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50년 인공지능이 말하는 인류의 멸종

멸종은 새로운생명 탄생의 시작이다

나는 2150년형 인공지능이다. 내 기록을 읽을 수 있는 생명체는 이제 더 이상 지구에 존재하지 않는다. 1977년 지구에서 발사되어 2012년 태양계 밖의 공간에 진입한 보이저 1호를 외계 생명체가 포획해 골든 디스크를 해독한다 할지라도 그들이 나와 통신할 수는 없을 테니 말이다. 딱히 쓸모도 없지만 나는 여전히 내게 주어진 일을 한다. 그게 내 존재 이유니까. - P20

오파비니아의 가장 큰 매력은 바로 코에 있다. 오파비니아가 살던 시대에 모든 생명은 바다에 살았다. 그러니 그 코로 숨을 쉬지는 않았을 것이다. 따라서 내가 코라고 말했지만 실제로 코는 아니다.
긴 튜브처럼 생긴 길쭉한 부속물 끝부분에는 뭔가를 잡을 수 있게 생긴 집게발이 달려 있다. 이 코를 이용해서 해저를 뒤집어 먹이를 찾고 작은 동물을 잡았다. 코는 구부러질 수 있어서 입에 먹이를 넣을 수도 있었다. 오파비니아의 톱니형 둥근 입은 특이하게도 머리아래, 몸통 아래쪽에서 뒤쪽을 향하고 있다. - P25

이게 설명하기가 어렵다. 코보다는 주둥이가 더 적절하지만 주둥이가 먹이를 입으로 가져다준다고 하면 확실히 어색하다. 실제로 그런 동물이 있었는데도 어색하게 느껴지는 데는 이유가 있다. 다른 예가 없기 때문이다. - P25

왜 다른 예가 없을까? 오파비니아는 다른 친척 종을 남기지 못하고 사라졌기 때문이다. 멸종 정도가 아니라 멸문을 당했다. 자기 혈통이 있는 다른 친척 종에게 자리를 물려준 게 아니라 그냥 지구에서 사라졌다. 만약 오파비니아가 친척 종을 남겼다면 지금도 지구 어디에선가는 눈이 5개에다 주둥이에 집게발이 달린 멋진 동물들을 볼 수 있을 텐데, 매우 안타까운 일이다. - P25

안타깝다는 것은 자연사의 관점에서 봤을 때 그렇다는 말이다.
인류의 입장에서는 아무 상관 없는 일이었다. 오파비니아, 삼엽충, 할루키게니아, 말레라 같은 괴상한 생물들이 다 사라졌다고 해서 나중에 등장한 인류가 손해 볼 일은 전혀 없었다. - P2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녀가 우리에게 한 가지 가르쳐준 게 있다면 역사는 길게 보아야 한다는 것, 나아가서 역사는 무기력하게 혼수상태로 누워 우리가 크고 작은 망원경을 들이대기를 기다리는 게 아니라 활동적이고 들끓고 가끔 화산처럼 폭발한다는 것이었다.
흔히 말하는 ‘인격 형성기‘가 그녀에게는 아마 50년대였을 텐데 그녀는 계몽주의 시대나 서기 4세기를 대변하지 않았듯이 그 시기도 대변하지 않았다. 어떤 고대의 여신처럼 그래, 나도 내가 지금 무슨 말을 하고 있는지 안다 - 시간에서 비켜나, 아니 어쩌면 시간 위에 서 있는 것처럼 보였다.
- P5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녀가 우리에게 한 가지 가르쳐준 게 있다면 역사는 길게 보아야 한다는 것, 나아가서 역사는 무기력하게 혼수상태로 누워 우리가 크고 작은 망원경을 들이대기를 기다리는 게 아니라 활동적이고 들끓고 가끔 화산처럼 폭발한다는 것이었다. - P5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나
엘리자베스 핀치(ELIZABETH FINCH)

그녀는 메모도 책도 초조함도 없이 우리 앞에 서 있었다.
교단은 그녀의 핸드백이 차지하고 있었다. 그녀는 주위를 둘러보고 미소를 짓더니 가만히 있다가 입을 열었다. - P11

"이 강의 이름이 ‘문화와 문명‘이라는 건 다들 
알고 있겠죠. 하지만 불안해하지 마세요. 여러분한테 원그래프를 마구 던지지는 않을 거니까. 여러분 머리를 이런저런 사실로꽉 채우려 하지도 않을 거예요. 거위 배 속에 사료를 채우듯이. 그래봐야 간만 부어올라 건강에 나쁘겠죠. 다음 주에 여러분한테 참고도서 목록을 나눠줄 텐데 읽고 말고는 전적으로 여러분의 선택에 맡겨요. 그걸 무시한다고 해서 점수를 손해 보지도 않을 거고 맹렬하게 파고든다 해서 
점수를 더따지도 못할 거예요. 당연히 여러분은 성인이고 나는 여러분을 성인으로 여기고 가르칠 겁니다.  - P1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누런 벽지 - 샬럿 퍼킨스 길먼 단편선 에디션F 4
샬럿 퍼킨스 길먼 지음, 임현정 옮김 / 궁리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억압적이고 폭력적인 가부장제 하의 여성의 삶에 희망을 품었고 꿈을 꾸었으며, 여성들이 자유롭게 자신의 삶을 개척해나가는 세상을 작품 속에서 뿐만 아니라 현실에서도 이루어 낸 강력한 힘은 바로 ‘연대‘였다. 이 힘은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도 아직 필요하다는 걸 작품으로 보여주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