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하리만치 긴 여름 탓일까. 추석이 너무 이르다는 생각을 자꾸 했고 연휴 이틀은 오빠네 식구와 함께 보냈다. 함께 했다는 건 밥을 먹고 TV를 보고 과일을 먹고 잠깐 낮잠을 잤다는 말이다. 추석날은 주일이라 함께 교회에 가서 예배를 드렸다. 이곳은 시골이라 추석 전후가 정말 바쁘다. 오빠와 올케언니는 하루를 하루가 아닌 이틀 정도로 살고 있는 듯하다. 시간이 날 때마다 마늘을 심고 있고 해야 할 일들이 쌓여 있다고 했다. 거기다 심각한 가뭄까지 농부의 마음은 더욱 무겁고 바쁘다.

 

 연휴가 끝나고 큰언니 집에 다녀왔다. 서류가 증명해주는 것들을 처리하고 옷과 가방, 그리고 책을 정리했다. 정리하는 중이라는 말이 맞다. 여전히 우리는 정리 중이다. 그곳에서 10월을 맞았고 쏟아지는 시원한 빗줄기를 바라보았다. 가을은 처음이었다. 그러니까 큰언니와 온전히 사계절을 보낸 적이 없다. 사랑하는 사람과 계절을 보낸다는 건 어떤 의미일까. 의미를 부여하는 게 의미 없는 일인지도 모르겠다. 좋아하는 바다가 계절마다 다르게 느껴지지만 바다라는 존재만으로 든든한 것처럼 말이다.

 

 집으로 돌아왔지만 이상한 피곤이 나를 놓아주지 않는다. 뜨거운 열기로 피곤을 누르는 일상이지만 책으로의 복귀는 어렵다. 가져온 책을 정리하고 ​읽은 책에 대해 무언가 쓰고 싶지만 쓸 수가 없다. 대단한 것을 쓰려고 하는 게 아닌데 그물에 걸린 것 같은 기분이 사라지지 않는다. 그물을 잘라 줄 무언가가 필요하다. 그것은 책에서 비롯될 것이다. 반가운 김연수 소설의 소식도 그렇다.  반가운 김연수 소설의 소식도 그렇다. 세 권의 책이 재출간되었지만 스무 살『파도가 바다의 일이라면만 취한다. 두 권의 소설과 함께 김연수를 읽을 좋은 사람이 떠오른다. 지나치게 예쁜 민트여서 자꾸 눈이 가는 황인찬의 희지의 세계, 색다른 몽골의 얼굴을 보여줄 『처음 보는 유목민 여인,영감 아닌 염감을 줄 거라 믿는 조에 부스케의 달몰이를 펼치는 가을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당신의 이름을 지어다가 며칠은 먹었다 문학동네 시인선 32
박준 지음 / 문학동네 / 201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당신과 함께 읽고 싶은 시집. 이 가을에 다시 만나니 더욱 새롭다. 시가 있어 얼마나 다행인가 싶었던 애틋하고 고마운 시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철학으로 산다는 것
강영계 지음 / 해냄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철학으로 산다는 것은 어려울 것이다. 다만, 철학을 생각할 시간을 갖는 삶이 중요할 것이다. 그러니까 인간의 본연에 대해 삶의 의미에 대해 사유할 여유를 갖는 것, 그것이 어쩌면 가장 철학적인 게 아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름을 지나가다
조해진 지음 / 문예중앙 / 2015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혹독한 여름을 지나왔다. 그 시간을 지나왔다는 게 실감이 나지 않는다. 모든 게 그렇다. 지나고 나서야 그것의 본질을 자세히 볼 수 있고 생각할 수 있다. 통과하는 동안에는 다른 무언가에 집중할 수 없다. 오직 여름이라는 것만 실재한다. 그렇다면 얼마나 많은 시간이 지나야 그 여름과 똑바로 마주할 수 있을까?  누구에게나 그런 여름이 있을 것이다. 어떤 이에게는 그것은 사랑이고 어떤 이에게는 빚이고 어떤 이에게는 실패로 존재한다. 조해진의 『여름을 지나가다』 속 민, 연주, 수에게 여름은 아리고 시린 청춘이다.

