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프로가 방송되기 시작한 건 아마도 작년 가을 KBS1이 개편 하고서부터가 아닌가 싶다. 꼭 볼려고 해서 본 건 아니었는데, 마침 채널을 돌리니, 86년도 였던가? 임수경이 북한에 간 것을 재조명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었다. 그때부터 난 눈을 떼지 못했다.
그 시절 전대협은 이적단체로 낙인이 찍혔고, 임수경은 무슨 빨갱이의 앞잡이가 된 양 매스컴에선 연일 그녀에 대한 보도가 끊이지 않았다. 그리고 거의 20년 가까이 세월이 흘렀다. 그 프로에선 그 진실을 벗겨냈던 것이다. 정말 세월이 많이 지났다. 매스컴이 사람을 살리기도 하고, 죽이기도 한다더니 정말 그 말이 맞는 것 같다. 그동안 그녀와 그의 가족들이 당했을 정신적 피해가 느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왜 그 모든 것을 무릎쓰고 북한을 다녀왔어야만 했는가?
역사를 어떤 관점에서 볼 것이냐는 참으로 중요한 것 같다. 그 시절은 군부독재가 횡횡했던 시절이라 뭐든 반공이데올로기적 성향으로 보는 시각이 많았다. 그러나 지금은 어떠한가? 그 시절 잘 몰랐던 사람들은 임수경 씨를 손가락질하고, 욕하기를 서슴치 않았을 것이다. <인물현대사>는 보다 완곡하고 온건한 시각으로 그녀를 조명하고 있었다.
그 후 난 내가 몰랐던 그 시절을 80년대를 알고 싶었다. 나도 그 시절을 몸소 살았건만, 난 그 시절과 전혀 상관없이 살았기 때문에 난 그 시절을 알고 싶었던 것이다.
<인물 현대사>는 임수경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 굵직한 족적을 남긴 사람의 자취를 여러사람의 인터뷰와 자료로 생생하게 증언하고 있다. 내가 그 프로를 보지 않았더라면, 오늘날처럼 비난 받는 국회의원 중엔 가장 최근까지 '빈자천하지대본'을 외쳤던 정말 청렴한 '제정구' 국회의원이 있었다는 걸 어찌 알았을까? 내가 그 프로를 보지 않았다면 김재규로 하여금 박정희 대통령을 끝내 죽으로 몰아가는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던 차지철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었을까? 또한 우리나라 최초의 여류 변호사 이태영 박사는, 자신의 재산을 국가에 헌납한 유한양행의 창업자 유일한 씨는...
그걸 보고 있으면 아, 이 나라에 애국자가 정말 많이 있었구나 새삼 자긍심이 생긴다. 우리나라에 태극전사만이 나라를 위해 애국했을까?
역사는 어려운 학문이라고 한다. 특히 어느나라나 근현대사는 더 어렵다고 한다. 그런 점에서 <인물 현대사>는 딱딱하지 않고 쉽게 시청자들에게 다가간다. 난 이 프로가 오래 살아남았으면 한다. 오늘도 <인물 현대사>는 한다. 밤 10시에. 우리가 좋아하는 국민배우 문성근의 낮은 저음에 실려. 나는 오늘도 그 시간을 기다릴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