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마지막 날 퇴원을 했다. 24일이라는 길면 길고 짧다면 짧은 병원 생활을 뒤로 하고 병원을 나섰다. 해넘이와 해돋이를 보러 가는 흥분을 숨기지 않고 달리는 수많은 자동차들과 함께 고속도로를 지나 큰언니네 집으로 도착했다. 큰언니 아파트에 있기로 했다. 열을 안고 퇴원한 나는 고열에 시달리기도 했고 항생제 사용으로 인해 발진과 가려움과 함께 지냈다. 익숙한 반응이었지만 친숙해지기는 어려운 시간이었다. 퇴원 일주일 후에는 가까운 병원에서 몇 가지 피검사를 했고 결과는 나쁘지 않았다. 다시 일주일이 지났고 외래로 병원을 찾았다. 역시 피검사와 엑스레이를 찍고 1시간 30분 가까이 기다렸다 의사를 만났다. 염증 수치를 비롯한 모든 수치가 괜찮았고 수술 부위도 깨끗하다며 의사는 담담하게 말했다. 간단한 내 질의에 답변을 해주었고 2달 후 CT를 찍자고 말했다. 모든 게 감사했다.  생사를 결정하는 수술을 한 건 아니다. 그러나 8시간 이상의 큰 수술이었다. 수술 후 마취에서 깨어났을 때 의사에게 계획한 대로 수술을 했다는 말을 듣고 감사하다는 말을 자주 입에 달고 산다.

 

 이 공간에서는 조카가 나를 돌봐주고 있다. 바쁜 아이라서 하루 종일 같이 시간을 보내는 건 아니지만 식사를 준비하고 빨래며 내가 필요한 것들을 살핀다. 2주 동안은 아무것도 하지 않고 지냈다. 지나치게 게으름을 부렸다. 그로 인해 살이 많이 졌고 도토리 같았던 머리카락은 아주 지저분해졌다. 한 권의 책도 읽지 않았고 낮잠을 자거나 드라마를 보거나 침대에서 시간을 보냈다. 새로운 증상은 다리가 붓는다는 것이다. 의사에게 언급했지만 친절한 답은 없었다. 무리하지 않으려고 노력 중이다.

 

 스스로 약속한 리뷰를 지키지 못했고 당분간도 그러할 것이다. 집으로 도착한 택배에 어떤 책이 들어 있는지 알지 못한다. 내가 주문한 책인데도 기억이 나지 않는다. 이런 와중에 이곳으로 두 권의 시집을 주문했다. 읽을 수 있을까, 장담할 수 없다.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oren 2016-01-15 15: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몹시 힘든 과정을 겪으셨군요. 어서 빨리 쾌차하시길 빕니다.

자목련 2016-01-23 11:27   좋아요 1 | URL
고맙습니다, oren 님. 갑자기 추워진 날들 건강하게 보내세요^^

사과나비🍎 2016-01-15 17: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수술하셨었군요... 회복 잘하시길 바랄게요~ 드시는 거 잘 챙겨드시구요~ 푹~ 쉬시길 바랄게요~

자목련 2016-01-23 11:28   좋아요 1 | URL
네, 사과나비 님의 댓글이 회복을 보태주네요. 잘 먹고 잘 자는 게 필요해요!!

서니데이 2016-01-15 17: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8시간이면 큰 수술이었겠네요. 앞으로는 좋아지는 일만 계속되셨으면 좋겠어요.
자목련님, 행복한 금요일 되세요.^^

자목련 2016-01-23 11:28   좋아요 1 | URL
좋아지는 일, 이 말이 정말 좋습니다. 서니데이 님도 건강하고 편안한 주말 보내세요^^

프레이야 2016-01-15 18:3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자목련님, 그동안 너무 뜸해서 걱정했어요. 수술을 8시간이나 걸려 하셨다니요.ㅠ
잘 되었다니 마음 놓이지만 다리 붓는 증상은 속히 알아보시기 바래요.
잘 나으셔야 합니다. 마음 편히 쉬세요.

자목련 2016-01-23 11:31   좋아요 2 | URL
짧은 잠에서 깨어났다고 생각했는데 아니더라구요.
모든 건 지나간다고 믿지만 여전히 그 과정이라서 때때로 지치기도 합니다, ㅎ
프레이야 님의 안부 고맙고 감사합니다!

hnine 2016-01-15 23: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수술을 무사히 마치셨다니 다행이고 회복 과정도 잘 이겨내시기 바랍니다.

자목련 2016-01-23 11:32   좋아요 1 | URL
잘 이겨낼 수 있다고 믿고 지내고 있어요. hnine 님 감사합니다^^
 
조금씩 도둑
조명숙 지음 / 산지니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군가는 죽고 누군가는 남는다. 우리네 인생이 그렇다. 남겨진 이들의 삶에는 죽은 자가 있다. 어떤 이에게는 마치 살아있는 것처럼 머물고 어떤 이에게는 영원한 그리움의 대상이 된다. 오늘과 내일을 지배해버린 느닷없는 죽음, 상실을 채우려 몸부림치는 사람들의 모습은 나와 상관없는 게 아니다. 그러니 저마다의 생은 슬프고 아프다. 왜 남겨져야만 하는지 따지고 물을 존재조차 없이 혼자 살아내야 하는 게 남겨진 자의 가혹한 운명일까. 조명숙의 소설을 읽다 보면 남겨진 자로 살고 있는 우리의 삶을 생각하게 된다.

