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길은 여기에 ㅣ 설우특선 1
미우라 아야꼬 지음 / 설우사 / 1998년 6월
평점 :
품절
기독교 신앙 용어 중에 '소명의식'이란 말이 있다. 이것에 대한 정확한 용어 풀이가 있겠지만, 나의 경우 '소명의식'이란 자신의 탈란트(재주)를 자신을 위해 쓰지 않고 하나님을 위해 쓰며 이를 통해 자신을 확장시켜 나가는 것을 의미하지 않을까 싶다.
사람이 뭔가의 재주를 가지고 있으면 사람을 끌어 모을 수 있는 힘을 갖게 된다. 그러나 더 나아가 좋은 일, 이를테면 사람을 살리는 일. 사람으로 하여금 희망을 갖게하는 일에까지 나아갈 수 있다.
미우라 아야꼬는 작가다. 그러나 크리스찬 작가이다. 그녀는 한번도 자신의 문학사상을 주장한바 없으며 그녀의 글쓰는 재주는 온전히 하나님을 아는 것에 바쳐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작가는 자신의 경험과 생각 이상을 뛰어넘을 수 없다고 생각한다. 만일 그럴 수 있다고 한다면 그건 자신과 독자를 기만하는 것이 되겠지. 소설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물론 얼핏 허구를 생산해 내는 것 같지만 허구 그 자체를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통해 자기 말을 하는 것이 아닐까?
미우라 아야꼬는 그 어떠한 경우에서도 시종 작가적 시선을 놓지 않는다. 그런 의미에서 그녀는 작가답다. 작가답게 의심하고, 회의하고, 자신이 경험하고 생각한 바를 담담히 써 내려간다.
신앙에 있어서도 그 누구에게 주입시키고 설득하기 위해 장황한 미사여구를 쓰지 않는다. 그녀는 오로지 그가 알고 믿는 것에 대해서만 썼다. 그녀의 신앙은 의심으로부터 시작이 되었다. 의심하지 않고 믿는다는 게 가능할까? 의심하지 않고 믿는다면 그건 미신에 불과하다. 그것을 온전히 몸소 보여줬던 사람이 바로 미우라 아야꼬다. 이 책은 그런 그녀의 자서전이다.
몇차례의 죽을고비를 넘기고 그 투병중에 사랑을 하고, 사랑하는 애인을 잃어야 했으며, 다시 또 누군가를 만나 그 사랑을 이루기 까지의 과정이 잔잔하게 그려진다. 그와중에도 그녀 자신이 어떻게 하나님을 믿게 되었는지 독백처럼 흐른다. 그런 그의 글이 얼마나 많은 사람을 신앙으로 이끌었으며 소망을 갖게했는지. 작가는 모름지기 이래야하지 않는가라는 생각을 갖게하는 작가다.
드문 경우이긴 하지만 어떤 작가는 독자를 죽음으로 이끄는 작가도 있다. 내가 만일 작가가 된다면 내 글을 읽고 그런 독자가 생긴다면 그건 끔찍한 일이 아닐 수 없을 것이다. 물론 어떤이는 그럼 작가는 늘 옳은 것만을 말하는 또하나의 설교자요 도덕군자가 되야하느냐 반박할 사람이 있을런지 모르겠다. 그러나 작가는 그 무엇이 되기 이전에 그의 사고 패턴은 과학자와도 같다는 생각이 든다. 철저하게 의심하고 회의하고 답을 달고.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내가 작가가 되면 어떤 작가가 될것인가에 많은 도전을 준 책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동시에 나도 자서전을 쓴다면 어떤 자서전을 쓸 것인가를 생각해 보게 만드는 책이었다.
사실 이 책은 아주 오래전에 읽었던 책이다. 이 책에서의 또하나의 묘미는, 일본인들이 신앙을 갖게 되면 어떻게 될까가 일련의 에피소드들을 읽으면서 느껴졌다. 그렇게도 절도있고 철저함이 신앙적인 면에서도 관철되고 있음이 느껴졌다. 그런데비해 우리나리 1/4이 기독교인임에도 왜 이 모양인가 탄식하게 되는 건 다 국민성과도 연관이 있겠구나 싶기도 했다.
그리고 또 하나의 묘미는 단가(短歌)를 읽는 즐거움이다. 우리나라 서정시처럼 정제되지도 않았다. 그냥 순간 순간 터져 나오는 감정들, 느낌들에 충실해서 한 두 문장으로 압축시키는 그 순발력(?)이 대단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