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체 뭐가 문제야? - 문제 해결에 관한 창의적 사고를 길러주는 6가지 질문
도널드 고즈 외 지음, 김준식 옮김 / 인사이트 / 2006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문제: 아무도 서문을 읽지 않는다.
해결안: 서문을 1장으로 한다.
해결안에 따른 새로운 문제: 1장이 지루하다
결의안: 1장을 날려버리고 2장을 1장으로 한다.”
이 책의 서문이다. 앞으로 다루어질 책의 모든 내용을 간결하게 압축하고 있다.
“저자가 이런 서문을 쓴 의도는 무엇인가?”
“이런 무례함은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이 책의 저자들은 서문을 읽고 “아주 자연스럽게 이런 질문들을 스스로 던질 수 있어야 한다”라고 충고한다. 왜냐하면 이 서문은 다른 책에서는 볼 수 없는, 일반적인 서문의 형식을 벗어난 형태로 쓰여 졌기 때문이다.
“우리가 어떤 현상을 인식했을 때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그것이 우리가 바라는 것에 비해 무언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어떤 형태로든 그 차이를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는 것이며 그 첫 단계는 불만족한 현상을 해결 가능한 형태의 문제로 표현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서문을 보고 최소한의 아무런 문제의식을 느끼지 못한 사람이라면 이 책을 통해 전문가의 진단을 받을 필요성이 있다. 그런 사람일수록 문제를 해결한 해결책이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하는 구조 속에 매몰되어 문제의 구렁텅이 속에서 빠져나올 수 없기 때문이다.
컨설턴트 분야에서 확고한 기반을 구축한 도덜드 고즈와 제랄드 와인버그가 공저한 <대체 뭐가 문제야(웬제: Are Your Lights on)>(인사이트, 2006)는 문제 속에 허우적거리는 현대 지식인들에게 “문제해결”에 대한 바이블을 제공해 주고 있다.
도널드 고즈는 뉴욕 주립대 빙엄턴이 시스템 사이언스 분야의 교수이자 새빌로우 사의 책임자이고, 제랄드 와인버그는 약 50여 년간 기술과 인간의 상호작용 분야에 역점을 두고 일해온 이 분야의 전문가 이다. 두 사람 모두 시스템 설계자이자 컨설턴트로 학교와 기업에서 왕성한 할동을 하고 있다.
‘문제해결에 관한 창의적 사고를 길러주는 6가지 질문’이라는 부제가 붙은 이 책은 ‘컨설턴트가 읽어야 할 5권의 책’에 포함된 다소 전문가 집단을 염두 해 두고 집필된 책이다. 하지만 내용 자체는 일상에서 접할 수 있는 사례 위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누구나 부담없이 재미있게 읽으면서 문제의 본질을 알아갈 수 있게끔 구성되어 있다.
학생, 비즈니스 맨, CEO, 자영업자, 컨설턴트, 주부 등은 각 에피소드에서 자신의 눈높이에 적합한 문제와 그 해결책에 대한 모델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의 최대 강점은 자신이 처한 문제 상황을 언제든지 비슷한 에피소드에서 찾아 해결책의 실마리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자신이 전혀 새로운 문제에 직면해 있다면 각 에피소드를 읽으면서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다.
예컨대, “지금 하는 업무가 영 맘에 들지 않는다. 배우는 것도 없는 것 같고, 성취감도 없으며 몸은 힘들다. 그러나 정말 배우는 것이 없고, 성취하는 것도 없고, 객관적으로 힘든 일인지는 누구도 말하기 힘들다.” 불만족스럽긴 한데 ‘대체 무엇이 문제인가?’ ‘그것은 어떤 문제인가?’ '정말로 무엇이 문제인가?' '누구의 문제인가?' ‘문제는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그리고 ‘그 상황을 정말로 해결하고 싶은가?’ 이런 의문점을 던져보게 된다.
이 책은 이와 같은 6가지 질문들을 스스로 던져 보게끔 훈련시키고 그 과정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키워준다. 어떤 상황이건 문제의식을 담은 질문을 던질 수 있다면 그 상황의 반은 해결된 것과 마찬가지라고 한다. 해결책은 문제의식으로부터 도출되는 동전의 양면과 도 같은 실체이기 때문이다.
만약 당신이 열심히 문제를 풀고 있다면 조용히 이런 질문을 던져보자. ‘나는 무엇을 해결하고 있는가?’
순간 무언가 켕기는 기분이 들거나 곰곰이 무엇을 해결하고 있는지 생각해 보게 된다면 이런 질문도 같이 던져보자. ‘지금 이건 누구의 문제인가?’
점점 머릿속에서 생각의 실타래가 엉키고 있다면 담담하게 이런 질문을 던져보자. ‘이게 진짜 해결하고 싶은 문제인가?’
책의 마지막 페이지에 “물고기는 물을 보지 못한다”는 말이 있다. 문제에 대해서 생각할 때 우리가 습관화하기 쉬운 부분들은 고려의 대상에서 빠뜨리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표현한 명제이다. 해결안을 통해서 그 습관화된 요소들을 제거할 때 비로소 우리는 놀라게 된다.
“무의식적으로 헤엄치는 그 물을 보려고 노력하는” 사람이 돼 보자. “그 물은 문제가 해결되는 순간 모래로 변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