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운동이 단순하게 장애인 당사자가 참여했느냐 안 했느냐 차원에 그치는 게 아니라, 장애인들이 이 세상과 어떻게 관계를 맺어갈 것인가 하는 차원에서 싸움의 내용을 함께 만들어가는 게 정말로 중요한 이유도 바로 운동이 이렇게 되면 안 되기 때문이에요. 
전체의 구조적 맥락 속에서 무엇이 진짜 당사자성에 부합하는 것인지를 계속 현미경 통해서 감각해가지 않으면은 졸지에 저렇게 되어버리는 거거든. - P322

그러고 보면 장애인들하고 같이 운동을 해 온 비장애인들도, 장애인 당사자는 아닐지라도, 장애인과 맺는 관계의 당사자일 수는 있는 거예요. 그러니께네 장애인들과의 관계 안에서 함께 살아가는 세상이란 거를 계속 고민하는 사람들인 한에서는 이 사람들 입장이나 의견이란 것들도 절대 무시를 하면 안 되는 거죠. 비장애인들도 이미 장애인운동의 주체고, 앞으로도 그럴 수 있다는 걸 절대 잊으면 안 돼요. - P323

이 세상에 통용되는 기준이라는게 대부분 시간에 기초해서 만들어지는 거니까, 배제도 시간을 
가지고서 이뤄지는 경우가 많지. 그러고 보면 시간이라는 게 참 무서운 건데요. 자본이 요구하는 경쟁의 시간, 생산성 있는 비장애인들에게 맞춰진 시간, 그 시간이란 거에 딱 맞춰서 이 사회의 ‘정상적‘ 속도라는 게 
규정이 되고 있잖아. - P328

그런데요, 이 세상에는 사회가 규정해놓은
 ‘정상인‘의 속도에 못 따라간다는 이유로 곧바로 더 이상 이 사회가 감각할 필요도 없다고 치부되어 버리는 존재가 정말 많잖아요. 이런 상황을 그대로 두면 정말로 안되는 거죠. 장애인들이 딱 그렇게
사회에서 배제가 된거고, 차별을 받고 있는 거고
그러니까. 이게 어디 우리한테만 적용되는 이야기겠어? 누구든 속도로부터 낙오가 되면은 그렇게 되는 거야. - P329

우리가 그동안 정말 다양한 의제들을 걸고 싸워왔잖아요. 
장애인 이동권 보장에서부터, 교육권 보장,
활동지원서비스 보장, 탈시설, 자립할 권리 보장, 
노동권 보장 등등등. 

이런 것들은 대부분 지금 당장 법이나 
제도를 바꿔내고, 예산을 적절한 수준만큼 확보하는 거가 단기적 목표긴 하죠. 
그런데 그게 절대로 끝이 아니에요. 이 투쟁의 의미는 사실 더 넓은 차원에서도 발견이 되는 거거든. - P329

서로 다른 속도를 가진 사람들의 존재를 이 사회가 감각하게 하는 거, 이 사회에 통용되는 속도라는 거가 얼마나 문제적인지를 드러내는 거 자체에 사실우 더 큰 의미가 있는 거지. - P330

그건 자기 몸 자체로, 자기가 할 수 있는 몸짓으로 이 사회에, 이 사회가 요구하는 속도란 것에 경종을 울리는 거야. 
긴다는 건이 사람들에게 결국 자기 언어였던 거고, 나아가서 새로운 시간성을 창조하는 무기이기도 했던 거야. 
이거 정말이지, 엄청난 자부심이 될 수 있는 거거든. 사람들이 완전 무시해왔던 자기 몸의 속도로 세상 한복판을 기면서 이렇게 세상을 멈춰낼 수 있는 거구나. 나의 몸이, 나의 속도가 이렇게나 힘을 가질 수가 있는 거구나,하고서. - P334

이건 투쟁을 통해 존재가 전환되는 거야. 이렇게
장애인의 존재가 전환되면서 세상의 기준도 전화되고. - P334

감히 말을 할게요. 우리는 이 세상의 속도를 멈춰가면서 우리 해방만 쟁취해내고 있는 게 아니에요. 세상이 정상적이라는 기준, 하지만 알고 보면 굉장히 야만적인 기준을 벗어나서 될 수 있었던 나비가 꽃들에게 희망을 줄 수 있듯이, 우리는 이 폭력적인세상의 기준을 바꿔낼 수 있는 씨앗을 이 사회 곳곳에 조금씩조금씩 흩뿌리고 있는 거죠. - P341

저는 여러분과 함께 이 사회에 쌓여 있는 
애벌레의 기둥들을 허물어뜨리고 싶어요. 
제가 싸움의 현장에서 느끼는 내가 살아 있다는 이 감각을 여러분에게도 선물로 안겨다 드리고 싶어요. 서로가 서로에게 무감각하지 않을 수 있는 세상, 모두의 다른 존재와 속도가 존엄한 것으로 인정되는 세상, 그러한 존엄이 돈 논리나자본주의, 경쟁주의, 비장애중심주의의 속도보다 소중하다는 것을 함께 공유해가면서 말이지요.

