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갱부 ㅣ 현암사 나쓰메 소세키 소설 전집 6
나쓰메 소세키 지음, 송태욱 옮김 / 현암사 / 2014년 9월
평점 :
한동안 몸이 좋지 않아, 읽은 것은 있어도 막상 적으려고 앉지 못했다. 다른 일들은 잠깐씩 했지만, 해야할 일은 조금씩 미루게 된 것이
씁쓸했다. 그 중의 하나가 갱부에 대해서 적는 일이었다. 그러다보니 그저 재미있게 읽었던 이 작품에 점점 동화되는 기분이 들었다. 그러다보니
결국은 해야 할 말을 점점 더 줄여야 하게 될 만큼.
한번도 무엇을 해본 적 없는 나는 길에서 만난 사람을 좇아 멀리 떨어진 곳의 갱부 일을 소개받게 된다. 큰 돈을 벌게 해주겠다는
번지르르한 말에 혹한 것은 아니지만, 어디든 나 자신으로부터 떨어져 있고 싶던 차에 그만 별 생각없이 따라나서게 된 것이 갱부의 일이었던
것이다. '인생 되는대로'의 마음으로 아무렇게나 걸었더니 그 끝이 갱부의 길이었다니, 더이상 떨어질 나락이 없을 정도에 다다랐다는 뜻으로 주로
쓰는 말이 막장인 것과 미묘하게 닿아있는 것이 여전했다.
소세키의 다른 글들도 그렇지만, 특히나 잇속과는 좀 동 떨어진 것 같고 어딘가 엉뚱해보이기 까지 한 인물들 중에서 '갱부'의 주인공이
가장 애착이 가도록 여겨졌는데 그가 무구해보이면서도 사실은 자신의 죄로부터 도피하고 있는 비겁한 인물이고 어떤 것도 책임질 자세도 없으면서
오기는 남아 있는 고집스런 인물이기도 해서 이다. 게다가 변덕스럽기도 해서 금새 힘들다고 마음을 바꾸었다가도 남을 의식해서 고쳐먹기도 하는 점이
보는 사람이 민망하게도 인간적인 점도 재미있었다.
[ 나는 명령대로 기다리고 있었다. 이 사내를 만나고 나니 이제 혼자 나갈 생각이 가시고 말았다.
죽어도 혼자 나가 보이겠다고 큰소리쳤던 결심이 갑자기 어딘가로 사라져버렸다. 나는 그 변화를 알고 있었다. 그래도 별로 창피하다고는 생각하지
않았다. 남에게 공언한 일이 아니라 상관없다고 생각했다. 그 후 나에게 공언했기 때문에, 하지 않아도 되는 일, 해서는 안 되는 일을 번번이
했다. 남에게 공언하는 것과 하지 않는 것은 엄청나게 다른 법이다. ]
이상하게도 가장 인상깊은 부분이, 그제 막 튀겨 신선하며 파리가 잔뜩 앉은 모래 묻은 아게만주를 도테라와 마주한 채 몇 개라도 먹어치우던
것이었다. 읽기만해도 기분이 나빠질 것만 같은 모양인데도 읽다보면 어쩐지 나도 몇 개 쯤은 그저 아무렇지도 않게 먹어치우게 될 것 같은 기분이
들게 만드는 장면이었다. 상대방에게 권한다던지 먹은 갯수를 가늠한다던지 하는 방식으로 예를 차리거나 속으로 셈을 하고 있는 일본적인 느낌도 물씬
풍겨지는 부분이기도 했다.
사회에 만연한 막장이라는 말을 거두어 들이고 싶다는 생각을 한다. 이 되는대로 길을 놓아버린 청년이 다다른 깊은 광 속 막장을 들여다보고
있자면 흔히 붙이는 수식으로 전락해버린 막장이 오히려 안타까워진다. 그래서 할 수만 있다면 싸구려 드라마에 제목처럼 붙어 나오는 막장이란 단어를
조용히 거둬오고 싶고, 되도 않는 일을 저지른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으며 막장이네, 하고 말하는 가벼운 한 마디도 거두어 오고 싶어진다. 주인공이
야쓰라는 인물을 긍정하는 방법과 같이, 막장이라는 말 자체에 떨어진 의미를 떠올리게 되고 마는 것이다.
[ 사회가 야스 씨를 죽인 거라고 생각하지 않으면 마음이 개운치 않았다. 그런데도 지금 말한 대로
사회란 어떤 것인지는 요령부득이었다. 그저 인간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 인간이 왜 야스 씨처럼 좋은 사람을 죽였는가는 더더욱 알 수 없었다.
그러므로 사회가 나쁜거라고 단정해봤지만, 그렇다고 결코 사회가 미워지지는 않았다. 그저 야스 씨가 딱할 뿐이었다. 가능하다면 나와 바꿔주고
싶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