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이보그 가족의 밭농사 - 조기 은퇴 후 부모님과 함께 밭으로 출근하는 오십 살의 인생 소풍 일기, 2023년 국립중앙도서관 사서추천
황승희 지음 / 푸른향기 / 2023년 3월
평점 :
" "아이고, 늙고 힘들어서 농사 못 헌다고 시골마다 땅을 내논다는데, 시상에... 팔순 너머에 농사를 한다고 그걸 또 사는 사람이 있네. 아부지한테 늙어 편하게 사시라구랴. 머더러 힘들게 농사를... 쯧쯧. 농사 지긋지긋혀." 61"
남 일이 아니다. 함께 늙어가는 부모님과 밭농사라니. 그것도 칠할 정도를 살아온 동네를 벗어나 낯선 동네로 거처를 옮겨서. 있는 땅도 헐값이든 제값이든 팔아 없애라고 성화를 부리고 있는 나와 정반대의 길을 가고 있는 것이다. 나와 비슷한 세대에게는 그 분포가 얼마나 되는지 모르겠지만 부모님 세대에는 귀농이나 전원생활이라는 비슷한 황혼기의 로망이 있는 듯하다. 평생을 한동네에서 떠나본 적이 없는 아빠가 느닷없이 차로 두시간쯤 떨어진 곳에 땅을 샀다. 본인 계획대로라면 아마 지금쯤 그곳에서 노년을 보낼 것이었겠지만 삶이 뭐 어디 계획대로만 흘러가던가. 노년은 되었지만 집과 땅을 오가며 두배로 바쁜 삶을 살고 계신다. 애물단지나 다름없어 보이는 땅을 정리하고 좀 편히 지내시라고 몇년 전부터 권유하다못해 진절머리를 내는 자식에게 부모님은 그저 묵묵부답이다. 생활반경에 모든 필요한 편의시설이 존재해야 함을 주장하는, 편의시설은 많으면 많을 수록 좋다는 성향인 사람과 길이 다르기 때문일까. 자연으로 돌아가길 결심하는 사람들은 그 안에서 뭘 키워내고 싶은걸까 숨을 깊게 들이쉬고 내뱉으며 책을 읽기 시작했다.
" 아빠는 누구보다 나를 사랑한다는 완벽한 사실, 나를 전적으로 믿고 내 선택과 인생을 소중하게 생각해주시는 아빠인데 말이다. 엄마를 구해야 한다는 만화 같은 마음이 언제 나에게 있었나 싶게 어쩌면 당연하게도 그 만화는 나에게 아득해졌다. 아빠에 대한 두려움이 차차 무뎌진 건 사실이다. 119" 나이를 먹을수록 이상하게도 나는 아빠와 가까워지고 있다. 아주 잘 맞는 사이는 아니지만 나는 가족 중 아빠와 성격이나 외향이 가장 많이 닮았다. 내가 가진 성질머리도 친근한 사람들 앞에서 내보이는 유머감각도 불규칙해서 마음에 들어하지 않는 치열도 짙은 쌍커풀이 있는 눈매도 아빠에게서 가져온 것이다. 그래서인지 아니면 대화를 나누고 이해를 할 수 있는 시간이 나이를 먹을수록 더 쌓여서인지 모르지만 아빠는 나에게 가장 많은 참을성을 보인다. 아빠와 의견 차이가 생길 것 같은 문제를 두고 협상과 회유 테이블에 가장 많이 올라가는 것은 내가 되었다. 이와 비슷한 관계의 모양이 책에서 보일 때가 종종 있었다.
비슷한 시간을 살아가고 있는 사이답게 '다인 가정'을 선택한 친구와의 일화(149)도 재밌게 읽었다. 인터넷에도 그런 불만은 종종 올라온다. 나는 친구를 만나서 대화하고 싶은 것이지 친구의 남편이나 아이를 함께 부르는 것은 아니라고. 결혼한 친구의 삶에서 자기는 없어지고 남편과 아이로 중심이 옮겨가는 것 같아 아쉽다고. 저자에게도 비슷한 경험이 있었고, 1인 가족을 선택한 자신의 삶과 다를 뿐 틀린 것은 아니라는 이해와 더 다양한 친구맺기의 필요성을 이야기한다. 자꾸만 생일이 기대가 되지 않는 변화도, 폐경이 오길 바랐다는 얘기도, 심지어 요즘 더워할 때마다 증상으로 의심받고 있는 갱년기도, 부모님이 갈수록 여기저기 아픈 곳이 생겨난다는 것도 전부 공감가는 것들이었다. 사는 일이 다 똑같구나 싶어진다. 어떤 날은 나만 이렇게 사는가 싶은데 이렇게 문득 다 비슷하게 살고 있다는 것이 느껴지면 묘하게 안도하게 된다. 남들과는 다르게 살고 싶고 남보다 더 잘 살고 싶어서 아등바등 했던 것도 같은데, 인생이라는 큰 흐름 안에서 각자 흘러가고 있다는 것이 왜 위안이 될까.
그렇다고 우리가 모든 면에서 비슷하기만 했던 것은 아니다. " 이혼한다 하면 열이면 열 명이 왜? 라고 묻지만 결혼한다 하면 왜? 라고 묻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215"는 말에 결혼한다 하면 왜?하고 묻는 사람도 많다는 생각을 했다. 그 중 하나가 나다. 요즘은 더 많은 사람들이 왜인지 묻겠지만, 난 전부터 궁금했다. 어떤 점이 결혼을 결심하게 만들었을까, 그 쉽지 않은 결심을 하게 된 이유를 물어보곤 했는데 저마다 내놓는 답을 들어도 매번 궁금하고 신기하긴 했다. 그 밖에도 에어컨에 대한 이야기(197)나 예쁜 여자애는 꼭 못생긴 애들과 친한 법(226)이란 말들은 가까이 다가서러던 마음을 주춤하게 만들기도 했다. 하지만 분명 나에게도 누군가가 다가오려다가도 발걸음을 돌리게 될 만한 점들이 있겠지 생각이 번져나가면서, 뭐 어떤 면들은 나랑 좀 다를 수도 있지 싶어졌다. 그보다는 평범하고 따뜻한 사람이라는 점이 더 크게 다가왔다.
'사이보그 가족의 밭농사'는 이런 삶도 있다고 말해준다. 인간극장이나 자연인 같은 프로그램에 나올 것만 같은 독특함을 가지고 있는데 읽고 나면 나와 그리 다르지 않다는 결론을 맺는다. 남들은 대체 어떻게 삶을 견디고 있는지 궁금해질때, 인스타그램 밖에서는 어떻게 살고 있는지 엿보고 싶을 때 읽어보면 좋을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