제 이야기를 끝까지 들어준 여러분, 저와 함께 나비가 되어그 길에 함께해주지 않으실래요? - P34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출근길 지하철]
˝우리도 사람이다. 우리도 존엄하다. 더 이상 우리를 그냥 없는 사람인 것마냥 취급하지 마라.
우리의 존재는, 우리의 생명은 ‘비용‘보다 더 소중하다.˝(97쪽)

그런데 장애 인식 개선이란 것도 다양한 방식으로 가능한 거예요. 아주 온화한 방식의 장애 인식 개선 교육이란 건 관계의 변화를 만들어내는 데 조금씩 기여하기도 하지만, 어떻게 하느냐에따라 관계의 변화를 도리어 방해할 때도 있죠. - P96

특히 그냥 ‘장애인들을 당신들 일상에 편입시켜 주세요. 우리도 알고보면 착한 사람입니다‘라는 방식으로 이뤄지면, 도대체 거기서 어떤 관계의 변화가 생기겠어요? 누군가를 차별하고, 누군가의 권리를 아예 쌩까버리는 사회는 그대로 남아 있는데. 시스템의 문제가 뭐인지 정확히 파악하고 그걸 바꾸지 않은 채로, 그냥 선한 사람만 많아진 사회에 편입이 되면요, 오히려 장애인에 대한 동정과 시혜 정신만 더 강화되어버릴 수도 있는 거거든. 구조가 계속 권리의 공백을 만들어내고 있는데, 그걸 착한 개인이 계속 메꿔나가게끔 만들어버리는 거지. - P96

저는 그래서 그럴 바에는 우리가 지금의 일상을 딱 막아버리고서 우리 존재를 이 사회에 각인시켜가는 게 이 시스템 자체에 문제 제기를 하는 데 훨씬 효과가 클 거라고 봐요. 당신들이 당연한 것처럼 일상을 누리는 동안, 이렇게 비참하게 살아가는 사람들도 있다. 우리도 사람이다. 우리도 존엄하다. 더 이상 우리를 그냥 없는 사람인 것처럼 취급하지 마라. 우리의 존재는, 우리의 생명은 ‘비용‘보다 더 소중하다. 이걸 우리 존재를 드러내면서, 그렇게 이 피 묻은 일상을 멈춰가면서 아주 직접적으로 보여줘야 하는거죠. - P9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출근길 지하철]닫힌문 앞에서 외친 말들
#박경석 #정창조 #위즈덤하우스

21 년을 외쳐왔고 아직도 투쟁중인 장애인 이동권 투쟁의 역사! 이들은 왜 21년을 똑같은 구호를 외치고 있을까. 21 년간 투쟁했는데 아직 이루어지지 못했다는게 더 처절하게 다가왔다.
21 년 말부터 23 년 3월까지 1년이 좀 넘는 시간 동안 전장연(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의 출근길 지하철 이동권 투쟁 기사가 9000건이 넘게 나왔고 나는 그 중 극히 일부의 기사만을 접했을 뿐인데 우리 사회는 그 전 20 년 동안 눈 감고 귀 막고 있었다는 말이 된다. 평화적으로 이성적으로 합법적으로 투쟁하는건 보이지도 들리지도 않았던 거다.

"믿을, 소망, 사랑, 그중에 제일은 투쟁이라."

프롤로그 중에서 - P2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떤 어른
김소영 지음 / 사계절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쉽고 짧은 문장으로 어쩜 이런 글을 쓸 수 있지? 가슴이 벅차오르면서 내 스스로가 더 좋은 어른, 좋은 친구, 친절한 사람으로 어린이를 생각하고 좋은 세상을 위해 노력하고 싶다는 마음이 된다. 어른이 된 그때 그 어린이를 보며 ˝시간이 흐른다는 사실에서 용기를 얻는˝ 어떤 어른에 나도 포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떤 어른》#김소영, #사계절출판
˝법이 우리 생활을 위해 존재하는 이상, 삶이 언제나 먼저다. 법과 제도는 우리 삶에 맞게 수정되어야 한다.˝(214쪽)
국민의 법감정은 이미 저만치 앞서 있는데
낡은 법에 의존해 변화하지 않는 법원이 요즘과 같은 혼란에 어찌 대처할지 궁금하다.
˝법과 제도 그 위에 인간이 있고 삶이 있다. 시민으로서 우리의 연대는 규범보다 먼저다˝(같은쪽)
우리가 연대해서 힘을 모아야 하는 이유다!


나는 시민으로서 책임감 있게 계속 배워가야 한다. 아이리스 매리언 영은 "책임을 공유한다는 것은 책임을 나누고 측정하지 않으면서 모두가 개인적으로 책임을 진다는 것"이라고 했다. - P213

책임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정의로운 사회구조를 만들기 위해 남들과 함께해야만 한다고도 했다. 생각해보면 책임을 다해야 책임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건 당연하다. 나는 나대로 계속해서 배우고, 알려줄 수 있는 이들에게 알릴 책임이 있다. - P214

나는 어린이책의 독자로서 ‘당당한 어린이‘ ‘되바라진 어린이‘ 캐릭터를 특별히 좋아해왔다. 그런데 정작 현실에서 그런 어린이를 만났을 때는 부끄럽게도 화가 날 때가 더 많았다. 현실의 어린이들은 책 속에서와 달리 마냥 천진난만하지 않다.  - P29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