 

 그렇다. 우리는 모두 남겨진 자다. 누군가에게 아무런 설명도 없이 버림받았든, 연습도 없이 사랑하는 사람과 이별을 했든 말이다. 잔혹한 생은 상실의 아픔을 달랠 겨를도 없이 살아야 한다고 다그친다. 버려진 자신을 키워준 할아버지와 함께 살아가는 「이치로와 한나절」속 화자는 함께 가출을 감행할 정도로 친했지만 자살한 친구 창수의 휴대폰으로 문자를 보낸다. 창수의 죽음을 이해할 수 없고 주어진 생의 한계를 드러내는 할아버지를 위해 자신이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게 안타깝다. 갑자기 나타난 이국인 청년 이치로는 창수의 환영 같다. 놀랍게도 소설 속에서나 등장할 것 같은 삶은 현실 속 어디에나 존재한다.

 

 조명숙은 보통의 그것을 소설에 아주 잘 녹여낸다. 주류가 아닌 비주류의 삶, 노동으로 채워진 고단한 일상, 상처 입은 이들의 내면을 담담하면서도 적확하게 말이다. 그리하여 소설을 통해 현재를 조명하는 것이다. 이제는 가시와 다르지 않은 고유명사가 된 2014년 세월호 사건 10년 후의 유가족의 일상을 그린 「점심의 종류」는 사건을 잊은 수동적 사회의 모습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10년이라는 물리적 시간은 슬픔을 걷어갈 수 있는 시간이 아니다. 누군가는 그만 잊고 살라고 말하고 누군가는 지급된 보상금이면 충분하다 수군거렸다. 그러나 딸을 잃은 영애에게 삶은 2014년 4월 16일의 반복이었다. 그 어떤 것에도 살아 있다는 걸 느낄 수 없었지만 딸을 기억하기 위해 살아내야만 했다.

 

 ‘냄새, 소리, 움직임…. 한때 이 공간을 채우고 있던 냄새와 소리와 움직임을. 아무 냄새도 나지 않고 아무 소리도 들리지 않고, 아무도 움직이지 않는다.’ (「점심의 종류」, 56쪽)

 

 그러니 결코 당신의 아픔을 안다고 말해서는 안 된다. 불확실한 죽음에 대한 애도를 끝내라고 말해서는 안 된다. 그럼에도 우리는 위로와 조언이라는 이유를 내세워 말을 건다. 솔직하게 말하자면 그것은 당신을 위한 게 아니라 지켜보는 나를 위한 것이다. 「나비의 저녁」 속 서정이 친구 오윤이 선택한 사랑에 대해 축복할 수 없었던 것도 그랬다. 현실이 아닌 꿈과 이상을 좇아 사는 오윤의 남편으로 인해 자신이 구축한 안정이 흔들리는 게 싫었다. 그들의 경제적 어려움을 무시할 수 없었던 차에 멀리 이사를 간 오윤이 내심 반가웠다. 종이공장의 기계에 빨려 들어가 남편이 기이하게 죽고 구례의 시골로 떠난 오윤이 종이를 만든다는 연락을 했을 때 서정의 마음은 선뜻 그곳으로 향하지 않았다.

 

 ‘종일 초지망(抄紙網)으로 한 장 한 장 종이를 뜨면서 내 마음 켜켜이 놓인 그 사람을 생각했지. 마음의 켜에서뿐만 아니라 몸의 켜에서도 아직 생생하게 그 사람이 느껴져.’ (「나비의 저녁」, 150쪽)

 

 조명숙의 소설에는 평탄한 삶이 존재하지 않는다. 곧고 길게 이어진 길이 아니라 일부러 구불구불한 길만 골라서 걷는 사람처럼 보인다. 그는 섣불리 판단해서는 안 된다는 게 삶이라는 걸 알고 있었던 것이다. 그것은 이성이 아닌 동성을 사랑하기에 평생 바라보는 삶을 살아야 하는 「조금씩 도둑」, 생명을 잉태할 수 없다는 이유로 이혼을 선택하며 의미 없는 삶을 지속하는 「사월」, 막내딸의 암 소식을 인정할 수 없어 달리는 아버지「러닝 맨」에 이어 작가 지망생의 시선으로 주변을 관찰하는 「하하네이션」에서 독보적으로 전달된다. 고아원에서 자란 작가 지망생 유는 좋은 소설을 쓰기 위해 규칙적인 생활과 체력을 관리하고 아르바이트를 세 개나 한다. 등단 후를 대비해 옷매무새도 철저하게 신경 쓰고 오피스텔의 규약도 잘 지킨다. 그러나 유는 타인의 절망과 슬픔에 대해 고민하지 않았고 인간의 깊은 심연을 이해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다. 진심을 가지고 먼저 다가가야 한다는 것 모르고 있었다.

