눅눅하다. 방을 도려내서 전자레인지에라도 돌리고 싶다. 내일도 비 소식이 있다. 제습기를 돌리는 시간이 늘어난다. 건조대에는 기운 없는 표정의 옷가지들이 있고 침대에는 책 몇 권이 널브러져 있다. 악스트를 읽고 구매한 최진영의 『구의 증명』, 은행나무 노벨라 시리즈를 좋아하고 있다는 걸 알았다. 윤이형의 『개인적 기억』도 그 시리즈다. 김중혁의 단편집을 제대로 읽은 기억이 없다. 이상한 일이다. 나란하게 보이는 『악기들의 도서관』, 『펭귄뉴스』도 읽지 않았다. 산문집은 빨리 읽었는데 소설집은 미뤄진다. 어쨌거나 연애소설이란 부제 아닌 부제가 붙은 『가짜 팔로 하는 포옹』은 꼼꼼하게 읽고 싶다.
연애, 사랑에 대해 말하자면 『시작하는 연인들은 투케로 간다』를 빼놓을 수 없다. 말랑말랑하면서도 절절하고 당돌한 사랑에 대한 표현에 빠져든다. 아껴가며 조금씩 읽고 싶은 소설이다. 그래서 현재 멈춘 상태다.
‘그녀는 열세 살이 되던 여름에 떠났다. 우리의 경쾌함과 밝은 웃음, 내 불멸의 사랑, 그녀가 처음으로 흘린 피까지 모조리 가져가 버렸다. 나는 계속 그녀를 기다렸지만 나의 기다림은 남자들의 매력적인 야성미에 보잘 것 없었다. 그녀는 나 없이 성숙했다. 그녀는 나 없이 아름다워졌다. 그 누구도 마음대로 가질 수 없는 아름다움을 가졌다. 상대방을 고통스럽게 하는 아름다움.’ (57~58쪽)
독서 에세이는 거부할 수 없다. 『읽는 인간』이 그런 책이다. 오에 겐자부로가 선택한 책이라니 어찌 외면할 수 있을까. 한동안 큰언니와 지내면서 가족과 형제에 대해 생각하는 시간이 많아졌다. 『가족이라는 병』을 통해 가족에 대한 전문가의 견해와 조언을 기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