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롱이가 세상을 떠난지 만 하루가 지나간다.
20여년 전 제니가 밤에 자다가 홀연히 떠난 기억이 있어 혹시 녀석도 그렇지 않을까 내심 조마조마 했다. 그래도 가족이 보는 앞에서 떠났으니 다행이다..
하지만 과연 우리가 녀석의 마지막을 온전히 지켜줬을까를 생각하면 그렇지 않은 것도 같다. 어제 아침 밥을 먹는데 녀석은 평소 습관대로 끽끽대고 울었는데 그 소리가 왠지 예사롭지가 않았다. 이상하다 싶긴했지만 별일 있겠나 싶어 먹던 밥이나 마져 먹고 봐줘야지 했다. 아마도 그 소리는 녀석이 가겠다고 마지막 시그널을 보내고 있는 거였지도 몰랐다. 녀석은 전날만큼 물을 먹지는 않았지만 물조차 안 먹으면 세상 떠나는 거라고 생각했는데 그렇지도 안은가 보다.
오후로 들어갈무렵 엄마가 나를 부르기에 방에서 나와봤더니 다롱이가 마지막 숨을 내쉬고 있었다. 몸은 또 오물로 뒤덮혀 있었고 엄마가 씻기겠다는 걸 과연 다롱이가 버텨줄까 싶어 당장은 씼기지 말자고 했다. 하지만 엄마는 마지막 가는 길 깨끗하게 해 줘야 한다고 강행했고 녀석은 몸을 다 씼기자마자 곧 바로 무지개 다리를 건넜다. 이렇게 허망하게 갈 줄 알았다면 아까 아침에 끽끽댔을 때 즉시 가서 봐 줄걸 괜시리 후회가 남았다.
우리 집은 내가 태어나기 훨씬 이전부터 개를 키워왔던 것 같다. 돌아가신 아버지가 워낙 개를 좋아하셨을뿐 아니라 늘 마당이 있는 집에서 살았으니 개를 안 키울 이유가 없었을 것이다. 그동안 별별 개들이 우리 집을 거쳐 갔다. 그걸 여기에 일일이 다 쓸 수는 없고, 우리가 개를 키우지 않기로 한 건 지금의 집으로 이사 오면서부터였다. 언제나 개를 키우고 살 줄 알았는데 살다보니 이런 때도 오는구나 만감이 교차했다. 하지만 워낙 개와 함께 살아왔기 때문에 개 없이 산다는 건 쉽지 않았다. 개를 안 키운지 3년이 다 되어가는데도 마음의 헛헛함이 여간해서 사라지지 않았다. 하나 좋은 것이 있다면 집은 깨끗해진다는 점. 그렇게 산지 3년이 되었을 때 결국 다롱이를 받아들이고 말았다. 의도했던 것은 아니고 먼 친척의 딸이 키우던 개가 새끼를 낳아 그 중 한마리가 반강제로 우리 집에 맡겨졌다. 순간 장막이 걷히듯 마음의 헛헛함이 사라졌고 개를 키우던 집은 이렇게 반운명적으로 다시 키우게 되는가 보다 했다.
물론 키우면서 즐겁고 행복한 일이 많았지만 힘들고 짜증나는 일도 많았다. 꽃으로도 때리지 말라는 말도 있지만 어떻게 꽃으로도 때리지 않을 수가 있을까. 그러면 녀석은 어디든 구석으로 숨기에 바빴다. 그래도 바로 어제 같은 날을 생각해 가급적 화내지 않으려고 노력했던 걸 녀석은 알까.
