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안에서 나를 만드는 것들 - 지금 가까워질 수 있다면 인생을 얻을 수 있다
러셀 로버츠 지음, 이현주 옮김, 애덤 스미스 원작 / 세계사 / 2015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새털처럼 많은 것 같았던 한 해가 기울고 있다. 이제 50여 일이 지나면 새로운 해를 맞이한다. 다시 또 계획을 세우고 작년보다 나은 삶을 살기를 소망할 것이다. 이전에 우리는 습관처럼 지난 계절을 돌아보고 어떻게 살았는지 생각하게 된다. 제대로 살고 있는지 스스로에게 묻게 된다. 목표했던 것들을 이루려 노력했는지 사람들과의 관계는 어땠는지, 나아가 혼자만이 아닌 함께 사는 세상을 위해 마음을 기울였는지 생각이 많아지는 날들이다. 때문에 『내 안에서 나를 만드는 것들』이라는 제목만으로도 흔들리게 된다. 과연 나를 만드는 건 무엇일까, 나는 나를 제대로 다스릴 수 있는 마음을 가졌던가.
이 책은 놀랍게도 경제학의 아버지로 잘 알려진 『국부론』의 저자 애덤 스미스가 쓴 『도덕 감정론』에 대한 책이다. 저자 러셀 로버츠가 들려주는 『도덕 감정론』이라고 하면 맞을 것이다. 부, 행복, 관계를 주제로 우리 삶이 완벽해질 수 있는 애덤 스미스의 조언을 경제학자인 러셀 로버츠가 현대인을 위해 해석해서 알려준다. 250년 전에 나온 책이 현재 많은 이들에게 울림을 주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우리가 여전히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모르기 때문이며 행복한 삶을 꿈꾸기 때문이다.
하나의 선택에 따라 이익이 달라지고 관계가 흔들린다. 인생은 선택의 연속이고 우리는 끊임없이 고민한다. 스미스는 공정해야 한다고 말한다. 나를 위한 삶에서 공정함이란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 얼핏 양심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은 양심과는 다르다고 말한다. 공정한 관찰자는 양심 그 너머에 있는 것이다.
‘공정한 관찰자는 우리에게 인간이 우주의 중심이 아니라는 사실을 상기시킨다. 내가 남들보다 더 중요한 존재가 아니라는 사실을 떠올리면, 다른 사람들에게 더 친절할 수 있다. 공정한 관찰자는 지나친 이기심을 말도 안 되는 것이라고, 타인에 대한 배려심은 훌륭하고 고상한 것이라고 일깨워주는 우리 안의 목소리다.’ (47쪽)
우리가 살아가면서 꼭 지켜야 하는 하나의 지침이라는 걸 인정하지만 실천은 쉽지 않다. 그래서 더 신중해야 하고 나를 돌아봐야 하는 것이다. 어렵고도 어렵다. 책에는 이처럼 선택의 어려움에 대한 사례를 통해 행복에 대해 묻는다. 좋아하는 음악과 아버지의 유산을 놓고 선택하는 워런 버핏의 아들 이야기는 흥미롭다. 피터 버핏은 음악을 선택했고 결론적으로는 음악으로 성공했다. 과연 나라면 어떤 선택을 했을까.
공정함에 이어 신중함을 강조한다. 신중하다는 건 심사숙고한다는 말이다. 뭐든지 빨리 답을 내려는 현대인에게 스미스의 조언은 깊이에 대해 생각하게 만든다. 신중함은 상대를 진실과 진심으로 대하라는 말로 해석할 수 있겠다. 관계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태도를 우리는 놓치고 살아가는 것이다.
‘스미스에 따르면, 신중한 사람은 진실되고 정직하다. 본인이 잘 알고 있는 사실이라고 해도 나서서 말하지 않는다. 논의 중에 언제나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는 것도 아니다. 그저 좋은 친구지만 사람들을 대할 때 과장된 행동은 삼간다. 그에게 우정이란, 신중하게 잘 고른 몇몇 친구에게 충실한 믿음을 주는 것이다.’ (200쪽)
우리가 많은 부의 축적을 원하는 것도, 명예로운 삶을 꿈꾸는 것도, SNS를 통해 자신을 보여주는 것도 궁극적으로 행복해지고 싶어서다. 과거와 달리 경제적으로 윤택한 세상이지만 빛과 그림자가 있듯 이면에는 추악한 인간의 모습이 가득하다. 함께 행복해야 하는 세상을 우리는 만들어야 한다. 어려운 일이 아니다. 러셀 로버츠가 제시한 대로 스스로가 나쁜 행동을 저지하고 착한 행동을 하면 된다. 언제나 그렇듯 시작점에는 내가 있다. 내 안에서 나를 만드는 것들이 그러하듯이.
‘인간은 정말로 결점이 많다. 우리는 자기 자신을 잘 모를 뿐더러 끊임없이 실수를 저지른다. 우리가 고의로 하는 많은 행동들 중엔 나쁜 것들 투성이다. 우리는 잔인하고, 약자를 이용하고, 무지한 사람을 속여 이익을 얻는다. 하지만 다행히 그와 동시에 그 모든 것을 어떻게 하면 고칠 수 있는지도 잘 알고 있다. 방법은 매우 쉽다. 그저 나쁜 행동을 저지하고 착한 행동을 장려하기만 하면 된다.’ (26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