 

 ‘사물과 사람과 시간의 갈피 속에서 독특한 느낌을 찾아낸다는 게 쉽지 않지만, 그만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어떻게 작가가 될 수 있겠어?’ (「하하네이션」, 204쪽)

 

 남겨진 자로 현재를 사는 우리에게 삶은 소설보다 더 치열하고 더 기막히다. 그래서 완전한 행복체를 꿈꾸기보다 몸과 마음에 상처가 조금씩 아물기를 바란다. 비탄, 좌절, 죽음으로 비워진 자리를 채우기 위해 살아내는 것이다. 누군가는 그 과정을 소설로 쓰고 누군가는 소설을 읽는다. 조금 더 가까이 당신에게 다가가기 위해, 조금 더 깊이 당신을 이해할 수 있기를 바라며...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읽는나무 2015-12-31 15: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냥 읽노라니 눈물이 핑~~~도네요
늘 조곤조곤 님의 글은 슬며시 깊게 다가옵니다^^

새해 인사 미리 드리러 왔다가 많은 생각을 품고 갑니다
모쪼록 오늘이 지나면 내일부터는 복만 받으시옵소서!!
건강하시길 바라며 올해보다는 좀더 나은 내년이 되시길 바랍니다^^

2016-01-15 11:39   URL
비밀 댓글입니다.
 
우리가 볼 수 없는 모든 빛 1
앤서니 도어 지음, 최세희 옮김 / 민음사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빛과 소리에 대해 상상할 수 없는 모든 것을 그려낸 소설. 전쟁을 배경으로 한 보통의 그것과 다른 감동을 전해주는 유려한 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추위를 심하게 타지는 않지만 감기에 걸리는 걸 극도로 싫어하기에 체크무늬 남방 위에 그레이 색 니트 원피스 위에 남색 꽈배기 무늬가 들어간 카디건 위에 모자 달린 빨강 패딩조끼를 입고 미용실에 다녀왔다. 아침에는 그저 빗소리가 유쾌한 정도였는데 밖에 나가보니 바람소리를 더해 굵은 빗줄기가 쏟아지고 있었다.

 

 가만히 귀를 기울이며 원장님의 가위 소리를 들었다. 정말 귀를 기울이니 예전에 몰랐던 가위질이 경쾌한 리듬을 탄다는 걸 알았다. 신기했고 신선했다. 멍하니 거울을 통해 잘려 내동댕이쳐진 머리카락을 보는 게 전부였는데 가위질의 리듬을 듣다니. 제법 길었던 머리카락을 싹둑 자르고 나니 다시 도토리가 되었다. 짧은 단발로 해달라고 하면서 아주 짧아도 괜찮다고 했더니 결과는 도토리였다. 나쁘지 않다. 무거웠던 기운 대신 왈츠라도 출 수 있는 경쾌한 머리카락 사이로 자신의 존재감을 나타내는 흰 머리카락만 보이는 것만 빼면 말이다. 오랜만에 머리카락 손질이라 그 사이 수고비가 올랐다는 것도 몰랐다.

 

 그토록 기다렸던 비를 마주하는 사람들의 반응은 다양하다. 이 모든 반응은 미용실에서 들은 것들이다. ‘왜 이리 많은 비가 내리는지 모르겠다, 그래도 비가 와야 한다, 비 오기 전 김장을 해서 다행이다, 마트에 가야 하는데 비가 와서 귀찮다.’  비 오는 걸 좋아하는 나는 감기에 걸려도 좋은 날들이라면 비 속에 서 있고 싶었다. 안다, 이제 그런 용기를 낼 수 없는 나이라는 걸. 어쨌거나 비 오는 수요일의 오전은 경쾌한 가위질의 리듬으로 남는다.

 

 비, 수요일, 왈츠와 어울리는 책은 어떤 책일까. 내 멋대로 고르자면 오늘의 책으로 꼭 읽고 싶은 김엄지의 『주말, 출근, 산책 : 어두움과 비』, 김소형의 『ㅅㅜㅍ』, 제목 때문에 끌리는 『은밀하게 나를 사랑한 남자』.

 

 

 


댓글(2)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해피북 2015-12-02 18: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손을 등쪽으로 뻗어 잡으면 잡힐만큼 머리카락이 자라서 미용실 한번 다녀와야하는데 하는 생각만 하고 있었는데 자목련님 글 읽으니 냉큼 다녀오고 싶어지네요 ㅎ 저도 이 참에 짧게 잘라볼까도 생각해보게 되구요 ㅋ 미용실가면 가위소리에 귀기울여봐야겠어요^~^

자목련 2015-12-03 19:08   좋아요 0 | URL
긴 머리카락을 자르고 가볍게 퍼머를 해도 좋을 것 같아요. 해피북 님이 들으실 가위소리는 어떨까요? 신나는 리듬이면 좋겠어요, ㅎ
 
스토너
존 윌리엄스 지음, 김승욱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범하면서도 특별한 우리와 닮은 스토너. 담담하면서도 치열했을 그의 인생은 아름다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