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보다 : 여름 2024 소설 보다
서장원 외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 보다로 철이 바뀌는 걸 알게 되기도 하지만, 그때 못 보고 늘 나중에 보는구나. 이번 여름 건 물결과 파란색 때문인지 바다가 떠오르는구나,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설 보다 : 여름 2024 소설 보다
서장원 외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제부터 소설이 나왔는지 모르겠지만, 사람은 소설이 나오기 전에도 이야기를 좋아했다. 글로 쓰지 않고 입에서 입으로 전해진 이야기도 많으니 말이다. 이야기를 책으로 안 본다고 해도 이야기 싫어하는 사람은 별로 없을 거다. 어릴 때는 좋아하고 나이를 먹고 이야기와 멀어지는 사람이 있겠다. 난 어릴 때 책을 안 봐서. 이야기를 책으로 보면 저마다 상상한다. 영상은 보여주는 대로 받아들일 테니 상상은 많이 하지 않겠다. 영상을 만드는 사람은 그걸 보는 사람보다 상상력이 많을 것 같다.


 몇달이 가고 《소설 보다 : 여름 2024》가 나왔다. 소설은 다른 때와 똑같이 세편 담겼다. <리틀 프라이드>(서장원), <그 개와 혁명>(예소연), <천사들(가제)>(함윤이). 제목만 봐서는 무슨 이야긴지 모르겠다. 여성이 겉모습을 생각하는 이야기는 많았겠지. 서장원은 ‘리틀 프라이드’에서 트렌스젠더 남자가 겉모습을 생각하는 이야기를 한다. 이 이야기 보다가 이런 생각이 들었다. 그냥 남자는 “나는 어떻게 해야 괜찮은 남자로 보일 수 있는지, 남자로 인정 받을 수 있는지 알지 못했다. 어쩌다 다른 직원과 스몰 토크라도 주고받고 나면 방금 한 말과 보디랭귀지가 적절했는지 걱정하느라 머릿속이 복잡해졌다. (13쪽)” 이런 생각 안 하겠다는. 지금 다시 보니 그건 그렇구나. 토미가 친하게 지내려 한 사람은 오스틴인데, 오스틴은 키가 작았다. 사지연장술을 하려고 회사를 그만뒀다. 지금 사지연장술 같은 거 할까. 위험한 수술 같은데. 지금은 여자든 남자든 겉모습을 많이 생각하겠다.


 다음 소설 <그 개와 혁명>(예소은)은 슬프면서도 조금 유쾌하다. ‘나’ 수민이 말한 태수 씨가 누군지 처음엔 잘 몰랐다. 읽으면서 수민 아빠라는 걸 알았다. 본래 이름은 태수가 아닌 형주였다. 태수 씨가 암에 걸려서 고모가 건강하게 오래 살 이름을 지어오고 모두가 그 이름을 말했다. 누군가 아프면 그런 것에라도 기대고 싶을지도. 식구가 태수 씨를 사랑한다는 게 잘 느껴졌다. 태수 씨는 딸이 둘이어서 장례식 때는 수민 사촌한테 상주를 시키려 했는데, 수민이 상주를 한다. 아들만이 상주를 할 수 있을까. 그건 아직도 바뀌지 않았나. 식구 없는 사람은 어떡하나. 이런 거 보다가 난 장례식 안 하는 게 낫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건 남은 사람이 하는 건데. 나한테는 그런 사람 없으니 말이다.


 태수 씨 장례식에 개 유자가 나타나고 아수라장이 되지만 수민과 동생 수진은 그걸 즐겁게 여겼다. 태수 씨는 유자가 자기 장례식에 오길 바랐다. 사람 장례식에 개가 가지 못할 까닭이 어디 있나 싶구나. 개가 사람이 죽은 걸 하나도 모를까. 조금 알 것 같기도 한데. 이 소설은 이번에 이상문학상 받았나 보다.