이번에 다롱이의 마지막을 지키면서 18년 동안 반려동물에 대한 생각이 정말 많이 바꼈다는 걸 새삼 깨달았다. 개를 그렇게 오래 키웠어도 장례업체를 이용해 보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슬픈 것은 슬픈 것이고 자본주의 세상을 사니 화장 비용을 생각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업체에서는 처음엔 20만원에서 플러스 알파를 얘기해서 그 정도라면 부담도 없고 괜찮네 했다. 하지만 막상 죽은 다롱이를 넘겨주고나니 얘기는 달랐다. 가장 기본적인 것만을 했는데도 거의 45만원을 육박했다. 나중에 안 사실인데 어디는 50만이 넘는데도 있다고 한다. 반려동물 사체가 쓰레기봉투에 버려지고 야산에 매립되기도 한다는 말에 살았을 땐 어쩌고 양심도 없다 했는데 과연 그럴만도 하겠다 싶다. 생각 똑바로 박힌 사람이나 업체를 이용하지, 삐뚤어지거나 경제적으로 어려운 사람은 장례 비용도 상당한 부담이겠다 싶다. 전체 반려견의 13%만이 가족이 보는 앞에서 죽는다고 하지 않는가.
나중에 인터넷을 들어가 보니 반려견 요양원도 있고 펫시터도 있다는 걸 알았다. 다롱이가 밤에 잠을 못자고 보채고 있을 때 엄마는 요양원이라도 있으면 보내고 싶다고 했다. 개 호텔도 있고 애견 까페, 유치원도 있다는데 요양원이라고 없으려고. 하지만 이용이 용이할까 싶기도 하다. 집과 가까운 곳에 있어서 언제든지 왕래가 가능해야지 그렇지 않으면 주인이 자기를 버렸다 할 것아닌가. 가격도 만만치 않을 거고. 펫시터도 그럴 것이다. 요는 없는 사람은 개도 키우지 못한다는 얘기다.
더구나 반려동물법이 갈수록 강화되고 있는가 본데 등록은 물론이고 선진국처럼 하루에 한 번은 꼭 의무적으로 산책을 시켜야 한단다. 독일은 하루에 두 번이고, 일정 교육을 받아야 키울 수 있다고 들었다. 물론 필요한 일이긴 하지만 너무 강화하다보면 오히려 키우지 안하겠다고 하지 않을까 우려도 된다. 그렇지 않아도 반려견이 죽으면 더 이상 키우지 않겠다는 사람도 생각 외로 많이 본다. 그렇다면 유기견들은 입양될 길이 더 막히는 건 아닐까. 사실 우리 집도 더 키우고 싶어도 키울 수가 없다. 그건 비단 감정의 문제만이 아니다.개를 잘 키울 수 있는 환경과 시스템만 갖추어진다면 당연 키울 생각이 없진 않다. 법만 강화하고 합리적인 정책이 없다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아직도 다롱이가 낑낑거리는 환청을 들을 것만 같다. 마지막에 녀석의 몸에서 났던 쿰쿰한 냄새도 콧끝을 맴돌고 있는 것만 같다. 녀석이 건강했을 때의 동선이 눈에 밟힌다. 지금도 미안한 건 다롱이를 많이 산책시켜주지 못했다는 것이다.ㅠㅠ 동물은 사람같이 영혼이 없어 죽으면 그만이라고 생각하는데 어제 세상을 떠난 다롱이를 생각하니 무지개 다리 건너편에서 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죽어서라도 다시 만나 보게. 이 녀석을 잊는데는 또 얼마나 걸리려나.
다시 개가 살지 않는 집으로 돌아왔다. 18년만이다. 그동안 다롱이는 장수했고, 사는 동안은 비교적 건강하게 살았으니 여한은 없다. 오늘은 모처럼 방해 받지 않고 편한 잠을 잤다. 슬픈 건 사실이지만 뭔가 시험 하나를 통과한 것처럼 홀가분한 마음도 한켠 든다. 그동안은 다롱이가 없는 삶은 상상하기도 싫었는데 막상 녀석이 없는 하루를 시작해 보니 그도 살아야지 싶다. 물론 살면서 새록 새록 생각은 나겠지만 그도 어쩔 수 없는 일 아닌가. 그동안 녀석을 돌보느라 맘대로 하지 못했던 일들을 앞으로 다시 할 수 있을 것 같다.
이번 역시 오래 전에 올렸던 다롱이 사진을 다시 한 번 올려본다.
다롱아, 그동안 무지개 다리 이쪽에서 사느라고 고생했어. 그쪽에서 잘 지내고 있어.
조금 있다 다시 만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