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앱으로 접속해서 기대별점 매기고 할인쿠폰받는 거 그만 해야 할까? 이것 때문에 조금씩 쪼개서 사는 책의 양도 은근 상당하네....? (그러면서 오늘도 또 받음. 무시해 제발!!!) 으음. 그렇게 몇 권씩 더 산 책.
아고타 크리스토프, <르 몽스트르>
<존재의 세 가지 거짓말> 아고타 크리스토프의 희곡집이라니! 게다가 생전에 프랑스어로 쓴 유일한 희곡집이라니! 이런 놀라운 책이, 북펀딩으로 출간되었던데, 펀딩하는 걸 알았더라면 바로 참여했을 것이다. 그런데 뒤늦게 골드문트님 리뷰로 이 책이 나온 것을 알게 되었고 그렇게 늦게(?) 부랴부랴 이 책을 구매. 골드문트님에게 땡투했던 것 같은데 잘 받으셨는지. 아고타 크리스토프 작품집이기도 하지만 만듦새가 예뻐서 무조건 소장각.
클라리시 리스펙토르, <야생의 심장 가까이>
클라리시 리스펙토르 책은 <달걀과 닭>, <G.H.에 따른 수난> 두 권 사두고 몇 편 읽다가 난해해서 이렇게 집중 못하면서 읽으면 안 돼! 하고 덮어두고는 아직까지 완독 못한 책. 그래서 을유의 암실문고에서 클라리시 리스펙토르 작품이 계속 나와도 저 두 책부터 읽고 사자, 했는데 결국 이렇게 사고 말았네. 최근에도 새로 나왔더라. 색깔 조합 무엇. 3권 나란히 놓으면 빨강 검정 노랑이야! >_< 이러다 리스펙토르 책 모두 갖추게 될 듯(안 읽어서 못 팔아서)?!
마르셀 프루스트,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11>
헐 어쩌다 보니 11권까지 마련. 이제 10권 딱 하나 남았다. 10권까지 마련하면 읽어야 해...........

로버트 단턴, <고양이 대학살>
너무나 유명한 이 책, 책 제목 한번 못 들어본 알라디너가 있을까? 문화사 분야에서는 가장 손꼽히는 현대의 고전. 최근에 개정판이 새로 나왔다. 표지는 구판보다 훨씬 좋아 보인다. 책 받고 열어봤는데 글자 크기를 좀 더 크게 했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책 여백이 많던데... 음)

그나저나 고양이 대학살이라니..... 이런이런.... -_-;
귀엽죠? 근데 얘 오늘 새벽 4시 36분에 똥테러했대요...... 젠장. -_- 집사의 현자타임.
악셀 호네트, <인정투쟁- 사회적 갈등의 도덕적 형식론>
현존하는 가장 중요한 철학자 중 한 명인 악셀 호네트의 대표작 <인정투쟁>- 철학과 정치학을 혁신하며 사회이론의 지평을 확장시킨 '현대의 고전'으로 꼽히는 책. 호네트는 이 책에서 다양한 사회 문제 뒤에 감춰진 사회적 투쟁의 근본 원인을 밝혀낸다. 무시와 모욕이 사람들의 분노를 일으키고, 폭동이나 봉기의 원인이 되는지 살펴보는 책. 이 출판사에서 나온 악셀 호네트 선집을 다 읽어볼까 싶은데 시리즈 중 2권인 낸시 프레이저와의 논쟁을 담은 <분배냐, 인정이냐?>도 흥미로워 보인다. 은오야, 땡투 잘 받았니?
악셀 호네트, <사회주의 재발명-왜 다시 사회주의인가>
그렇지만 낸시 프레이저와의 논쟁은 일단 호네트의 생각을 더 잘아야 깊이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아서 시리즈 중 3권인 이 책을 먼저 샀다. 호네트는 ‘사회주의 이념이 활력을 상실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사회주의 이념이 회복하기 위해서는 어떤 변화를 거쳐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아래 사회주의의 치명적 한계들을 폭로할 뿐 아니라, 그러한 한계를 돌파할 수 있는 21세기를 위한 사회주의 이념을 '재발명'한다고.
마사 C. 누스바움, <혐오에서 인류애로- 성적 지향과 헌법>
요즘 읽고 있는 책. 완전 재미있다. 꺄, 어쩜 이렇게 똑똑해. 손택 언니에 이어 누스바움 언니의 저작을 읽고 모으기로 했........(는데 언니 미안해요. 제가 미처 몰라보고 <타인에 대한 연민>은 읽고 팔아버렸어요;;; 음)- 아무튼 누스바움 저서는 다 사서 읽고 갖고 있으려고 한다. 이 책은 법률 및 사회가 동성애를 대할 때에 갖는 ‘혐오’의 감정이 어디에서 유래하는지, 그와 같은 혐오가 동성애자들의 권리를 제한하는 근거로 정당한 것인지에 대한 고민으로부터 시작한다.
마릴렌 파투-마티스, <파묻힌 여성- 여성의 눈으로 본 선사시대, 젠더 고고학의 발견>
출간했을 때부터 찜했던 책인데, 보관함에 담아만 뒀다가 드디어 구매. 다부장님이 이끄는 여성주의 책 읽기 모임 선정 책이 되었다! (그래서 같이 읽겠다는 건 아니고요, 암튼 읽으려고요). 반여성주의적 시각에 파묻힌 선사 시대 여성을 다시 발견하고자 하는 주제로 쓰인 책. 고고학과 여성주의의 만남이라니 흥미로울 것 같다.
엘리자베스 그로스, <몸 페미니즘을 향해- 무한히 변화하는 몸>
이 책도 마찬가지. 어려울 것 같아서 보관함에 담아만 두고 언젠가는 읽어야지 했는데, 안 사면 결국 안 읽을 것 같아서 구매. 희진쌤의 <공부>를 듣다 보면 몸과 관련해서 페미니즘과 연결 지은 이야기를 종종하시더라. 그래서 나도 ‘신체’와 관련한 페미니즘 책을 읽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소소하다. 그나저나 모아놓고 보니 빨갛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