 

 신혼집을 계약하고 결혼식을 앞둔 미래가 한순간 사라지고 부동산중개소 직원이 된 민, 아버지의 빚 때문에 신용불량자가 되어 신분을 속이고 아르바이트를 하는 수, 쇼핑센터 옥상 놀이공원에서 일하면서 악착같이 살아가는 연주에게 삶은 정착이 아닌 길고 긴 정차였다. 보호받을 수 있는 울타리 같은 집은 없었다. ‘삶이란 결국, 집과 집을 떠도는 과정이 아닐까.’ (43쪽)

 

 매물로 나온 집에 임대인 몰래 들어가 그들의 삶을 공유하던 민은 폐업 후 팔리지 않는 가구점에서 잠깐의 휴식을 즐긴다. 목수의 숨결을 느끼며 이상한 평화를 느낀다. 혼자만 알고 싶은 장소에서 수와 마주한 민은 그가 누구인지 바로 알 수 있었다. 그곳에 들어올 수 있는 사람, 목수의 아들이었다. 수는 세상과 단절하고 일그러진 얼굴로 방에 갇힌 아버지를 피해 가구점에서 시간을 보낸다. 아버지를 이해할 수도 없고 위로하고 싶지도 않다. 빚이 삶을 지배하게 되면서 수의 가족은 와해되었다. 입대를 기다리며 스스로를 머저리라 부르는 수에게 산다는 건 무의미하다. 현재의 불행을 안겨준 가구점에서 민은 그런 수의 마음을 다 아는 것처럼 아무것도 묻지 않는다.

 

 타인의 신분증으로 쇼핑센터에서 일하는 수는 성실함을 인정받고 옥상의 놀이공원에서 연주를 돕는다. 어떤 상황에서도 웃음을 유지하는 연주를 보면서 묘한 감정에 사로잡힌다. 조악한 환경의 고단한 일터에서 연주처럼 환하게 웃을 수 있다는 게 이상한 것이다. 그러나 연주의 삶도 수와 다르지 않았다. 병든 엄마가 죽기 전까지 간호와 병원비가 연주의 발목을 잡고 있었다. 놀이공원에서 마법사로 일하면서 카페를 꿈꾸지만 열심히 노력해도 벗어날 수 없는 현실을 산다.

 

 ‘발을 헛딛는 것쯤은 이제 두렵지 않았다. 두려운 건 오직 하나, 영원히 반복될 것 같은 오늘뿐이었다. 단절이나 휴지 없이 이어지는 단 하나의 생애, 그 관성이었다.’ (169쪽)

 

 민, 연주, 수의 고단한 오늘은 내일을 위한 디딤돌이 될 수 있을까. 어떤 것으로도 위로받을 수없는 상흔 하나쯤 있는 게 삶이라지만 그것을 볼 때마다 고통이 되살아난다면 어찌해야 할까. 하나의 여름은 겨우 6월, 7월, 8월까지 3개월이다. 그러나 인생의 여름은 장마와 폭염을 동반한다. 힘겨운 시간을 견딜 수 있는 건 가을이 온다는 걸 알기 때문이다. 설령 그 가을이 태풍을 안고 온다 해도 여름의 끝에선 반가운 계절이 될지도 모른다.

 

 ‘어제와는 또 다른 온도의 바람이 손안에 잡혔다. 그제야 여름의 끝에 가까스로 매달려 있다는 게 실감됐다.’ (20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왜 그에게 휘둘리는가 - 내 인생 꼬이게 만드는 그 사람 대처법
크리스텔 프티콜랭 지음, 이세진 옮김 / 부키 / 201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특정 대상과의 관계에서 나도 모르게 작아지는 걸 느낀다. 아는 순간 그 이유가 관계의 단절이 두려워라는 걸 알았다. 진심을 나눌 수 있는 관계가 얼마나 중요한지 생각한다. 나를 바꿀 수 있는 용기를 체크할 수 있는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