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일 아침에 찍은 사진이다. 자목련이었다. 사진을 좀 더 잘 찍을 걸 후회가 된다. 세상에 여름에 자목련이 꽃을 피우나? 이건 꽃이 아닌가. 혼란스럽고 반가웠다. 내가 모르는 자목련의 세계라고 할까. 여하튼 그랬다. 사실 봄이 지나면 자목련을 잊는다. 꽃이 필 때에 다시 바라본다. 자목련이라는 닉네임을 사용하고 있지만 꽃 그 자체를 생각하는 건 봄이라는 계절뿐이다. 그러다 노희경 작가의 <디어 마이 프렌즈>를 보다가 화면 속 자목련을 담아둔 게 생각났다.

1회의 장면인데 나는 이 장면이 좋아서 자꾸 멈췄다가 돌려보기를 반복했다. 꽃보다 아름다운 이들이었다. 그 환한 웃음이 행복해 보였다. 연기가 아닌 실제처럼 여겨졌다. 방영 당시 계절이 봄이었구나 싶었다. 단도직입적으로 말하면 역시 좋은 드라마다. 사랑, 죽음, 우정이라는 진부한 메시지를 전하는 방식이 누구나 공감할 수 있어서 좋고, 서로의 상처에 때로는 조용히, 때로는 분노할 수 있다는 게 좋았다. 노년의 삶에 대해 조금 더 깊게 생각할 수 있었다. 엄마에게 노년은 존재하지 않았다. 그 이전에 돌아가셨기 때문이다. 같이 늙어가는 친구가 있다는 것, 자식 흉을 보며 맛난 음식을 먹을 수 있다는 것, 아픈 몸에 대해 한탄할 수 이를 곁에 두었다는 것, 정말 축복이다.


이렇게 느닷없는 자목련을 보고 즐거운 마음도 축복이다. 장마가 시작되었다. 남부 지방에는 폭우로 피해가 많은 듯하다. 출근길, 마스트를 써야 하는 일상에 피로도는 커지겠지만 그래도 이 일상을 공유할 수 있는 이들이 있으니 이 또한 기쁘다. 자귀나무가 한창인 날들, 그 한 귀퉁이에 자목련이 있다. 여름엔 자귀나무와 배롱나무인데 올해는 자목련도 기억할 수 있는 시간이다. 여름에 마주하는 봄이라고 할까. 드라마 때문에, 우연하게 만난 자목련 때문이다.
여름이니까 한 권쯤은 제목에 여름이 들어간 책을 만나야겠지. 백수린의 『여름의 빌라』, 오랜만에 시집도 한 권 검색한다. 허연의 시집 『당신은 언제 노래가 되지』, 김하나의 『말하기를 말하기』. 그리고 정용준의 장편소설 『내가 말하고 있잖아』 도 궁금하다.
읽고 있는 책은 아니 에르노의 『빈 옷장』인데 너무 솔직해서, 너무 신랄해서, 너무 거침이 없어서 놀라면서 읽고 있다. 아니 에르노의 글을 읽은 적이 있지만 이런 느낌을 받는 적이 있던가 싶다. 아니 에르노의 데뷔작이라는데, 이런 글을 쓸 수 있다니, 입이 다물어지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