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을 기도실로 만든 대통령 링컨 (반양장)
전광 지음 / 생명의말씀사 / 200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우연한 기회에 아는 후배로부터 빌려 읽게 되었다. 이미 읽은 다른 애들이 하도 좋다고 소문이 자자해, 다른 읽어야 할 책들이 쌓여있음에도 잠시 미뤄두고 읽기 시작했다. 다 읽고 난 느낌은 우선 읽기가 편했다는 것이다. 아마도 저자는 요즘의 독자들이 어떤 편집 방법에 의한 책들을 선호하는지를 잘 파악했던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이 책이 의도했던 것은 링컨을 역사적으로 조명했다기 보단 신앙인으로 조명하려했다는 것에 의의를 두고 신앙인들에게 도전을 주기 위해 글을 썼을 것이라는 것이다(그럼에도 신앙은 역사 속에 면면히 흐른다). 특히 잘 알려지지 않은 에피소드나 일화들 또 그것들이 끝날 때마다 성경 귀절을 적어 놓은 글쓴이의 방식은, 다시한번 성경을 묵상할 수 있게해서 좋은 것 같다.

읽으면서 느꼈던 건, 신앙인으로 산다는 것은 단순한 것인 동시에 굉장한 힘을 소유하는 것이란 생각이 들었고, 정적(政敵)도 동지로 만들 수 있는 링컨의 탁월함에 경의를 표할 뿐이었다.

또한 동시에 전쟁의 참상 속에서도 국민들 한 사람 한 사람에게 갖는 긍휼과 온유의 마음, 아들을 전장에 보내놓고, 함께 싸우는 친구는 될 수 있으면 안전한 곳에 있게하고 너는 치열한 곳에서 싸우라는 편지는 정말 가슴을 찡하게 만든다.

아마도 링컨에 관한 책들은 찾아보면 적지 않게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보통은 어린 아이 때 위인 전기로 읽고 성인이 되어서는 잘 안 읽지 않는가 싶다.

이 책을 읽으면서 신앙인은 어떠해야 하는가를 생각해 보고, 다소 나태해지고 무기력한 나의 신앙을 다시한번 점검하고 바로 세우는데 충분히 좋은 책이었단 생각이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살인의 추억 - 연쇄살인실화극
봉준호.심성보 지음 / 이레 / 2003년 5월
평점 :
절판


중요한 건 희곡 또는 시나리오다. 언젠가 TV에서 우연찮게 연극 [날 보러와요]를 다이제스트로 본적이 있었다. 그때 난 대본의 탄탄함에 충격을 먹었었다.

그때 출연한 어느 배우가 인터뷰에서, '연극은 배우를 위한 것이라면 영화는 감독을 위한 작업'이라고 말한 것이 인상깊게 와 닿았다. 마침 그 배우는 이 영화에도 출연한 것으로 알고 있다. 확실히 그의 말은 맞는 것 같다.

하지만 얼마전까지만 하더라도 시나리오는 그리 중요하지 않은 것처럼 취급받을 때가 있었던 것 같다. 그러나 좋은 작품엔 좋은 시나리오가 있다는 것을 영화를 사랑하는 사람들은 안다. 그러므로 영화에 있어서 시나리오는 더욱 중요해진다.

즉 다시말하면, 요즘 관객의 수준을 생각한다면 그들의 눈에 잘된 작품엔 감독의 연출뿐만 아니라 잘된 시나리오와 작가를 알아보는 안목까지 있다 있다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살인의 추억'은 좋은 본보기가 되는 것 같다. 이 작품 외에도 좋은 시나리오라고 생각되는 작품이 머리속을 스쳐 지나간다. 그 작품들은 이 작품처럼 단행본으로 나와있는지 모르겠다.

우리나라도 최근 몇년 사이에 영화의 많은 발전을 이룩했다. 좋은 시나리오를 쓸려면 좋은 영화와 읽을꺼리가 많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영화 한편을 만드는 것은 중요한 일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거기엔 예외없이 경제성의 논리가 있게 마련이다. 그런의미에서 좀 더 깊은 안목에서, 좋은 글을 읽고 쓸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 줌이 어떨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비발~* > 모래그림

복돌님이 다시 보고 싶으실 것 같아서... (맘편히 조금 기다리시다 플레이를 누르세요.)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라일락 벤치 2004-03-26 04: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예술과 마술의 신묘한 경지를 느끼게 하네요
 
 전출처 : 비발~* > 아빠와 딸

자전거 생각하다가 문득 생각난 작품 - 2001년 Annecy 애니메이션 페스티발 그랑프리 수장작, 아버지와 딸...(2004년 스포트라이트는 한국이랍니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김여흔 2004-02-25 23: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꼼꼼히,
모두 다 읽거나 보고 듣진 못했어요.
하지만 모두 열어보고 눈으로나마 새겨둡니다.
이 애니메이션, 뜻하지 않은 감동이었어요.

stella.K 2004-02-26 11: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렇죠. 저의 서재 들러주셔서 감사합니다. 올려 주신 음악 정말 맘에 들었습니다. 앞으로 자주 뵙게되길 바라겠습니다. ^^

라일락 벤치 2004-03-26 05: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악도 애니매이션도 너무 눈물나게 하는군요 영혼이 정화되는 듯한 ...저전거와 감물이 그려내는 시간들....

stella.K 2004-03-26 11: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반갑습니다. 항아님. 저도 항아님 서재 곧 들려 보도록 하겠습니다.^^
 

어원: 즐긴다는 뜻. 이탈리아어로 '딜레트diletto'이다.

다시말해 딜레탕트는 연구하고 일하는 과정에서 즐거움을 느끼는 존재이다.

                                  <시간을 정복한 남자 류비셰프> 중에서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라일락 벤치 2004-03-27 03: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노 요코가 자신은 '예술가가 아니라 딜레탕트로 존재하길 원한다'고 한 진정한 의미를 알 것 같네요 저 또한 어떤 목표가 있어서가 아니라 그냥 책이 좋아서, 글쓰는 일이 좋아서 밥먹는 것과 잠자는 것을 줄이며 이러고 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