 세번째 이야기가 <천사들(가제)>라는 제목이어서, 난 이 소설 제목이 가제인가 했다. 그건 아니다. ‘나’는 항아 장례식에 가면서 꿈을 꾼다. 항아가 쓴 시나리오 <천사들(가제)>에 나올 배우 오디션을 보는. 왜 항아가 세상을 떠났는지는 나오지 않았지만. 오디션을 보러 온 사람에는 ‘나’와 항아가 아는 사람이 있기도 했다. 그건 꿈이어서였을까. 꿈은 끊겼다가도 이어졌다. 꿈을 그렇게 꾸다니. 시나리오 제목은 ‘천사들’이지만 여자 남자 그리고 천사 셋이 나오는 거다. 아홉 사람을 본 항아는 모두 다 캐스팅하고 싶다고 한다. 같은 역이지만 장면마다 사람이 다른 것도 괜찮을 것 같다. 이 시나리오는 항아가 마지막으로 쓴 걸까. 항아가 영화로 만들지 못해서 ‘나’는 항아 장례식에 가면서 꿈을 꾼 건지.


 다시 몇달이 가면 2024년 ‘소설 보다 : 가을’이 나오겠다. 나왔구나. 시간은 잘 가고 철은 돌고 곤다. 사람이 사는 한 이야기는 끝나지 않겠다.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노랑노랑

분홍분홍

하늘하늘

살랑살랑


나른한 봄날

쓸쓸한 봄밤

덧없는 봄꿈




2


봄이야

봄 잘 맞이했어


봄은 언제 온지도 모르게

빨리 가 버릴 거야


봄 안에서 즐겁기를 바라





*봄이 왔다고 생각했는데, 지난주는 많이 따듯했다. 곧 꽃이 필 듯했는데, 다시 바람이 불다니. 바람이 불어서 춥다. 봄은 늘 그렇구나. 변덕스러운 봄.




희선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새파랑 2025-03-17 07:0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봄인줄 알았는데 어제부터 또 날씨가 춥네요 덜덜 아직은 겨울인가봅니다 ㅋ

희선 2025-03-18 00:36   좋아요 1 | URL
봄은 온 것 같아도 아주 온 건 아닌가 봅니다 눈 많이 온 곳도 있다니... 이번은 날씨가 더 이상한 듯도 합니다


희선
 




사뿐사뿐 가볍게 걷네

겨울보다 봄을 좋아하고

나비가 날아다니면

쫓아다니지


따스한 햇살을 받고

잠자고

꽃잎 날리는

나무 밑에서

잠자네


무슨 꿈을 꾸는 걸까


고양이는

따스한 봄이야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꿈속에서 우는 사람 문학동네 시인선 208
장석주 지음 / 문학동네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전에는 장석주가 쓴 인문 에세이 《에밀 시오랑을 읽는 오후》를 만났다. 이번에는 시집 《꿈속에서 우는 사람》을 만났다. 시는 아주 오랜만에 만난 듯하다. 예전에 시집 한권밖에 안 봤을지도. 처음 시로 만나서 시인으로만 알던 때도 있다. 얼마전에도 한 말이다. 장석주는 시뿐 아니라 여러 글을 쓴다. 책을 아주 많이 본다고 들었다. 지금도 다르지 않겠지. 몇해 전보다 책이 덜 나오는 것 같기도 하다. 장석주가 쓴 책 많이 안 봤는데 이런 말을 했구나. 책은 안 봐도 책이 몇달에 한권 나온 적 있어서. 내가 새로 나오는 책을 다 아는 건 아니구나. 거의 우연히 장석주 책이 나온 걸 알았다. 이번 시집도 다르지 않다.


 시집을 보면 빼놓지 않고 하는 말이 있는데, 이번에도 다르지 않다. 이 시집 《꿈속에서 우는 사람》에 담긴 시 잘 모르겠다. 고양이 파주 수면 양말 통영 어머니. 난 양말 신고 자면 답답할 것 같은데, 추울 때는 양말 신으면 잠이 더 잘 올까. 고양이 파주 수면 양말 통영은 이 책뿐 아니라 먼저 만난 ‘에밀 시오랑을 읽는 오후’에서도 봤다. 시와 그 책을 비슷한 때 썼을지. 꼭 그건 아닐지도. 평소에 좋아하고 생각하는 거여서 썼겠다. 작가에는 통영 좋아하는 사람 많구나. 예전에 안성에 산다고 들었는데, 지금은 파주에 사는가 보다. 고양이도 함께. 안성에는 친척집이 있다. 거기에 작가가 산다고 해서 조금 신기하게 여겼다. 이제는 아니구나.




