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트] 황금방울새 - 전2권
도나 타트 지음, 허진 옮김 / 은행나무 / 2015년 6월
평점 :
품절
아끼던 물건을 잃어버리면 속상하다. 그것을 대신한 물건이 있다 해도 잃어버린 자신을 탓하는 속상한 마음은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 마음을 다하지 않았다고 생각해서다. 그저 실수일 뿐인데, 비난을 받을 만한 잘못이 아닌데도 누군가에게는 지울 수 없는 상실을 안겨준다. 그래서 그것을 채우기 위해 끊임없는 방황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저당잡힌 삶을 사는 것이다.
미술관 폭발 사고로 엄마를 잃은 열세 살 시오의 삶을 붙잡는 건 엄마와 그림이었다. 피할 수 없는 사고였고 폭발 당시 반지를 주며 파브리티우스의 그림 <황금방울새>을 가지고 나가라는 웰티 할아버지와의 만남은 운명이었다. 엄마를 찾을 수 없었던 시오는 무작정 그림을 들고 집으로 향한다. 어쩌면 엄마가 집에 먼저 도착했을지도 모른다는 기대를 품은 채 말이다.
몇 년 전 시오와 엄마를 떠난 아빠와 연락이 닿는 건 어려웠고 고아가 된 시오는 친구 앤디의 집에서 지낸다. 주변의 보호와 상담에도 불구하고 엄마의 죽음에 대한 죄책감은 사라지지 않았다. <황금방울새>를 준 죽은 웰티와 조카 피파의 소식도 궁금했다. 시오에게 남은 건 그림과 피파에 대한 관심이 전부였다. 웰티의 낡은 골동품 가게를 찾아 호피 아저씨와 사고 후유증으로 힘든 시간을 보내는 피파를 만났지만 이별로 이어졌다. 그림과 함께 아빠가 있는 라스베이거스로 떠난다. 이제 시오에게 가장 소중한 건 <황금방울새>였다.
‘그림을 꺼내고 만지고 바라보는 것은 가볍게 할 일이 아니었다. 그림을 향해 손을 뻗는 단순한 행동에도 뭔가가 팽창하는 느낌, 공기가 흔들리고 흥분되는 느낌이 있었다. 그리고 차갑게 냉각된 사막 공기 때문에 건조해진 눈으로 그림을 오랫동안 보고 있으면 신비로운 어느 순간 나와 그림 사이의 공간이 모두 사라지는 것 같았고, 내가 고개를 들었을 때 실재하는 것은 내가 아니라 바로 그 그림이었다.’ (1권, 412쪽)
새로운 곳에서 자신과 비슷한 처지의 친구 보리스를 사귀지만 아빠와의 삶은 시오에게 또 다른 상처로 남는다. 도박에 빠진 아빠를 떠나 뉴욕의 호피 아저씨와 만났을 때 교통사고로 아빠가 죽었다는 소식을 듣는다. 여전히 누군가의 보호를 받아야 하는 시오는 호피 아저씨를 선택하고 골동품 가게에서 청소년기를 보낸다. 아무도 모르게 약에 취하고 아무도 모르게 그림을 생각하고 자신과 같은 상처를 지닌 피파를 그리워한다.
호피 아저씨를 도와 가게를 운영하는 시오의 삶은 제법 안정된 듯 보인다. 가혹하게도 만난 앤디의 가족에게 앤디의 죽음을 들은 시오는 점점 더 약에 의지한다. 그러니까 가면의 삶이었다. 가면을 쓴 삶은 잘 나가는 사업가였고 가면을 벗는 삶은 마약 중독자였다. <황금방울새>를 찾는 사람들과 그들을 피해 달아나려는 시오. 시오에게 그림은 어떤 의미였을까? 아니 왜 웰티 할아버지는 죽음과 직면한 순간까지 그 그림을 시오에게 부탁했을까? 그건 호피 아저씨의 말에서 듣을 수 있다.
“어떤 물건을 좋아하면 그 물건은 생명을 갖게 돼, 안 그러니? 물건들―아름다운 물건들―이 우리로 하여금 더욱 큰 아름다움을 알게 해주는 거 아닐까? 처음으로 마음을 활짝 열고서 평생 쫓아다니게 만드는, 혹은 적어도 어떤 식으로든 되찾으려고 애쓰게 만드는 그런 이미지들 말이야.” (2권, 460쪽)
사랑을 주면 생명을 주는 것이다. 어쩌면 시오는 그 그림을 통해 엄마를 기억하고 싶었을지도 모른다. 엄마와 함께 한 미술관의 시간, 엄마와 함께 본 그림이라는 이유만으로도 충분하다. 우리는 엄마를 잃은 한 소년에게 그림이 주는 위안을 알 수 없다. 감히 그 슬픔과 절망을 짐작할 수 없는 것처럼 말이다.
소설 속 아이들은 모두 치유하지 못한 상처와 함께 성장한다. 엄마와 외삼촌의 죽음이 자신에게 있다고 믿는 시오와 피피, 보호나 사랑이 아닌 방임된 보리스. 도나 타트는 그들의 내면을 소설 곳곳에 아주 치밀하게 담아낸다. 파브리티우스의 그림 <황금방울새>의 역할도 그러하다. 그림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아이들을 이어주고 서로가 서로의 고통을 달랜다.
‘크나큰 슬픔, 내가 이제야 이해하기 시작한 슬픔은 우리는 자신의 마음을 선택할 수 없다는 것이다. 우리는 자신에게 좋은 것을, 또는 다른 사람에게 좋은 것을 억지로 원할 수가 없다. 우리는 우리가 어떤 사람인지 선택할 수 없다.’ (2권, 465쪽)
삶을 상실한 사람에게 가장 절실한 것은 무엇일까? 그럼에도 살아야 한다는 주문일까? 아니다. 그건 어쩌면 나와 누군가를 이어주는 어떤 대상인지도 모른다. 시오에게 <황금방울새>가 그랬던 것처럼 말이다. 그리고 우리는 그것을 사랑이라 부르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