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자는 자아실현을 위해 직업을 갖는다고 거창하게 말하기도 한다. 그러나 일을 하는 가장 큰 이유는 생계를 위해서다. 먹고살기 위해 지긋지긋한 직장에 나가고 적게나마 저축을 한다. 꿈꾸는 미래는커녕 당장 하루살이처럼 살아가는 이들이 많은 게 요즘 현실이다. 그러니 사직서를 가슴에 품었다고 함부로 말할 수 없다. 상대가 누구든 말이다.
취업이 어려운 시대에 직장에 대한 고민과 불만은 복에 겨운 소리인지도 모른다. 그래도 힘든 건 힘들다고 말하고 부당하다는 건 부당하다고 말해야 하지 않을까. 어쩌다 우리는 이런 사회에 살게 된 것일까. 쓰무라 기쿠코의 『라임포토스의 배』를 읽다 보니 잊었다고 생각했던 상사가 떠올라 나도 모르게 나쁜 말을 하게 된다. 반면 마음이 맞는 동료가 있었기에 힘들었지만 즐겁게 그 시절을 견딜 수 있었다. 지루할 만큼 반복된 일상에서 휴가나 여행은 보상처럼 다가온다. 그러나 공장일이 끝나면 친구의 카페에서 아르바이트를 하고 주말에는 컴퓨터 강의를 하고 밤에는 데이터 입력을 하며 돈을 모으는 스물아홉의 나가세는 그저 살아간다. 그저 물만 주면 잘 자라는 라임포토스를 키우는 게 유일한 나가세의 취미라 할 수 있다. 일에 대한 기쁨과 즐거움 대신 도구처럼 사용되는 자신의 모습에 우울하기만 하다.
‘‘시간을 돈에 파는 듯한 기분’이라는 생각이 든 순간 몸이 굳었다. 일하는 자신이 아니라, 자신을 계약직으로 고용한 회사가 아니라, 살아 있다는 것 자체가 역겨웠다. 시간을 팔아 번 돈으로 음식물과 전기, 가스와 같은 에너지를 고만고만하게 사들여 겨우겨우 살아가는 자신의 불안한 삶이. 앞으로도 그래야만 한다는 사실이.’ 「라임포토스의 배」, 14~15쪽
그러다 휴게실에서 세계일주 광고 포스터를 통해 새로운 계획을 세운다. 일 년 치 월급과 맞먹는 163만엔. 어머니와 단둘이 살고 있는 50년 된 낡은 집도 수리해야 한다. 우선은 실현 가능한 지 모르지만 목표를 세운다. 나가세는 점점 더 돈을 아낀다. 전업주부로 살고 있는 친구가 함께 놀러 가자는 제안에 어쩔 수 없이 나가지만 머릿속으로 돈 계산에 바쁘다. 설상가상으로 다른 친구가 남편과 별거를 하면서 아이와 나가세의 집으로 들어오고 생활은 더 쪼들리게 된다. 친구에게 돈을 빌려주고도 받지 못할까 봐 걱정하고 어머니와 친구 모녀가 가깝게 지내는 모습에 서운한 마음도 든다.
‘돈 때문에, 돈을 쓰지 않으려고, 무익한 시간을 만들지 않으려고 열심을 일을 한다. 하지만 그런 이유로 조금 떨어진 곳에 사는 친구 집에 갈 여유조차 없다. 세계일주 비용은 순조롭게 쌓여갔지만 나가세는 왠지 모르게 허무함을 느꼈다.’ 「라임포토스의 배」, 81~82쪽
「라임포토스의 배」는 나가세와 친구를 통해 스물아홉의 삶을 보여준다. 여행이라는 목표를 세운 나가세, 직장을 그만두고 카페를 차린 친구, 전업주부로 살아가는 친구, 남편과 이혼을 결정하고 새로운 삶을 시작하는 친구. 저마다의 고민을 갖고 살아가는 모습은 우리네 그것과 닮아 무척 현실적으로 다가온다. 힘든 시간이지만 곁에 있는 이들과 함께 마음을 나누고 그 안에서 소소한 일상의 감사를 누리는 삶.
누구나 한 번쯤 경험했을 직장생활을 다룬 「라임포토스의 배」에 비해 「12월의 창가」는 직장 내의 따돌림의 이야기다. 출판 인쇄와 관련된 업무를 담당하는 주인공은 폭언을 일삼는 직장 상사 때문에 힘든 시간을 보낸다. 부당한 대우를 받으면서 계속 일을 해야 하는지 고민하다 결국 사표를 낸다. 작가의 경험을 바탕으로 그린 소설이라 그런지 지위를 이용한 직장 내 여성 따돌림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며 직장인의 비애를 고스란히 전달한다.
‘“황당한 실수를 저질러도 일은 계속해야만 하니까요. 머나먼 하늘 밑에서 바보 취급을 당하면서도 회사원은 일을 해야죠.”’ 「12월의 창가」, 130쪽
두 편의 소설을 통해 일과 일하는 여성에 대해 생각한다. 그것은 일, 연애, 결혼, 육아로 확장된다. 직장 여성이라면, 위킹맘이라면 더욱 크게 와 닿을 것이다. 여자만이 느낄 수 있는 감각으로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일상을 잔잔하게 그렸기에 더욱 특별하게 느껴진다. 에쿠니 가오리, 요시모토 바나나와 닮은 듯 다른 감성, 이 작가의 다른 소설을 더 읽고 싶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