 새들은 공중의 산책자, 공중은 배와 새들의 사원. 늙은 어머니는 사원의 새들 중 가장 작은 새를 가여워했다. 바람의 서재에서 책을 읽었다. 시냇물의 음악에 귀를 기울였다. 공중에 뿌리를 내리는 새들. 새들이 지나간 자리에 별의 잔해가 뿌려진다. 새들은 공중의 정원에서 키우는 푸른 불꽃이다.  (<새>에서, 74쪽)




 벚꽃 다 졌다.

 꽃 진 자리에 어린잎들이 올라온다.

 올해의 슬픔은 다 끝났다.

 열심히 살 일만 남았다.


 가난은 빛이 모자란 것,

 구두 밑창이 벌어지는 슬픔,


 해질녘엔 실밥 묻은 옷을 입고

 벚꽃 진 길을 걸었다.


 살강의 접시들과 저녁밥 짓던 형수,

 옛날의 소년들은 다 어디로 갔는가?

 나는 잘못 살지 않았으나

 저 어린잎만큼 후회가 많구나.


 단추 두어 개 떨어진 셔츠는 사라졌다.

 당신은 그 자리에서 기다리는가?


 자, 네게 건네는

 하얀 달을 받아라.


 -<벚꽃, 가난, 아나키스트>, 65쪽




 앞에 옮긴 시, 잘 모르지만. 벚꽃이 지고 어린잎이 올라오면 올해 슬픔이 다 끝난다니. 정말 그러면 좋겠다. 봄에만 조금 슬픈. 저 말은 벚나무한테 한 말일지도 모르겠다. 슬픔은 봄에만 찾아오지 않는다. 벚나무는 꽃이 지고 어린잎이 올라오면 얼마 지나지 않아 열매가 맺힌다.


 새는 공중 산책자구나. 맞는 말이다. 새처럼 날개가 있다면 좋겠다고 생각한 적은 없다. 어딘가에 자유롭게 가고 싶은 사람은 날개 갖고 싶을까. 새는 새대로 어려움이 있을 거다. 늘 날아야 하는 것도 쉽지 않겠지. 이런 생각을 하다니. 나무는 새를 반길 거다. 언제나 같은 자리에 서 있으니 여기 저기 다니는 새가 날아오면 반갑겠다. 바람도. 시와 별로 상관없는 말을 했다.


 이 시집 제목인 ‘꿈속에서 우는 사람’은 여기 담긴 시 제목이기도 하다. 이걸 보고 난 꿈속에서 울고 싶지 않다는 생각이 들었다. 깨어서도 울고 꿈속에서도 울어야 하나. 꿈속에서는 왜 울까. 울기보다 두려워할지도. 꿈속에선 뭔가를 잘 못하고 길을 잃어버리기도 하니 말이다.




희선





댓글(2)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거리의화가 2025-03-14 09:3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한참 되었지만 장석주 시인이 과거 이상 관련 책을 내신 적이 있습니다. 그때 북토크가 있어 만나뵈었던 기억이 납니다. 책은 꽤나 재밌었고 말씀도 잘 풀어내시는 분이더라구요. 그때 들은 이상 관련 에피소드가 지금도 종종 기억날 때가 있습니다ㅎㅎ
사실 저는 장석주 시인의 시는 본 적이 없고 오히려 인문, 에세이류의 책만 봤던 것 같은데... 시의 느낌은 이런 거군요^^ 새들이 공중에서 나는 모습을 표현한 부분이 인상적입니다. 시는 어려워서 시집을 잘 읽지 않는데 나중에 기회가 되면 들여다보고 싶네요.

희선 2025-03-16 17:14   좋아요 0 | URL
무슨 책인지 찾아보니 《이상과 모던뽀이들》이네요 절판됐다고 나옵니다 장석주 작가는 시뿐 아니라 인문 같은 여러 가지 글을 쓰는군요 지금 이름으로 찾아보니 얼마 전에 동시집이 나왔네요 이건 처음으로 쓴 게 아닌가 싶습니다 많은 사람이 알 것 같은 시는 <대추 한 알>이 아닐까 싶네요

글을 보면 말씀도 잘할 것 같아요 예전에 갔던 북토크에서 들은 말이 가끔 생각나기도 하다니... 그때 집중해서 즐겁게 이야기를 들으신 듯하네요


희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