다 글쓰기를 하고부터 쓸 게 없는 것보다 무슨 일이 생기면 어떡하지 하고 걱정했다. 그런 내가 좀 우습기도 하다. 일이 생기면 생겼나보다 하면 좋을 텐데. 그게 잘 안 돼서 걱정한 거기는 하다. 아무 일 없는 하루하루가 얼마나 좋은 건지 무슨 일이 일어나지 않으면 모른다. 이런 말을 하는 나는 아는 걸까. 조금은 아는 거겠지. 내가 바라는 게 그것이니까. 지루하고 재미없다 해도 별일 없는 하루하루가 되기를.

 

 만약 무슨 일이 생겨서 글을 쓸 수 없게 되면 백일 채우지 못하면 어떤가 해야겠다. 앞으로 글을 아주 쓰지 않을 것도 아닌데, 책 읽고 쓰는 것도 여전할 거고, 생각날 때마다 써도 괜찮겠지. 어쩐지 마지막처럼 말했다. 앞에서도 말했듯 이게 마지막은 아니다.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달리고 싶다. 언제쯤 난 바람을 가르고 달릴 수 있을까.

 

 내가 왜 달릴 수 없는지는 아주 잘 안다.

 

 몇달 전에 난 자전거 가게에 서 있었다. 그곳에 남자아이와 아버지인 듯한 사람이 왔다. 남자아이는 종우라고 하고 곧 중학생이 돼서 아버지가 자전거를 사준다고 했다. 종우는 가게에 서 있는 자전거를 둘러보다 나를 보았다. 난 잘 보이려 했다. 종우가 내게 다가왔다.

 

 “아빠, 여기 이 자전거로 할래.”

 

 “그래, 그게 마음에 들어.”

 

 집으로 올 때 종우는 나를 탔다. 자전거 가게가 아닌 세상을 보는 건 즐거웠다. 이대로 어디든 갈 수 있을 것 같았다. 하지만 나 혼자서는 아무데도 갈 수 없다.

 

 한동안은 같은 길을 다녔다. 종우가 학교에 갔다 올 때 나를 탔다. 그때는 다른 자전거도 보았다. 다들 자기 모습을 뽐내고 달리는 것처럼 보였다. 나도 다르지 않았다.

 

 종우가 처음 나를 타고 학교에 간 날 종우 친구가 나를 보더니 한마디 했다.

 

 “그 자전거 멋지다.”

 

 “괜찮지. 이거 타고 달리는 기분도 좋아.”

 

 어느 날부터 종우는 학교에 갈 때 나를 타지 않았다. 종우 다리 한쪽은 하얗고 다른 쪽 다리보다 두꺼웠다. 종우는 학교에서 잘못해서 다리를 다쳤다. 그날은 종우 친구가 나를 타고 집에 왔다.

 

 아침에 학교에 갈 때마다 종우는 나를 바라봤다. 타고 싶은데 탈 수 없어서 아쉬워하는 모습이었다.

 

 “휘유. 다리 언제 다 나으려나.”

 

 종우는 나를 보고 혼잣말을 하고는 학교에 갔다.

 

 나도 종우 다리가 빨리 낫기를 바란다. 종우와 함께 파란하늘 아래를 힘껏 달리고 싶다.

 

 

 

희선

 

 

 


댓글(3)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그장소] 2017-10-16 23:4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오늘의 희선님은 누군가의 자전거였군요. 아쉬움 가득한 시선을 주고 받는 ...

희선 2017-10-17 01:47   좋아요 1 | URL
자전거는 어딘가를 다녀야 좋겠죠 한곳에 있으면 심심할 테니...
곧 달릴 수 있겠죠


희선

[그장소] 2017-10-17 09:16   좋아요 1 | URL
네~ 시선만 주고 받으며 서 있음 쓸쓸할지도... 찌릉 찌르릉 달려야 할테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