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신문… 富者는 정보도 저축" 
富者특성 연구 10년 은행원 문승렬씨
“한국 부자의 80%는 맨손으로 출발해 자수성가한 사람입니다. 부자들의 공통점을 배우고 실천하면 누구나 부자가 될 수 있어요.”
부자의 특성을 일반인에게 알리는 ‘부자(富者) 전도사’로 나선 은행원 문승렬(42)씨. 문씨는 은행에 거액을 맡기러 오는 자산가들을 상대하다가 부자들의 특성에 눈을 뜨게 됐다고 한다.
“10년 전 처음 만난 VIP고객이 허름한 옷을 입은 80대 노인이었어요. 현금 80억원을 가진 대부호란 사실이 믿기지 않았죠. 하지만 한 달에 책을 50권 정독하고, 하루에 신문을 5개 이상 읽으며 지식을 쌓는다는 얘길 듣고 절로 고개가 끄덕여지더군요.”
부자는 운이 좋았을 뿐이란 막연한 생각을 품고 있던 문씨는 진짜 부자인 그 노인을 만나고 충격을 받았다. 그때부터 그는 부자를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했다.
주말마다 부잣집 탐방에 나서기도 수십 차례. 직접 인터뷰를 하면서 어릴 때 교육은 어떻게 받았나, 어떤 친구가 있는지 생활 환경도 꼼꼼히 살폈다.
조선 시대 300년간 10대에 걸쳐 부자로 살았다는 경주 최씨 집안 등 옛 사료도 샅샅이 훑었다. 99년 조선대 경영학과에서 박사 학위도 받는 등 이론 공부도 소홀히 하지 않았다.
문씨는 10년간 부자 500여명을 만나 인터뷰한 기록을 토대로 부자특성 연구회를 만들었다. 삼성경제연구소 부설 동호회 ‘부자특성연구회(www.seri.or.kr/forum/ric
h)’가 바로 그것. 현재 회원수는 6000여명으로, 백수에서부터 사장까지 연령도 직업도 가지각색이다. 10억~100억원대 부자가 10%, 부자 지망생이 70%, 나머지 20%는 신용불량자 등 빈곤층이라고 한다. 회원들은 두 달에 한 번꼴로 부자를 초빙해 세미나를 열거나 독서 토론을 갖는다.
그런데 도대체 부자의 특징이 뭘까. 문씨가 소개하는 손에 잡히는 부자 되기 10계명은 다음과 같다. ▲긍정적 사고 ▲자기계발 철저 ▲사람관리 철저 ▲자녀교육에 열심 ▲가정 화목 ▲강한 실천력 ▲부자일지 기록 ▲건강 관리 ▲목표가 뚜렷하며 젊을 때 종자돈을 모은다 ▲투자용 빚은 감수하지만 사치는 두려워한다.
“부자는 어릴 때부터 아이들에게 금전 교육을 시킵니다. 아이한테 학원비를 주면서 ‘네가 학원에 안 가고 성적을 올리면 학원비를 주겠다’고 제안해 집안의 돈이 밖으로 새지 않게끔 하지요. 또 어렸을 때부터 재산이 얼마인지 소상하게 알려줘서 경제 감각을 가르칩니다.”
문씨는 또 “부자들은 세상 돌아가는 이치에 귀를 쫑긋 세우고 작은 정보 하나도 흘려듣지 않는다”고 했다. 돈도 자신에게 애정을 쏟는 사람을 찾아간다는 것. “돈에는 관심 없다며 애써 외면하는 사람은 평생 가난할 수밖에 없어요.”
그런데 부자의 공통점을 꿰뚫고 있는 문씨는 현재 부자가 됐을까. 그는 “10년 장기 계획을 세워 열심히 실천 중”이라고 짧게 답했다. 일단 수입의 20~30%부터 꼬박꼬박 저축한다는 것. 2014년 부자특성연구회에서 문씨의 사례를 연구하게 될지 지켜볼 일이다.
(글=이경은기자 diva@chosun.com )
(사진=최순호기자 choish@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